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스포츠 정서 질문지(SEQ)의 교차 타당성 검증 KCI 등재

Examining the Cross-Validity of Sport Emotion Questionnai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50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정서 질문지(Sport Emotion Questionnaire; Jones, Lane, Bray, Uphill, & Catlin, 2005)의 5요인 측정모형에 대한 교차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두었다. 연구대상은 체육중고등학교 운동선수 828명(남자선수=552명, 여자선수=276명)이었다.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다집단 요인분석을 통해 처리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요인 측정모형의 적합도는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x2=1955.114, df=199, p<.001, TLI=.904, CFI=.927, RMSEA=.073). 하위요인의 신뢰도 계수는 .66에서 .83까지의 범위로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측정가중치, 구조공분산 및 측정잔차가 성별과 학년별 집단 간 동일한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부분 교차 타당성이 성립되었다. 이 결과는 스포츠 정서 질문지가 경쟁 전 불안, 우울, 화, 흥분, 행복 등의 정서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요인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남녀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개별정서를 측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측정도구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ross-validity of Sport Emotion Questionnaire (SEQ; Jones, Lane, Bray, Uphill, & Catlin, 2005). Participants were 828 physical education middle and high school athletes (552 males, 226 females). For data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correlati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indicated that five-factor model was the most adequate fit for the data (x2=1955.114, df=199, p<.001, TLI=.904, CFI=.927, RMSEA=.073). The internal consistency value for all sub-scales was comparatively acceptable ranging from 0.66 to 0.83. Multi-group factor analysis indicated that the measurement models were invariant in measurement weights, structural covariance, and measurement residuals across gender and grade. In conclusion,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imply that the Sport Emotion Questionnaire contains a factorial structure capable of measuring the pre-competition emotional state and is a valid measure applicable to male and female adolescent athletes.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기술통계
  2. 확인적 요인분석
  3. 신뢰도 및 상관분석
  4. 다집단 요인분석
 Ⅳ. 논 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중길(고려대학교) | Jung-Gil Park (Korea University)
  • 장덕선(한국체육대학교) | Duk-Son Chang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