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정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비교연구 KCI 등재

Comparative research on the job satisfaction of correction and police offic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04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000원
矯正硏究 (교정연구)
한국교정학회 (Korean Society For Correction Service)
초록

이 연구는 범죄자를 대상으로 특수한 작업환경에서 직무를 수행해야하는 교정공무원과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Maslow의 욕구단계이론을 토대로 직무만족도를 비교 분석해 보고, 그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을 강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결과 경찰공무원은 교정공무원 보다 직무에 대한 안전성, 존중감, 성취감을 더 많이 느끼는데 반해, 교정공무원은 경찰공무원 보다 직무에 대한 안 정성 및 소속감 영역에서 세부항목에서만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전반적 으로 교정공무원이 경찰공무원보다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강구하였다. 첫째, 교정공무원의 직무에 대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 계구사용에 관한 합리적인 기준이 보다 명확하게 법률상 규정되어야 하고, 수용자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가석방 심의에 교정공무원의 평가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경찰에게 실시하고 있는 직무환경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맞춤형 복지 제도'를 교정환경에도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정공무원의 존중 감을 높이기 위해 교정행정 역시 경찰에서 시행하고 있는 다양한 홍보시스템 구 축 및 뉴미디어 활용 등의 전략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하다. 셋째, 교정공무원의 성취감 향상을 위하여 교정공무원 개인에게 필요한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발해야한다. 더불어 현재 실시하고 있는 장․단기 해외연수 프로그램을 확 대․실시하여 보다 선진적인 교정제도를 우리 실정에 맞게 도입함으로써, 교정 행정의 선진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politic proposal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comparatively reviewing the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Maslow's desire step theory, of correction officer and police officer working in special job circumstances to handle criminals. The result of this review indicated that on the whole correction officer holds less job satisfaction degree rather than that of police officer because correction officer holds more satisfaction only in the particular items of stability and identity area than the police officer does, while the police officer holds more job satisfaction in the section of safety, respect, achievement than the correction officer does. The following is the politic proposal based on this result of research. First, the more reasonable standard for correction equipment should be stipulated in the relevant law to enhance the job safety of the correction officer and the result of evaluation from the correction officer should be included and directly reflected in the process of parole to manage the prisoners. In addition 'tailored welfare system' already operated to the police officer which has been differentiated by reflecting the speciality of job circumstance should be applied to the correction circumstance. Second, the good image of correction administration wining public confidence should be established by the strategic public relations activities through building up various public relation system and resorting to new media methods already implemented by the police to foster the respect of correction officer. Third, the training program for correction officer should be provided to the correction officer in consideration of diversification of correction system to enhance achievement of correction officer. Plus the advancement in the correction administration should be made through reflecting more advanced correction system acquired by the expanding implementation of current long or short term overseas training program.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분석결과
  Ⅴ. 정책적 제언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허경미(계명대학교 경찰학부 교수) | Huh, Koung-Mi (Professor, Keimyung University)
  • 박소은(건동대학교 행정학부 경찰행정 전공 강사) | Park, So-Eun (Instructor of Kundong University)
같은 권호 다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