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Blue-Light 차단렌즈의 기능성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3858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청색광은 최근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스마트기기 사용급증으로 눈의 피로, 망 막 상의 질을 저하시키는데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색광차단렌즈(Blue-Light blocking lens)의 청광차단효과와 가시광선투과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 유통되고 있는 청색광차단렌즈 12종(코팅방식 8종, 착색방식 4종)과 일반착색렌즈 5종을 대상으로 UV-spectrophotometer(Genova Nano,JENWAY,UK)을 이용하여 가시광선투과 율(380~780nm)과 청색광(450~495nm) 차단율을 측정하였다. 결과: 청색광차단렌즈의 청색광 차단율(450~495nm)을 비교한 결과 코팅방식(A-group)은 A1 7.4%, A2 5.4%, A3 9.6%, A4 10.3%, A5 10.3%, A6 6.1%, A7 15.9%, A8 11.9%로 A7 이 가장 높은 차단율을 나타냈으며, 착색방식(B-group)은 B1 34.6%, B2 20.0%, B3 38.1%, B4 27.6% 로 B3가 가장 높은 차단율을 보였고, 일반착색렌즈(C-group)는 C1 91.8%, C2 13.6%, C3 33.2%, C4 13.7%, C5 46.2% 로 C1 의 청색광차단율이 가장 높았다. 가시광선투 과율은 코팅방식(A-group)은 A1 88.7%, A2 88.7%, A3 88.4%, A4 88.2%, A5 88.2%, A6 86.5%, A7 83.5%, A8 84.4%로 A1 과 A2 가 가장 높은 가시광선투과율을 나타냈으며, 착색 방식(B-group)은 B1 63.8%, B2 72.4%, B3 69.4%, B4 80.2% 로 B4의 가시광선투과율이 가 장 높았고, 일반착색렌즈(C-group)는 C1 59.1%, C2 79.3%, C3 63.7%, C4 83.2%, C5 65.1% 로 C4 의 가시광선투과율이 가장 높았다. 결론: 이와 같은 결과로 청광렌즈의 청색광차단효과는 일반착색렌즈의 청광차단효과가 높게 나 타났으나 가시광선투과율은 청광차단렌즈 보다 상대적으로 낮았다. 제조방법에 따른 청광차단 렌즈의 청광차단효과는 착색방식이 높게 나타났으나 가시광선투과율은 코팅방식이 높게 나타 났다. 따라서 청광차단렌즈의 제조방식에 따라 청색광차단효과와 가시광선투과율이 서로 반비 례하므로 청광차단렌즈 선택 시 이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할 것이다.

저자
  • 김소영(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 이철우(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 정경인(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 공석길(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 전인철(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