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al Background on Child Health: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he Low-income and Non-low-income Groups KCI 등재

부모의 교육수준이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저소득층과 비저소득층의 비교를 중심으로

  • 언어ENG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950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900원
사회적질연구 (Korean Journal of Social Quality)
한국사회적질학회 (Korean Association on Social Quality)
초록

근자에 건강불평등 문제가 한국사회의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건강이 개인적 요인보다는 사회구조적 요인에 의해 더 크게 좌우된다는게 최근의 경험적 연구들의 보고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 점에 착안해 부모의 교육수준(학력)이 아동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특히, 공공 복지 수혜 여부를 기준으로 저소득층과 비저소득층의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아동패널 조사(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단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층 아동들은 부모의 학력이 아동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비저소득층 아동들은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소득층 아동들의 경우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아동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빠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는 주양육자인 어머니가 생계의 최전선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는 저소득층 가정의 경제상황과, ‘아이는 엄마가 키운다’는 한국의 가부장적 가족문화가 만들어낸 ‘돌봄 공백’이 그 이유라고 본다. 본 연구는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양성평등적 돌봄 문화의 정립을 주장함과 동시에 섬세한 정책적 접근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예컨대 초등 돌봄에 대한 지원이 절실한 저소득층 가정을 위하여 지역사회 기반의 초등 돌봄 사회서비스(예컨대 서울시의 우리동네키움센터)의 도입 및 확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In recent years, the issue of health inequalit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social problem in Korean society. Recent empirical studies show that social structural factors have more impact on an individual’s health than personal factors. Based on this point, this study examined how parental educational background affects child health.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low-income and non-low-income groups, in particular, based on whether they benefited from public welfare. This study conducted a simple frequency analysi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5th’s year data of the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 (SPSC).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low-income children were affected by their parents’ educational background, while non-low-income children were not. Especially for low-income children, the higher a mot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 worse her child’s self-rated health. This is due to the ‘care deficit’ created by the economic difficulties of low-income families, as mothers, the main caregivers, are forced to make a living, and by the patriarchal family culture in Korea that says, “Children are raised by their mother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study argues that a gender-equal care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while at the same time arguing that a delicate policy approach is needed. For example, this study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s for primary care (e.g. Woori-dongne-kium Centers launch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for low-income families that are in desperate need of support for primary care.

목차
ABSTRACT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BACKGROUND
    2.1| Social Structural Factors Leading to the Child Health Inequality
    2.2| Key Factors Determining Child Health
    2.3| Measuring Instrument: Self-rated Health
3| RESEARCH METHOD
    3.1| Research Design
    3.2| Analysis Data
    3.3| Concepts and Measurements of the Key Analysis Variables
    3.4| Analysis Method of Data
4| RESEARCH RESULTS
    4.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4.2| Correlation Between Key Variables
    4.3| Analysis of the Mean Difference of Key Variables Based onWhether They Receive Public Welfare
    4.4| The Effect of Parental Educational Background on Child Health:Comparison between the Low-income and Non-low-incomeGroups
5|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
  • Mi-young Kwon(서정대학교 사회복지행정과) | 권미영
  • Bo-young Park(극동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박보영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