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장년층 1인가구의 우울 예측요인

Predictive Factors for depression of late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0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400원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Korean Academy Of Practical Human Welfare Practice)
초록

본 연구는 장년층 1인가구를 대상으로 이들의 우울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11차 자료(2016년)를 이용하여 50-64세 1인가구 26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성별, 주관적 건강상태, 취업 여부, 가족관계 만족도,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가 우울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장년층 1인가구가 여성일 경우, 비취업자일 경우 우울 가능성이 높은 반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사회적 친분관계 만족도가 높을수록 우울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년층 1인가구의 우울 예방과 감소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dictive factors for depression of late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The study used Wave 11(2016) of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and study group targets are 268 people aged 50-64 living alon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ex, subjective health condition, employment, family relationship satisfaction, social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the major predictors. The results showed that late middle-aged women living alone tended to have a higher possibility of depression, and late middle-aged one-person households tended to have depression more when they had no job, while they tended to have a lower possibility of depression when they perceived their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as better, when they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 and social relationship.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 are discussed.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1. 분석자료 및 연구
  2. 변수 및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장년층 1인가구의 우울 정도
  2. 장년층 1인가구 우울집단과 비우울집단의 특성 비교
  2. 장년층 1인가구의 우울 예측요인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미현(국제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Park Meehyun (Gukje Cyber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