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패류양식해역인 고성만 주변 표층 퇴적물의 유기물과 중금속 분포 및 오염현황 KCI 등재

Distribution and Pollution Status of Organic Matter and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 Around Goseong Bay, a Shellfish Farming Area,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92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해양환경안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and Safety)
해양환경안전학회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초록

우리나라 남해안의 대표적인 패류양식해역 중에 하나인 고성만 주변 표층 퇴적물 중 유기물과 중금속의 분포 및 오염현황을 이해하기 위해 입도와 총유기탄소(TOC), 총질소(TN), 중금속 9종(As, Cd, Cr, Cu, Fe, Hg, Mn, Pb, Zn)에 대해 조사하였다. 고성만 주변 퇴적 물은 세립질의 점토(clay)와 니(mud)로 이루어져 있었다. 유기물과 중금속은 만의 입구쪽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 였다. 특히, 퇴적물중 유기물 및 중금속의 분포와 C/N 비(5-10)를 고려하였을 때, 고성만 퇴적물 중 유기물은 해역 자체 내 생물체에 의해 생성된 해양기원성 유기물의 영향을 크게 받고, 중금속은 만 주변 혹은 만내 산재해 있는 인위적인 오염원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 로 파악되었다. 4 가지 퇴적물 오염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고성만의 중금속 오염현황을 살펴본 결과, 고성만 퇴적물은 전 해역에 걸쳐 중 금속에 대하여 약간 오염된 상태였으며, 만의 북쪽과 북동쪽의 일부 해역은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도가 높아 퇴적물에 서식하는 저서생물 에 큰 위해를 줄 수 있는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성만 주변 퇴적환경 개선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계획의 수립과 함께 지속적 인 양식활동 및 양식생물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오염물질에 대한 집중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병행되어져야 한다.

We measured the grain size, total organic carbon (TOC), total nitrogen (TN), and heavy metals (As, Cd, Cr, Cu, Fe, Hg, Mn, Pb, and Zn)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pollution level of organic matter and metals in surface sediment around Goseong Bay, a shellfish farming area, Korea. The surface sediments were composed of finer sediments such as mud and clay. The concentration of TOC, TN, and heavy metals were much higher in the innermost bay than in the mouth and outside of bay. The spatial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 and heavy metals and C/N ratio (5-10) in sediment showed that the organic matter and heavy metals in sediment of the study region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oceanic origin organic matter and anthropogenic sources,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four assessment techniques (sediment quality guideline, geoaccumulation index, pollution load index, ecological risk index), the sediments around the Goseong Bay were a little polluted for heavy metals and the high metal concentrations in the northern region of bay could adverse impact on benthic organisms in sediment. Thus, the systematic management plan for the improvement of water and sediment environment and the concentrated monitoring of pollutants for sustainable aquaculture and seafood safety around Goseong Bay are necessary in the future.

목차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시료 채취 및 분석
  2.2 중금속의 오염도 및 생물 위해도 평가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퇴적물의 조성 및 유기물 농도
  3.2 중금속의 농도 및 분포 특성
  3.3 중금속 오염도 및 생물 위해도 평가
 4. 결 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이가람(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Garam Lee
  • 황동운(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Dong-Woon Hwang
  • 황현진(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Hyunjin Hwang
  • 박정현(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Jung-Hyun Park
  • 김형철(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Hyung-Chul Kim
  • 권정노(국립수산과학원 어장환경과, Marine Environment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 Jung-No Kw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