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풍수형국(風水形局)과 화석원(花石園)을 통해 본 임실 노동환가옥의 정원미학 KCI 등재

A Study on the Feng Shui-Tsui Aesthetics and Hwaseogwon Garden Illumination of No Donghwan’ House, Imsi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288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현장연구 그리고 정원주와의 인터뷰를 통해 임실 삼계면에 소재한 노동환(盧東煥) 가옥과 정원 특성을 살핀 것이다. 가옥의 조영역사, 정원배치와 상징미학성 그리고 사랑채에 부속된 화석원(花石園)의 의미 발굴을 통한, 전통정원의 조명을 목적으로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동환가옥은 소유주의 8대조 오류처사(五柳處士) 노엽(盧燁)이 1760년에 집터를 골라, 1775년에 건립한 것으로 도연명의 귀거래 정신과 백세청풍의 마음을 담아 오류정사라 당호(堂號)하였음을 알 수 있다. 사랑채에 게판된 ‘정양사(靜養舍)’ 편액을 볼 때, ‘오류정사’ 또는 ‘북계정사(北溪精舍)’로 명명되어 강학과 성정 도야의 공간인 사랑채는 후대로 오면서 ‘치유의 집’이라는 현실 개념이 보다 강화되었다. 한편 ‘연소형(燕巢形)’과 ‘사두형(巳頭形)’이라는 형국의 긴장감 속에 대립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가옥과 주변의 풍수지리적 관계는 노동환가옥과 정원에 비보(裨補)와 염승(厭勝)이 담긴 핵심적 상징미학성이 되고 있다. 사랑채 전면에는 3단의 화계 위에 화석원을 조성하였다. 사랑채를 중심으로 한 수양 및 풍류의 공간인 이곳에는 사랑채 마루 정면으로 ‘화석(花石)’이란 암각(巖刻)을 중심으로 괴석을 놓았다. 현존하는 화석원의 형태와 사랑채에 게판된 「북계정사기(北溪精舍記)」로 유추해 볼 때 화석원은 중국 당나라 이덕유(李德裕)의 평천장(平泉莊)을 본뜬 치석형(置石型) 석가산으로 판단된다. 또한 ‘화석’은 ‘한 송이 꽃과 돌’을 총칭하는 상징어이자 초건자의 유지를 받들어 가옥과 정원이 자손 대대로 유지되기를 당부하라는 유지를 담은 정원시설물로 풀이된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 and garden of No Donghwan’s House, located in Samgye-myeon, Imsil, through literature studies, field studies, and interviews with owner of gard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imed at finding the value of traditional garden by discovering the contrast history of the house, the arrangement of the garden, symbolic aesthetics, and the meaning of the special garden which attached to the Sarangchae(Men´s part of a house) are as follows. No Donghwan’s House was built in 1775 by Noyeop, the eighth generation of the owner, who chose a site in 1760, and it can be seen that it was named ‘Olyucheosa’ with the spirit of Do Yeonmyeong and the spirit of ‘Baeksecheongpung’. In terms of the ‘Jeongyangsa’ a tablet hung on the Sarangchae, a space between pursuit study and improving of temperament, which was called ‘Oryujeongsa’ or ‘Bukgyejangsa’, came to the future, and the concept of the reality of ‘A building of healing’ was strengthened. On the other hand, amid the tensions of the situation of ‘Abarn swallow type’ and ‘Head of snake type’, the confrontational and complementary No Donghwan’s House and the surrounding Feng shui geographic relationship has become a key symbolic aesthetic that contains secrets and salts in the house and garden of No Donghwan’s House. In front of Sarangchae, the ‘Hwaseog-won garden’ was carved in rock in odd stones a letter, which is presumed to be a space for creating culture and taste for the arts. In analogy with the existing form of the Hwaseog and the 「Buggyejeongsagi」, the Hwaseog-won garden is judged to be Seokgasan as calculus-shaped stones that mimics the Pyeongcheonjang of the Tang Dynasty Lee Deokyu in China. In addition, 'Hwaseog' is a symbol of the garden that collectively refers to 'Flowers and stones', and it is understood as a garden facility that demands that the house and garden be maintained for generations to generation with the support of the gardener.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및 범위
    2.2 조사·분석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오류처사의 정원 조영
    3.2 내원의 가옥과 정원현황
    3.3 가옥과 정원의 변화
    3.4 정원 이상향과 상징미학
    3.5 외원 화석원의 정원상
4. 결론
References
저자
  • 시천용(중국 안휘이공대학교 조경학과) | Tianlong Chai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hui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China) Corresponding Author
  • 한약양(중국 룽둥대학교 예술설계학과) | Ruoyang Han (Dept. of Art and Design, Longdong University, China)
  • 노재현(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Jaehyun R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