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Measurement of Fusional Vergence Reserve Amount Using Digital Camera KCI 등재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융합예비량 측정에 관한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71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프리즘이 가해짐에 따라 변화된 눈의 영상을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분석하고, 융합 예비량을 타각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조사하여 기존 자각식 측정법과의 유의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20세 이상 교정시력 1.0 이상인 남녀 30명(평균연령 23.77±1.52세)을 대상으로 원거리(3m) 및 근 거리(40cm)에서 프리즘 바를 이용한 스텝버전스법으로 음성융합버전스와 양성융합버전스를 각각 3회 측정 하였다. 그리고 캐논 6D DSLR 카메라와 100mm macro 렌즈를 사용하여 융합예비량 측정 시 프리즘 단계 별로 촬영하였으며, 동시에 자각적으로 분리점, 회복점을 보고 받아 기록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리즘 단계별 사진의 동공 간 거리를 측정하여 그래프로 나타내고 자각적 측정값의 보고 지점과 대조하여 유의성을 확인 하였다. 결과: 사진으로 촬영 후 측정한 동공 간 거리 변화 그래프가 음성융합버전스 측정의 경우 동공 간 거리가 일정하게 증가 또는 감소 하다가 분리점과 회복점으로 보고한 지점에서 그래프 기울기 변화가 나타났고, 양 성융합버전스 측정의 경우 동공 간 거리가 일정하게 감소 또는 증가 하다가 분리점과 회복점으로 보고한 지 점에서 그래프 기울기 변화가 나타났다. 기울기의 변화가 나타난 지점을 타각적 측정값으로 결정하고 자각 적 측정 지점과 비교한 결과, 측정값 평균은 원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의 경우 타각식 12.63±5.48⊿, 자각식 11.41±3.88⊿, 회복점은 타각식 9.15±4.12⊿, 자각식 8.11±3.47⊿, 근거리 음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의 경우 타각식 16.74±4.01⊿, 자각식 15.93±4.66⊿, 회복점은 타각식 12.55±3.43⊿, 자각식 11.91±3.90⊿ 이었다. 원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타각식 18.52±4.84⊿, 자각식 18.58±5.73⊿, 회복점은 타각식 13.36±3.89⊿, 자각식 13.17±4.34⊿, 근거리 양성융합버전스 분리점은 타각식 22.85±6.33⊿, 자각식 22.96±6.21⊿, 회복점은 타각식 17.13±4.61⊿, 자각식 17.48±5.37⊿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5). 결론: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한 타각적 측정값과 프리즘 바를 이용한 자각적 측정값이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타각적 측정법이 자각식으로 검사를 할 수 없는 유아나 장애인의 융합예비량 측정에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thod of measuring the fusional vergence amount by analyzing the image of the eyes changed with the application of the prism using a digital camera and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is method with a conventional subjective measurement method. Methods: The subjects were 30 adults (mean age 23.77 ± 1.52 years) with corrected visual acuity of 1.0 or more and were measured negative fusional vergence (NFV) and positive fusional vergence (PFV) three times, respectively, using a step vergence method with a prism bar at distance and near. When measuring fusional vergence, each prism stage was photographed using a Canon 6D DSLR camera and a 100mm macro lens. At the same time, we recorded subjective break and recovery points. Finally, we measured that pupillary distance (PD) on photograph of each step of prism diopter and convert them to graph. The significance was identified by comparing subjective and objective values. Results: In the case of the NFV measurement, the graph showed a steady increase in the pupillary distance change measured after photographing, and a graph slope change at the point reported as the break and recovery points. In the case of PFV measurement, the PD decreased steadily, and the slope of the graph was changed at the point reported as the separation point and the recovery point. The mean value of the NFV at distance was that objective ‘12.63±5.48⊿’, subjective ‘11.41±3.88⊿’ at the break point, objective ‘9.15±4.12⊿’, subjective ‘8.11±3.47⊿’ at the recovery point. For near NFV break points were that objective ‘16.74±4.01⊿’, subjective ‘15.93±4.66⊿’ and recovery points were that objective ‘12.55±3.43⊿’, subjective ‘11.91±3.90⊿’. The break points of distance PFV were that objective ‘18.52±4.84⊿’, subjective ‘18.58±5.73⊿’ and the recovery points were that objective ‘3.36±3.89⊿’, subjective ‘13.17±4.34⊿’. The break points of near PFV were that objective ‘22.85±6.33⊿’, subjective ‘22.96±6.21⊿’ and the recovery points were that objective ‘17.13±4.61⊿’, subjective ‘17.48±5.37⊿’. The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measured values between that the objective measurements using a digital camera and the subjective measurements using a prism bar. Therefore, it would be useful to measure the convergence reserve in infants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who can not perform self - examinations using a digital camera. It is thought that the method of measuring fusional vergence range using a digital camera is useful for the measurement of infants and the disabled who can not be measured by subjective method.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1. 대 상
  2. 측정장비
  3. 측정방법
   1) 자각적 융합예비량 측정
   2) 타각적 융합예비량 측정
  4. 자료 처리 및 분석
 Ⅲ. 결과 및 고찰
  1. 원거리 및 근거리 음성융합이향운동
  2. 원거리 및 근거리 양성융합이향운동
  3. 타각적 융합이향운동 측정 시 분리점과회복점
 Ⅳ. 결 론
 Acknowledgements
 References
저자
  • Min-kyu Choi(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의료학과) | 최민규
  • Kyung-ho Ko(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의료학과) | 고경호
  • In-Chul Jeon(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의료학과, 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 전인철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