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의 피드백 발화 유형 분석 KCI 등재

Analysis of Teacher’s Feedback Patterns in Learning Community Clas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176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는 배움의 공동체를 경험한 교사들의 피드백 발화의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등 7개 수업을 녹화하여 전사하였다. 교사의 피드백 발화는 Kim(2014)의 분석틀을 이용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12개의 피드백 유형 중 ‘수용하기’와 ‘초점화하기’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수용하기’는 학습자와의 긍정적인 관계형성과 학습촉 진을 모두 의도하는 피드백 유형이며, ‘초점화하기’는 학습자들이 개념에 대한 의미를 구성하고 문제해결 촉진을 의도하는 피드백 유형이다. 특히 ‘초점화하기’는 일반 수업에서 피드백을 분석 한 선행연구에 비해 높게 나타난 유형으로 배움의 공동체 수업에서 핵심으로 생각하는 ‘점프과 제’ 및 ‘연결 짓기’와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달리 학습 동기부여를 위한 칭 찬하기와 격려하기는 가장 낮은 빈도를 보여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eedback utterances of teachers who experienced learning community. For this purpose, 8 classes were recorded and transferred to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feedback utteranc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Kim(2014). Among the 12 feedback types, 'accepting' and 'focusing' were the most common. 'Accepting' is a type of feedback that intends both to form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learners and promote learning. 'Focusing' is a type of feedback in which learners construct meanings of concepts and intend to promote problem solving. Especially, 'Focusing' is highly related to 'Jump Task' and 'Linking', which are considered to be key activities in learning community teaching, a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analyzing feedback in general classes. In contrast, praise and encouragement for learning motivation are the least frequent and need to be improved.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저자
  • 김영대(강진중앙초등학교) | Kim, Yeong-D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