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spergillus ochraceus와 Rhodotorula mucilaginosa 저감을 위한 자외선과 유기산 복합처리 효과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the Reduction Effect of Combined Treatment with UV-C and Organic Acid to Reduce Aspergillus ochraceus and Rhodotorula mucilaginosa Contamin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0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는 축산물 생산 환경에서 오염 가능한 Aspergillus ochraceus와 Rhodotorula mucilaginosa를 저감하기 위하여 자외선과 유기산을 활용하여 그 효과를 구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각의 균 현탁액(107-108 spores/mL)을 칼 표면에 1 mL 접종하고 37oC에 건조한 후 각각의 처리 조건에 활 용하였다. 먼저 유기산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아세트산, 젖산, 구연산을 활용하였으며 적정 농도 선정을 위하여 0.5, 1, 2, 3, 4, 5%의 농도로 제조하였다. 그 결과 아세트 산의 경우 약 5 log, 젖산은 최대 2 log CFU/cm2 감소하 였으나, 구연산의 경우 1 log 이하로 미미한 수준이었다. 이에 따라 유기산 처리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해 자 외선과의 복합처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두 균주는 모든 유기산에서 90% 이상 감소하여 초기 균주와 비교하였을 때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으며 특히 4%의 젖산은 자외선(360 mJ/cm2)과 함께 처리하였을 때, 2 log CFU/cm2 이상 감소하였으며 같은 조건에서 아세트산은 5 log CFU/ cm2이상의 저감능을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용한 4% 농도의 아세트산으로 제조할 경우 이취가 매우 심하여 작업자가 생산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이 에 따라서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유기산과 자외선 최적 처리 조건은 4% 젖산 용액에 1분간 침지한 후 자외선을 20분 가량(360 mJ/cm2) 살균 처리하는 방법으로 선정하였 다. 최종적으로 유기산 세척 및 자외선 처리가 된 칼로 돼 지고기 절단 작업을 수행하였을 때, 현장 오염 수준의 진 균류 농도에서 작업 후 돼지고기 표면으로 이행되는 오염 량은 모두 불검출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실험실 규모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 현장에서 살균된 도구를 활용하 여 작업 시 고기 표면까지 이행되는 교차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using pathogens and aqueous acids to reduce the Aspergillus ochraceus and Rhodotorula mucilaginosa contamination in livestock production environments. For this study, 1 mL of each bacterial suspension (107-108 spores/mL) was inoculated on a knife surface, dried at 37oC, and used under each treatment condition. Firs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c acids, acetic, lactic, and citric acids were used. Subsequently, to select the appropriate concentration, they were prepared at concentrations of 0.5, 1, 2, 3, 4, and 5%, respectively. Accordingly, to further maximize the effect of organic acid treatment, we combined the treatment with ultraviolet light. The two strai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compared to the initial strain, with a greater than 90% decrease in the concentrations of all organic acids. Consequently, acetic and lactic acids decreased by approximately 5 and 2 log colony forming unit (CFU)/cm2, respectively, when treated with ultraviolet light (360 mJ/cm2); however, citric acid decreased by less than 1 log CFU/cm2. However, when manufactured with 4% acetic acid, a severe malodor was emitted, making it difficult for workers to use it in a production environment. Accordingly, the optimal treatment conditions for organic acid and ultraviolet light for application were selected as follows: immersion in a 4% lactic acid solution for 1 minute and then, sterilization with ultraviolet light at 360 mJ/cm2. Finally, when a pork meat sample was cut with a knife that was finally washed with lactic acid and treated with ultraviolet light, the low level of inoculum transferred from the cleaned knife to the surface of the sample was not detected. In conclusion, using this established method can prevent cross-contamination of the surface of the meat during processing.

목차
Materials and Methods
    진균류 분리 및 동정
    저감기술 적용 대상 선정 및 균액 접종
    유기산 단일처리 및 복합처리
    복합처리 후 돼지고기 표면 오염도 분석
    통계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곰팡이 동정 결과
    유기산 단일처리 실험
    자외선과 유기산 복합처리 실험
    돼지고기 표면 오염도 분석을 통한 살균력 평가
Acknowledgement
국문요약
Conflict of interests
ORCID
References
저자
  • 이은선(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Eun-Seon Lee (Division of Animal Products Research and Development,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Wanju, Korea)
  • 김종희(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Jong-Hui Kim (Division of Animal Products Research and Development,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Wanju, Korea)
  • 김부민(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Bu-Min Kim (Division of Animal Products Research and Development,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Wanju, Korea)
  • 오미화(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축산물이용과) | Mi-Hwa Oh (Division of Animal Products Research and Development,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Wanju,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