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시각과 청각 모델의 제시가 복잡한 타이밍 동작과제의 학습 및 효과기 전이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Effect of Visual and Auditory Models on the Learning and Effector Transfer in a Complex Timing Tas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69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연습수행 전 다양한 방식의 감각 정보 제시가 복잡한 동작패턴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타이밍 요소가 내재하는 특징을 지닌 동작과제의 절대시간(absolute timing)과 상대시간(relative timing)의 학습과 효과기 전이(effector transfer)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참가자는 일련의 댄스스텝을 각각 다르게 구성된 리듬에 맞춰서 수행하였다. 이들은 동작과제의 정확한 타이밍 패턴과 관련된 시각 정보, 청각 정보, 시청각 정보를 제공받은 집단, 그리고 아무런 정보도 제공받지 않은 통제 집단으로 각각 무선 배정되었다. 연구결과, 청각 정보를 제공받은 집단이 연습단계와 파지단계에서 상대시간 오차가 다른 집단에 비해 더욱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절대시간 오차에 있어서는 모델화된 정보를 제공받은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구성요소의 수가 많고 복잡한 타이밍 과제의 상대시간 학습에 있어서 시각보다는 청각 정보를 사용한 사전정보 제시 방법이 더 효율적임을 보여준다. 반면에 동일한 동작패턴을 연습시기와는 다른 신체부분를 사용하여 생성해내는 효과기 전이단계에서는 시각과 청각이 결합된 정보를 제공받은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더욱 우수하게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주어진 동작기술에 내재하는 시공간적 특성에 따라 모델을 통해 학습된 시간적 정보의 전이에 가장 적합한 감각 정보의 유형이 결정됨을 시사한다.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models on the learning and effector transfer of relative and absolute timing associated with a dance skill. Participants attempted to learn a series of dance steps with a specific relative-timing pattern. During the acquisition phase, participants were provided with an auditory model, a visual model, a combined visual and auditory model, or no model of correct perform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r relative-timing information, the groups with the auditory template produced significantly lower errors during the retention phase. For absolute-timing information,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sensory models. This was interpreted as strong evidence for the superiority of auditory information for the learning of relative timing features of the task. During the transfer phase in which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perform the task with different limbs, the group with a combined auditory and visual model exhibited a better performance than others. This result suggests that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a given task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selecting an optimal sensory model for the effective transfer of learned temporal information.

저자
  • 안은희(고려대학교) | Eun Hee An
  • 문창일(고려대학교) | Chang Il Mun
  • 박진훈(고려대학교) | Jin Hoon Park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