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작업 환경개선을 위한 편이장비 컨설팅 효과 및 만족도 조사 KCI 등재

A Survey of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a Compact Equipment Project for Convenient Use in Agricultural Wor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28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5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농업인들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며 효율적인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농작업 편이장비 컨설팅 사업을 통하여 농업인들의 컨설팅 만족도 및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강원도 W지역 복숭아 농가 중 23가구를 대상으로 6월∼10월 4개월에 걸쳐 컨설팅을 실시하였다. 컨설팅 전 사전 평가로 농작업 동작평가, 기존장비의 만족도 평가, 편이장비 선정 시 고려하는 요소에 대한 평가, 통증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컨설팅 후에 지급된 장비의 만족도 평가, 통증평가, 컨설팅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컨설팅 전․후 통증평가 및 컨설팅 만족도 평가는 대응표본검정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기존에 운반작업에서 사용하는 장비로는 대부분이 수동식 손수레를, 제초작업에서는 작업자 신체에 설치하는 동력제 초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탑재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때문에 편이장비 지급 전에는 작업동작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유해요인이 발견되었고 신체적으로 경험하는 통증도 높은 수준이었으며, 현재 사용 장비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수준이었다. 편이장비 선정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는 ‘수리 및 유지관리’였다. 시연회를 통해 편이장비가 지급된 후,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유해요인인 작업동작의 발생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신체적으로 경험하는 통증 정도 또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01). 지급된 편이장비에 대한 만족도는 지급전에 비해 향상하였으며, 작업자 만족도와 컨설팅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의 컨설팅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컨설팅을 통한 편이장비의 인간공학 적인 개선은 편이장비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연구에서는 좀 더 체계화된 컨설팅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 Throughout the process of a compact equipment project,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s making an effort to improve the agricultural working environment and condi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work and investigate the need for a consulting project on improving the working conditions and worker satisfaction.
Methods : Twenty-three peach farmers living in a rural town, W,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roject proceeded in the following sequence: First, we investigated the risk factors for musculoskeletal disease by evaluating the subjects’ working postures, satisfaction with preexisting equipment, factors of consideration when selecting compact equipment, and degree of pain in the musculoskeletal region. After a consultation process, we evaluated the working posture and degree of pain. A survey of worker satisfaction with the equipment and a consulting service were conducted.
Results : Before being provided compact equipment, the workers used handcarts for most of their carrying work, wearable equipment while weeding, an no equipment during loading work. Because of preexisting working conditions, they had many risk factors in terms of musculoskeletal disease. Their degree of pain was rather high, and satisfaction with their preexisting working equipment was rather low. The ‘Repair and Maintenance Service’ factor was chosen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selecting compact equipment. After using the new equipment, their risk factors in terms of musculoskeletal disease and degree of pain decreased significantly(p<.001). Also,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quipment and consulting service was rather high.
Conclusion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mpact equipment project ha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agricultural work-related problems and satisfaction with equipment and the consulting process. We expect that this kind of consulting service can increase worker satisfaction regarding equipment and working conditions. In the future, more research on the effects of a systematic consulting project will be needed.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방법
  2. 연구절차
  3. 연구도구
  4. 분석방법
 III. 연구결과
  1. 일반적 특성
  2. 농작업 현황조사
  3. 농작업 편이장비 지급 전․후에따른 변화
  4. 농작업 편이장비 지급 전․후만족도 비교
 IV. 고 찰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한솔(서울시 도봉구 보건소) | Kim Han-Sol (Dobong-Gu Health Center, Seoul City)
  • 유지은(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대학원) | Yoo Ji-Eun (Dept.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조은미(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대학원) | Jo Eun-Mi (Dept.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정윤주(연세대학교 작업치료학과 대학원) | Jeong Yoon-Ju (Dept. Occupational Therapy,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 정민예(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Jeong Min-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Yonsei University)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