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누구에게나 편리하고 안전한 대전시 공중화장실 디자인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Public Toilets Convenient and Safe to Everyone in Daeje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5872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8.52.1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대전시 하천변에 설치된 공중화장실은 조깅이나 운동시설을 이용하는 시민들을 위해 설치한 것으로 대부분 하천과 도로에 접한 한적하고 협소한 공간에 임시시설의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래서 공중화장실의 크기는 대부분 작고 위치는 하천변 보도 옆에 설치되어 있어서 어린이, 장애인, 노약자 등 사회적약자의 접근성이 좋지 않으며 이용자들이 적은 늦은 저녁이나 새벽에 여성 이용자들이 범죄에 노출될 우려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공중화장실을 누구나 이용 가능하도록 유니버설디자인 개념과 배리어프리 지침을 적용하고 여성이용자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셉테드 개념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대전 하천변에 설치된 공중화장실의 중 수세식 화장실 14개소를 선정하여 유니버설디자인 7원칙, BF인증기준, 셉테드 기법을 참고하여 조사서를 만들고 외부디자인, 설치위치 적정성, 이용자 접근성, 화장실 단차, 경사로, 출입구 통과 유효 폭의 적정성, CCTV, 안심벨 설치여부 등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외부디자인은 대전시 표준형디자인의 모티브, 형태, 색채적인 측면에서 통합디자인이 적용되지 않았고 공중화장실의 접근성은 도로와 하천변을 기준으로 경사로, 단차 제거 등이 완벽하지 않았으며, 신규로 설치된 화장실을 제외하고는 휠체어사용자의 출입문 통과 유효 폭, 회전 공간 등이 부적절하였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참고하여 외부 디자인은 대전시 표준형디자인의 모티브를 적용하고 내부는 휠체어사용자, 시각장애인 등 사회적약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고 여성이용자가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지능형 안심벨 설치를 제안하였다. 하천변에 설치된 공중화장실을 이용함에 있어 누구나 편리하고 여성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의 설치 및 관련 시설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기대해본다.

Public toilets along the riverside in Daejeon City are installed for citizens who are jogging or using exercise facilities, but most of them are in the form of temporary facilities and installed in secluded and narrow spaces between river and road. Therefore, they are mostly quite small in size and installed along the riverside, so the accessibility is not really favorable for users, especially the socially vulnerable like children, the physically-challenged and the elderly. Besides, since public toilets are mostly installed in secluded places, female users may be exposed to crimes late in the evening or at night when few people are around.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to apply the concept of universal design and the guidelines of ‘Barrier-free’ for anyone to use public toilets and the concept of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for female users to use public toilets safely. Thus, this study selected 14 flush toilets out of all the public toilets installed along the rivers in Danjeon as research subjects and prepared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7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the BF (Barrier-free) certification standard and the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 and investigated the exterior design, the suitability of location, the accessibility of users, the barrier, the ramp, the suitability of the entrance effective width and whether CCTV and the panic button are installed, etc. Based on the investigation results,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integrated design was not applied to the exterior design of pubic toilets, particularly in the motif, form, and color of Daejeon Standard Design. In terms of accessibility, ramps and barriers were not completely removed from the road and riverside, and except newly-built public toilets, all the other public toilets were inappropriate in the entrance effective width and the rotation space for wheelchair users. By referring to these investigation results, this study applied the motif of Daejeon Standard Design to the exterior design of public toilets and also newly designed the inside of public toilets so that the socially-vulnerable like wheelchair users and visually impaired people can use them more conveniently and even proposed the installment of smart panic bells so that female users can use public toilets safely. It is anticipated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ill be more R&D on public toilets and relevant facilities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anyone and safely used by female user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공중화장실 설치현황 조사
 4. 분석결과 및 디자인제안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최승철(대전광역시 도시경관과) | Choi, Seung Che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