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소설 담론의 계보학 : 윌리엄 스킬렌드 『고대소설』의 연구사적 의의 KCI 등재

Traditional Novels : A Study on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Professor W. E. Skillend‘s Kodae Sosŏ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695
  • DOIhttps://doi.org/10.14381/NMH.2016.52.12.30.12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이루어진 한국학의 업적을 오늘날의 관점에 서 비판하고, 한국학의 범위 확대와 질적 수준을 발전시키는 방안을 연구사적 검토를 통해서 모색하고자 했다. 여기서는 윌리엄 스킬렌드 의 『고대소설』에 수용된 연구사로서의 고소설 담론 및 그의 학문적 성과와 연구사적 의의를 검토하고, 국내외 관련 저작물에 나타난 고대 소설의 파급 효과와 학술적 공헌을 살펴보았다. 고대소설에서는 서론에서 언급한 실증적 방법론이 본론에 와서는 고소설 문헌자료의 분석에 엄격하게 적용되지 않았다는 문제점도 있었 다. 이러한 오류를 범한 주된 이유는 아시아소설에 대한 그의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역사적 문헌기록을 배제한 채 이루어진 스킬렌 드의 실증적 문헌연구가 영국소설에 기반한 그의 관념과 오리엔탈리즘에 의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윌리엄 스킬렌드가 소개한 근대적 문헌연구방법 은 한국 문헌학의 발전에 중요한 공헌을 했다고 간주된다. 뿐만 아니라 고소설 문헌의 계보를 추적하는 가운데 언급된 국내외 소설담론의 존 재를 알려주기도 했다. 또한 『고대소설』은 원본 자료에 대한 실증적 연구의 중요성을 제시하여 한국 고소설사의 문제점을 환기시킨 점에서 도 크게 기여했다. 또한 대외적으로는 중국소설을 번역한 작품 또는 중국소설의 번안 작품의 존재를 다루고, 한국 고소설의 해외 번역 상황 까지 소개했다는 점에서 윌리엄 스킬렌드의 『고대소설』은 한국학의 세계화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큰 성과로 평가된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 achievements in Korean Studies accomplished overseas are criticized from current critical viewpoints. This critical methodology has been adopted as a means to enhance the qualitative level of research in Korean Studies and expand the range of the discipline. We have investigated the discourse on Korean traditional novels in W. E. Skillend`s Kodae Sosŏl, and examined his academic achievements as well a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his research. We have also explain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nd the academic contribution of W. E. Skillend`s Kodae Sosŏl in Korea and abroad. One of the problems in Kodae Sosŏl was that the philological methodology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book was not rigorously applied in the analyses of the main body. We further point out that Prof. Skillend had some biased views about novels in Asia. This was caused because his analyses and description were not solely based on rigorous philological methodology focusing entirely on historical records, rather his analyses were somewhat influenced by the concept of theBritish novel and Orientalism. Nevertheless, his contributions were enormous. He introduced the modern phil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o Korea, which contributed considerably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philological literature. In addition, awareness of the existence of the discourse of traditional novels was raised inside and outside of Korea, in the course of searching for a genealogy of the literature on traditional novels. It should be noted that Korean scholars who were not aware of the importance of research on original literary texts, came to realize its significance through W.E. Skillend’s literary research. Kodae Sosŏl included not only translated works and adapted works of Chinese fiction, but also a review of the situation at that time where the Korean traditional novels were translated in foreign countries. Therefore, W. E. Skillend’s Kodae Sosŏl deserves fair evaluati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chievements in terms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Studies.

저자
  • 안동준(경상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겸 남명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Ahn, Dongzoon
  • 연재훈(Professor of Korean Language and Linguistics,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 Yeon Jaeh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