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초은시의 주제 변천과정 KCI 등재

Study on the Theme Change Process of Zhaoyinsh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7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900원
中國學 (중국학)
대한중국학회 (Korean Association For Chinese Studies)
초록

『초은시』는 진대에 크게 성행한 시가의 주제로 당시 사인들의 은거관념이 표현된 중요한 장르이다. 지금 전하는 작품은 모두 11수인데 주로 『문선』과 『예문류취』에 수록되어 있다. 『초은시』의 선례는 한대 회남소자의 소체부 초은사 이다. 초은의 원래 의미는 산중의 은사에 게 세상으로 나와 벼슬을 하라고 호소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좌사와 육기의 작품은 이와 반 대로 은거에 대한 본인의 동경을 표현했다. 또 서진 후기 출처동귀 사상이 유행하면서 장재 의 작품은 산림은과 조은을 대비했다. 하지만 이들의 작품은 은거를 긍정한다는 점에서 초은 이라는 제목과 어긋나는 주제를 표현했다. 왕강거의 작품은 이런 현상을 의식적으로 고치려 는 의도가 있었던 작품이다. 그는 제목에 ‘반(反)’자를 붙였고 내용도 원작의 주제를 회복했 다. 하지만 이 역시 제목과 주제가 일치하지 않는 결과를 낳았다. 이후 『초은시』 창작은 사라 지는 추세가 되었지만 산수시의 탄생과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During the JIN dynasty, 「Zhaoyinshi」 creation was very popular and it is an important genre where seclusionism of intellectuals at that time is expressed. Works inherited to date are 11 poems and are mainly included in 『wenxuan』 and 『yiwenleiqu』 . The original meaning of Zhaoyin is to appeal to a teacher in the mountain to take up a public office in the world. In contrast, however, zuosi and luji, Zhangzai’s works expressed their longing for seclusion. Their works expressed the subject contrary to the title of Zhaoyin in terms of affirming seclusion. Wangkangju’s works intended to correct this phenomenon consciously. He added ‘anti’ in the title and the contents also restored the subject of the original. However, this also brought about results that the title and subject do not match. And then, 「Zhaoyinshi」 creation tended to disappear but influenced the birth and development of landscape poem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장화의 초은시
 3. 육기, 좌사의 초은시
 4. 장재, 여구충, 왕강거의 초은시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논문초록】
저자
  • 이규일(국민대학교 중문과) | Lee Kyu-Ill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