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선거 이슈와 유권자 선택 : 제20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KCI 등재

Election Issues and Voter Choice : Focusing o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45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한국과 세계 (Korea and World Review)
한국국회학회 (Korea Society of Assembly Studies)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대 대선에서 쟁점이 되었던 선거 이슈를 중심으로 유권자의 투표행태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선거 이슈의 개념 은 선거에서 부각된 중요 정책 또는 의제를 지칭한다. 이 연구는 선거 이슈를 중심으로 한국의 제20대 대통령선거 결과를 분석하여, 다양한 정 치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 방법론은 이메일 설문조사를 활용한 계량적 분석을 사용한다. 가설 검증은 SPSS를 이용하여 일원분산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선거 이슈는 투표 참여 유 권자들 간의 집단별 차이가 존재하며, 지지후보 결정에도 중요한 변인임 을 확인했다. 특히 각각의 선거 이슈에 대한 인식 차이는 유권자 선택의 중요한 요인임을 발견했다. 그리고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와 더불어민주 당 이재명 후보 지지 유권자의 선거 이슈에 대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마 지막으로, 세대 변인과 이념 변인의 양극화가 향후 한국 정치와 선거에 서 주요한 변인이 될 것을 전망했다. 이상 20대 선거 이슈에 따른 분석 을 통해 차기 정부가 민주적인 통치성을 위한 협력과 통합노력이 필요함 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oting behavior of voters focusing on the election issues that became a major issue in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In general, the concept of an election issue refers to an important policy or agenda highlighted in an election. This study tried to suggest various political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focusing on election issues. The research methodology uses quantitative analysis using e-mail surveys. For hypothesis testing, one-way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using SPS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election issue among voters participating in the voting, and it is an important variable in determining support candidates.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each election issue was an important factor in voter choice. In addition, a difference was found in the positions of the voters supporting Yoon Seok-yeol and the Lee Jae-myung on the election issue. Finally, it is predicted that the polarization of generational and ideological variables will become a major variable in Korean politics and elections in the future.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와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분석
    1. 표본의 개요
    2. 분석
Ⅴ. 연구의 요약과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송경재(상지대학교) | Song, Kyongjae (Sangj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