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내재적 분석을 통한 소설의 인물 관계 연구 : 한설야 『塔』서 주인공의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KCI 등재

Study on the Character Relationship of Novels through Immanent Analysis : Focused on the Identity of the Main Character in the Novel, Tower by Hanseory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56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융합인문학 (Korean Journal of Converging Humanities)
한국융합인문학회 (Korean Association of Converging Humanities)
초록

이 글은 한설야의 소설 『탑』이 지닌 문학사적 의미를 인물 분석을 통해 드러내고자 기획되었다. 카프 맹 원인 한설야가 현실을 버리고 구한말 어린 소년을 내세워 글쓰기를 한 이유를 작품의 내적 상황에서 밝 히고자 하였다. 내재적 분석을 시도한 결과 『탑』의 중심 코드인 주인공 우길은 여성 인물 계섬과의 관계를 통하여 신분제의 해체를 겪고, 아버지 박진사와의 갈등을 통하여 정체성을 확립하는 계기를 맞는다. 그러나 이런 인물 관계의 분기점은 지속적으로 유보되어서 결말 부분에 이르러서야 표면화된다. 이를 『탑』의 열린 결말이라고 보았다. 그러는 동안 소설 『탑』은 가족사 속에서 가라져 가는 풍속과 가치 문화 를 병렬 구조로 제시한다. 이는 한설야의 작가적 암중모색의 과정에 해당한다. 본고는 『탑』을 1930년대 창작방법이나 장편소설론 속에서 탐색하지 않았다. 『탑』에 대한 더 적합한 논의는 1940년대 한국 문학 의 전체적 조망(외재 분석을 추가하는) 속에서 가능할 것이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reveal the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novel Tower by character analysis. I tried to reveal reasons why the author wrote about a young boy by analyzing internal circumstances of the story. The analysis shows that Ugil, the central code of Tower, undergoes the demolition of the class system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a woman character Gaesum and establishes an identity through the conflict with his father, Park Jinsa. However, the bifurcation point of this personal relationship is constantly reserved, and it is not until near the end that it comes to the surface. I see this as open-ended. In the meantime, the novel Tower presents the customs and value cultures in the family history through the way of parallelism. This corresponds to the author Hanseorya’s process of groping in the dark. I have not searched Tower in the way of the 1930s creation method or through the theory of feature novels. More appropriate discussion of Tower would be possible within the overall review of Korean literature in the 1940s (adding extrinsic analysis).

목차
Ⅰ. 서 론
 Ⅱ. 신분제 해체: 우길과 계섬
 Ⅲ. 정체성의 확립: 상도23)와 박진사
 Ⅳ. 열린 결말27)의 의미
 Ⅴ. 남은 과제
 참고문헌
저자
  • 하채현(전주대학교) | Chae-hyeon H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