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가대표 선수들의 분노와 대처에 관한 탐색 KCI 등재

Exploring the Anger and Coping Strategy of the National Team Play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032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국가대표 선수들의 분노 유발 상황과 대처유형을 살펴보고 결과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편의표본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통해 2020년 도쿄올림픽 국 가대표 선수 중 15개 종목에서 173명을 선정하였다. 개방형 질문지를 통해 분노 발생 과정 1,155개, 대처방안 656개, 총 1,811개의 원자료를 확보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근거이론방법(Strauss & Corbin, 1998)을 통해 분석하 였다. 분노 유발 상황과 대처유형을 대회 참가 및 경기 중, 훈련 중, 일상생활 중 상황으로 구분하였으며 개방코 딩, 축 코딩, 선택코딩 순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대회 참가 및 경기 중 분노 유발 상황으로는 개인의 기량, 심판, 시설 및 환경, 상대 선수, 팀(지도자, 동료) 등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훈련 중 분노 유발 상황으로는 개인의 기량, 코로나 상황, 과도한 훈련, 팀(지도자, 동료) 등이 있었다. 일상생활 중 분노 유발 상황으로는 휴식권 침해, 대인 관계, 코로나 상황 등의 범주들이 구조적인 관계를 나타냈다. 분노 대처는 심상, 이완, 혼잣말 등 분노조절 요인 이 핵심범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노 유발 상황에서 다양한 분노조절 기제를 활용하는 것이 선수들의 심리 안정 과 성공적인 수행에 긍정적이라는 것을 예측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nger-inducing situation and coping type of national team players, an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result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selected 173 athletes from 15 sports among the national athletes of the 2020 Tokyo Olympics through the convience sampling method. Through the open questionnaire, 1,155 anger generation processes, 656 countermeasures, and a total of 1,811 raw materials were secu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Grounded Theory Method (Strauss & Corbin, 1988). The anger-inducing situation and coping type were classified into situations during competition participation, competition, training, and daily life, and analyzed in the order of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Results: categories such as individual skills, referees, facilities and environments, opponents, teams (leaders, colleagues) were derived as anger-inducing situations during competitions and games. Angry situations during training included individual skills, Corona situations, excessive training, and teams (leaders, colleagues). As for anger-inducing situations in daily life, categories such as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res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COVID-19 situations showed structural relationships. The core categories of anger response are anger control factors such as relaxation, and talking to oneself. It was predicted that using various anger control mechanisms in anger-inducing situations was positive for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uccessful performance of play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참여자
    2. 조사 도구
    3.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1. 국가대표 선수들의 분노 유발 상황
    2. 국가대표 선수들의 분노 대처유형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연수미(중앙대학교 석사과정) | Soo-Mi Yeon (Chung-Ang University)
  • 서성우(중앙대학교 강사) | Seong-Woo Seo (Chung-Ang University)
  • 허정훈(중앙대학교 교수) | Jung-Hoon Huh (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