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논문] SSR 마커에 의한 최근 육성 보급된 한국 벼 품종의 다양성과 품종 판별 KCI 등재

Genetic Diversity and Discrimination of Recently Distributed Korean Cultivars by SSR Mark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45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육종학회지 (Korea Journal of Breeding Science)
한국육종학회 (The Korean Breeding Society)
초록

국내에서 육성된 벼 품종 중에서 1998년부터 2005년까지 국립종자관리소를 통하여 보급된 67개 벼 품종을 가지고 벼 11개 염색체로부터 선발한 20개 SSR 마커들로 분석한 결과 총 대립인자수는 149개였으며 대립인자 수의 범위는 4~14개이었고 평균 대립인자 수는 7.5개였다. 대립인자들의 분자량의 변이는 RM335에서 51bp로 가장 컸고 RM253이 4 bp로서 가장 작았다. 분석에 사용한 20개 SSR 마커의 PIC값은 0.45(RM202)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genetic diversity and to develop a technique for cultivar discrimination using SSR markers in rice. Sixty-seven recently distributed rice cultivars in Korea from 1998 to 2005 were evaluated by 20 SSR markers. A total of 149 alleles were produced ranging from 4 to 14 alleles with an average of 7.5 alleles per locus. The molecular weight of alleles per locus varied from 4 bp (RM253) to 51 bp (RM335), and PIC values ranged from 0.45 (RM202) to 0.87 (RM204) with an average of 0.67. Of them, seven markers, RM204, RM257, RM21, RM224, RM249, RM253, and RM264, were selected as key markers for differentiating rice varieties. The seven markers produced a total of 67 alleles with an average of 9.6 alleles per marker. PIC values ranged from 0.48 (RM253) to 0.87 (RM204) with an average of 0.72. The 63 cultivars (94%) out of 67 cultivars could be individually identified by the genotype using the seven SSR markers, which will be applicable to discriminating rice cultivars.

저자
  • Ming-Mao Sun(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최근진(국립종자관리소)
  • 김홍식(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송범헌(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우선희(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이철원(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정승근(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 조용구(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