논문 상세보기

Influence of Cycloplegia on Ocular Aberrations in Emmetropes KCI 등재

정시안에서 조절마비가 눈의 수차에 미치는 영향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59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 적: 정시안에서 조절마비가 눈의 수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방 법: 단안의 나안 시력이 1.0 이상인 정시안 20명(나이: 21.7 ±1.66세)을 대상으로 밝은 조명(photopic)과 어두운(mesopic) 조명 상태에서 고대비도(100%)와 저대비도(10%) 시력표를 사용하여 시력검사를 하였고, 암실 상태에서 파면수차 분석기(KR-1W, Topcon, Japan)를 이용하여 4 mm와 6 mm의 동공크기에 따른 눈의 저위수차와 고위수차를 각각 측정하였다. 조절마비제는 1% tropicamide와 1%cyclopentolate을 사용하였고 조절마비제를 점안하기 전과 후에 시력과 수차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결 과: 암실 상태와 조절마비 상태에서 동공의 크기는 각각 6.86 ±0.23 mm와 7.78 ±0.30 mm이었고, 밝은 조명과 어두운 조명 상태에서 검사한 고대비 시력(high contrast visual acuity, HCVA)과 저대비 시력(high contrast visual acuity, LCVA)은 조절마비제 사용 전과 후 사이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000). 저위수차인 구면 굴절력(6 mm 동공크기)은 조절마비제 사용 전(0.529 ±0.14)과 후(0.434 ±0.23)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보였지만(p = 0.037), 전체 고위수차, 3차 고위수차, 4차 고위수차, 코마수차, 구면수차를 포함하는 눈의 고위 수차량은 조절마비 후 약간의 증가가 있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각막 고위수차와 내부 고위수차도 동공 크기에 관계없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조절마비제 사용 전에서, 밝은 조명 상태의 HCVA와 난시(4 mm 동공)사이 그리고 밝은 조명 상태의 HCVA와 각막의 구면수차(6mm 동공)사이에서 각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조절마비 사용 후에는, 밝은 조명 상태의 LCVA와 눈의 코마수차(4 mm 동공)사이, 밝은 조명 상태의 LCVA와 구면 굴절력(6 mm 동공)사이, 그리고 어두운 조명 상태의 LCVA와 눈의 각막의 전체 고위수차(6 mm 동공)사이, 어두운 조명 상태의 LCVA와 각막의 구면수차(6mm 동공)사이에서 각각 상관성이 나타났다. 결 론: 조절마비제 점안 후 눈의 고위수차는 암실 상태의 고위수차와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파면수차 측정에서 정시안의 고위수차는 조절에 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ssess the influence of cycloplegia on ocular aberrations in emmetropic eyes. Methods: Forty eyes of 20 emmetropic subjects in their early twenties (21.7 ±1.66 years; 10 females, 10 males) were enrolled. The subjects` selection criteria were best unaided monocular visual acuity of 20/20 or better. High and low contrast visual acuity (HCVA and LCVA) using ETDRS charts were measured under photopic and mesopic conditions. Ocular lower-order aberrations (LOAs) and higher-order aberrations (HOAs) were measured for 4-mm and 6-mm pupils, using Wavefront Analyzer (KR-1W, Topcon, Japan) under scotopic condition. All measurement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cycloplegia with topical installation of 1% tropicamide and 1% cyclopentolate. Results: Pupil size in scotopic condition was 6.86 ±0.23 mm in non-cycloplegia and 7.78 ±0.30 mm in cycloplegic condition. For both HCVA and LCVA photopic and mesopic condition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cycloplegic and cycloplegic conditions (p=0.000). Regarding defocus for a 6-mm pupil, there was a small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cycloplegic (0.529 ±0.14) and cycloplegic (0.434 ±0.23) conditions (p=0.037). For ocular HOAs, although the RMS values of all ocular HOAs with cycloplegia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non-cycloplegia, there, however,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HOAs, third-order, fourth-order, coma, and spherical aberration for both 4-mm and 6-mm pupils between the two conditions. We also did not find any significant changes in corneal and internal HOAs between the two non-cycloplegic and cycloplegic conditions. In non-cycloplegic eyes under photopic lighting condition, HCVA was significant correlated with astigmatism (4-mm pupil) and corneal spherical aberration (6-mm pupil). On the other hand, in cycloplegia, LCVA under photopic condition was significant correlated with ocular coma (4-mm pupil) and defocus (6-mm pupil), and LCVA under mesopic conditions was also significant correlated with corneal total HOAs (6-mm pupil) and corneal spherical aberration (6-mm pupil). Conclusion: We did not find any effects of cycloplegia on ocular HOAs compared with non-cycloplegia. Ocular HOAs in the wavefront aberration measurement may not be directly affected by accommodation in emmetropes.

저자
  • Jeong-Mee Kim(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김정미
  • Koon-Ja Lee(을지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