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몽골, 한국, 미국 천연 제올라이트의 특성 비교 분석 KCI 등재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Zeolites from Mongolia, Korea, and the United Stat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1546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몽골(6종), 미국(1종), 한국(9종)지역에서 채취한 총 16종의 천연 제올라이트를 X-선 회절 분석, X-선 형광 분석, 열 시차, 열 중량 분석 및 양이온 교환능 분석을 통해 특성분석을 수행하였다. 16종의 시료 모두 두 종류 이상의 광물상이 공존하는 혼합광 형태이며, 주로 클라이놉틸로라이트, 휼란다이트, 모데나이트 및 차 바자이트와 같은 광물의 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일부 시료에서는 운모 점토광물인 일라이트와 석영과 같은 광물이 불순물로 함유되어 있었다. X-선 형광 분석 결과 16종의 천연 제올라이트는 SiO2, Al2O3, K2O, CaO, Na2O, MgO 및 Fe2O3 산화물이 함유되어 있었다. 미국 천연 제올라이트인 U-1 시료가 223.3 meq/100 g으로 양이온 교환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몽골 천연 제올라이트에서는 M-6 시료가, 한국 천연 제올라이트에서는 K-1 시료가 각각 166.6 meq/100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열시차 및 열중량 분석 결과 16종의 시료 모두 600℃까지 열적으로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 하였다.

The 16 natural zeolites collected from Mongolia (6 types), the United States (1 type), and Korea (9 types) were characterized by XRD, XRF, TGA, DTA, and CEC analysis. All 16 samples are composite minerals. Two or more mineral phases co-exist and consist primarily of minerals such as clinoptilolite, heulandite, mordenite, and chabazite. In certain samples, minerals like illite and quartz were present as impurities. The XRF analysis showed that the 16 natural zeolites contain SiO2, Al2O3, K2O, CaO, Na2O, MgO, and Fe2O3 oxides. The cation exchange capacity of the U-1 sample was 223.3 meg/100 g, which is higher than the rest of the samples. M-6 sample in Mongolian natural zeolite and K-1 sample in Korean natural zeolite showed the highest cation exchange capacity at 166.6 meg/100 g. As a result of thermal differential and thermos gravimetric analysis, all 16 samples showed excellent thermal stability up to 600℃.

목차
요 약
Abstract
서 론
연구방법
    실험 재료
    기기분석
연구 결과
    제올라이트의 광물 동정 비교
    제올라이트의 X-선 형광 분석 비교
    제올라이트의 열시차 및 열중량 분석 비교
    양이온 교환능 측정
연구 결론
사 사
REFERENCES
저자
  • 바야르사이칸 바트체첵(안동대학교 응용화학과) | Bayarsaikhan Battsetseg (Department of Applied Chemistry, Andong National University)
  • 김후식(안동대학교 응용화학과) | Hu Sik Kim (Department of Applied Chemistry, And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김영훈(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안동대학교 분석과학기술연구소) | Young Hun Kim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Institut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김정진(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안동대학교 분석과학기술연구소) | Jeong Jin Kim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Institute,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임우택(안동대학교 응용화학과, 안동대학교 분석과학기술연구소) | Woo Taik Lim (Department of Applied Chemistry, Andong National University,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Institute, And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