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Ordination Platform of Yongyeonsa Temple in Dalseo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3216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700원
東洋美術史學 (동양미술사학)
동양미술사학회 (Association of Asian Art History)
초록

통도사의 진신사리 1과가 봉안된 <용연사 금강계단>은 석종형 ‘탑’의 형태로 1673년에 건립되었다. <석가여래비> 기록에 따르면 이는 통도사 고승 우운진희와 석조 장인들의 공헌 으로 판단된다. <용연사 금강계단>은 조각승 종인이 1708년에 중창하였다. 기단의 부조상 8기, 사천왕 상 4기는 종인이 속한 단응ㆍ탁밀 유파가 제작한 상들과 얼굴, 복식, 신체비례 등 표현에서 공통점을 보인다. 기단의 부속재 중 가구식 기단이 포함된 점은 <통도사 금강계단> 조형의 영향을 받은 것 으로 판단된다. 방형단 위에 원형단이 돋을새김된 탑신받침은 <사나사 원증국사탑>, <홍제 암 사명대사탑>을 계승한 것으로 추정된다. 부조상은 <용연사 금강계단> 건립 이전에 조성된 석탑 사례를 통해 팔금강상이라 여겨진 다. 또한 조선 후기 여러 의식집의 옹호게에 팔금강과 사천왕이 불린다는 점에서 유관하다 생각된다.

The Ordination Platform of Yongyeonsa Temple, which is enshrined one Śarīra of Tongdosa Temple, wa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bell-shaped stone stupa in 1673. Its construction is credited to Uun Jinhui the esteemed monk, and other stone craftsmen, as documented in the Stele for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 at Yongyeonsa Temple. The Ordination Platform of Yongyeonsa Temple was remodeled by Jongin the monk sculptor in 1708. The eight relief statues of stylobate and statues of Four Guardian Kings share similarities in expression, including faces, clothing, and body proportions, with the statues produced by the Daneung and Tangmil schools to which Jongin belonged. It is believed that the furnished stylobate of the second floor was influenced by stylobate of the Ordination Platform of Tongdosa Temple. And the pedestal of main body of stupa, with its circular capitals over a square base, appears to be a successor to the Stupa of State Preceptor Wonjeung at Sanasa Temple and the Stupa of Buddhist Monk Samyeong at Hongjeam Hermitage. The relief statues are believed to be Eight Vajras through examples of stupa built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Ordination Platform of Yongyeonsa Temple. It is also thought to be related to the fact that Eight Vajras and Four Guardian Kings are called at Onghoge in various Buddhist ritual books in the late Joseon Dynasty.

목차
Ⅰ. 머리말
Ⅱ. <용연사 금강계단>의 건립과 중창 과정
    1. 용연사로의 사리 이운
    2. 용연사 ‘탑’의 조성과 인적 네트워크
    3. 용연사 ‘탑’에서 금강계단으로의 중창
Ⅲ. <용연사 금강계단>의 형태
    1. 기단부와 탑신부
    2. 입상과 부조상
Ⅳ. <용연사 금강계단>의 양식과 도상
    1. 기단부와 탑신부의 조형적 시원
    2. 입상과 부조상의 표현을 통해 본 조각 유파
    3. 부조상의 도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김정윤(불교중앙박물관 연구원) | Kim Jeongyoon (Researcher, Central Buddhist Muse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