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축구 집단효능감 검사지 개발과 타당화 검증 KCI 등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Test of the Collective Efficacy Questionnaire for Socc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1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축구 집단효능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 개발과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과정은 Short 등(2005)의 CEQS 개발에 근거하였으며 5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는 개방형설문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707개의 원자료를 바탕으로 내용과 의미에 따라 범주화 하였으며. 범주화 결과 13개 세부요인, 7개 일반요인의 66문항이 제작되었다. 2단계는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적합한 42문항이 선별되었다. 3단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실시 결과 4요인(팀 전력, 충분한 훈련, 지도자신뢰, 효율적 의사소통) 16문항으로 분류되었다. 4단계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요인과 질문문항의 적합성을 검증하였고 4요인 15문항이 타당하였다. 5단계는 성별 및 수준에 따른 다집단 분석과 수렴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시결과 성별과 수준(아마, 프로)에 관계없이 공용검사지로 활용할 수 있으며, 집단응집력과 수렴타당도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축구 집단효능감 검사지로서 신뢰성이 매우 높은 측정도구 임이 검증되었으며, 개인의 점수와 집단효능감과의 점수 비교, 요인별 비교, 팀 차원의 점수와 수행 간의 상관관계, 미래의 결과를 예측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ollective efficacy scale for soccer and test its validation. The procedure of this study was based on the CEQS developed by Short et al.(2005). First, The data was collected by open-ended questionnaire. A total of 707 raw data were classified into 66 questions from 13 sub-factors and 7 general factors according to their contents and meaning. Second, the 42 questions with proper reliability and fitness were selected through pilot-test. Thir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reclassifying into 16 questions and four factors; team strategy, sufficient training, trust for leader, and effective communication. Fourth, four factors and 15 questions were determined from factor analysis. Fifth, multi-group analysis and analysis on the difference among factors according to gender and level were performed. Thos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nted scale is capable of being used regardless of gender and level and that collective cohesion ensuring the convergence validity by inter-questions. In conclus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presented scale has validity for scale for collective efficacy in soccer,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in studying comparison between individual and collective scores, comparison on each factors, comparison between score and performance in team dimension, and predicting outcomes of future.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축구 집단효능감의 조사도구
  3. 축구집단효능감 연구절차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서술통계 및 문항분석
  2. 축구 집단효능감 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3. 축구 집단효능감 척도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
  4. 축구 집단효능감에 대한 다집단 분석
  5. 축구집단효능감과 집단응집력 간의 수렴 타당도 검증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유진(중앙대학교) | Yoo, Jin
  • 임수원(중앙대학교) | Lim, Su-We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