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의 동향과 河洺의 역할 KCI 등재

The School of Nam-myeong Trend since the King In-jo Restoration & the Role of Ha, Myeong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의 동향과 하명의 역할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1037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晉陽河氏 滄洲家는 남명과 내암을 淵源으로 하는 가문으로 16세기 중반부터 17세기 중반까지 남명학파의 핵심적인 가문으로 활동하였다. 하지만 창주가는 인조반정 이후 내암 정인홍과의 인척관계로 인해 집권 세력이 견지했던 태도와 경상우도 지역 남명학파가 퇴계학파의 남인으로 흡수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갈 등에서 자유로울 수가 없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滄洲 河.이 주도하여 간 행한 ..남명집.. 판본에 대해 1651년 정인홍 관련 문자를 훼손한 사건이 일어났 고, 뒤이어 1665년 진주 유생 崔栢年의 ‘大北餘孼’ 誣告 事件이 발생하였다. 이 두 사건으로 인하여 창주가는 가문이 멸할 중대한 위기에 봉착하게 되는데, 이 사건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창주가는 당색을 老論으로 전환하게 된다. 河.은 창주의 손자로서 창주가가 老論으로 전향하게 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하명은 내암을 비롯한 大北 관련 문자 및 퇴계 비판의 흔적들을 제거하여 남명의 문집을 淨化하고 퇴계의 명예를 회복하고자 하는 겸재 하홍도 의 의도에 따라 그의 문인들에 의해 훼판되자, ..남명집.. 釐正에 대해 동의할 수 없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그리고 인조반정 이후의 경상우도 지역 남명학파의 동향은 하홍도의 입장에 대해 적극적으로 지지하며, 하홍도를 중심으로 남명학 파의 주류가 퇴계학파의 남인 쪽으로 흡수되어 갔다. 최백년 무고 사건은 개인의 감정 문제로 인해 발생하였지만, 당시 창주가로서 는 河晉寶와 내암과의 인척 관계가 가문의 흥망을 가늠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 였다. 그래서 하명은 최백년의 무고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정인홍 집안과 통혼 한 점이 부담으로 작용하여 대북잔당론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기 때문에 결 국 서인의 종사였던 송시열과 송준길 문하를 찾음으로써 창주가의 보존을 추구 하였고, 결국 당색을 노론 기호학파로 전향하게 되었다. 그리고 하명은 기호 노 론학파의 명사들과 교유하며 世誼를 다졌고, 그의 행적은 후손들이 진주지역 노론세력의 구심점으로 자리하고 지속적으로 기호학파 명사들과 사우문인관계 를 맺는 중요한 바탕이 되었다.

The Chang-ju branch(滄洲家) of Jin-yang Ha clan(晉陽河氏) which originated from Nam-myeong(南冥) and Nae-am(來菴) came into operation as a central axis of the school of Nam-myeong(南冥學派) from the mid 16th century to the mid 17th century. But they had not been free from the rejective attitude of the party in power derived from the relative relation with Nae-am Jeong, In-hong(鄭仁弘) and the merging discord between the school of Nam-myeong and the school of Toe-gye(退溪學派) in Gyeong-sang Right Province(慶尙右道) since the King In-jo Restoration(仁祖反正). In this atmosphere, the intentional wood-block plate damaging scandal of [The Book of Nam-myeong](南冥集) upon the part which have relation with Jeong, In-hong printed by Chang-ju Ha, Jing(河憕) occurred in 1651, and the false accusation plot of 'Dae-buk-yeo-eol (大北餘孼)' in 1665 by Choi, Baek-nyeon(崔栢年) who was a Confucian in Jin-ju. The Chang-ju branch was finally confronted with the crisis of survival or not for both matters of grave concern, so they turned over their political line to The Oldster's Party(老論) in the resolving process of it. Ha, Myeong(河洺), a grandson of Chang-ju, took charge of a important role at changing the line of his family to The Oldster's Party. He sticked to the position that he could not agree with the Nam-myeong Books recovering activities, so he did next operation; removing the expression related with Dae-buk(大北) and covering up the traces of criticizing Toe-gye in the Nam-myeong Books, and helping the purgation of the Nam-myeong Books by Gyeom-jae(謙齋) Ha, Hong-do(河弘度) who tried to restoring Toe-gye's Honor. Therefore, the trend of Nam-myeong school in Gyeong-sang Right Province after the King In-jo Restoration showed that they supported Ha, Hong-do's standpoint and most of them were being absorbed in the Toe-gye school. Although the false accusation plot by Choi, Baek-nyeon was happened for individual emotion problem, as a matter of Chang-ju family, it was severe existence problem because it has a relative relation in marriage between Ha, Jin-bo(河晉寶) and Nae-am Family. Ha, Myeong visited the pupil of Song, Si-yeol(宋時烈) and Song, Jun-gil(宋浚吉), the great authorities of Seo-in(西人), and he tried to save the Chang-ju branch. Then he promoted friendly relation with well-known the Oldster's Party scholars in Gi-ho Province(畿湖老論學 派), so this achievement made his descendents occupy the centripetal point of the Oldster's Party in Jin-ju Area, and carried out a continuous relation with them.

목차
Ⅰ. 머리말
Ⅱ. 河洺의 가계와 생애
Ⅲ.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의 동향과 河洺의
역할
Ⅳ. 맺음말
저자
  • 鄭玄涉(경상대 한문학과 강사) | 정현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