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경분야 BIM 도입을 위한 세부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Detailed Unit of Works for BIM in Landscape Architec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31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휴양및경관연구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초록

토목이나 건축공사와는 달리 조경분야의 프로젝트는 공정상의 특수성으로 인해 BIM 도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인접 분야인 건축, 토목 공사에서 BIM은 보편화 되고 있으며, 이를 고려할 때 향후 조경분야에서도 BIM 환경구축 및 도입은 필수적일 것이다. 특히 조경 BIM의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향후 조경분야 BIM 도입을 위해서는 조경 BIM 세부 공종 도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조경 BIM 도입 가능성의 검토와 세부 공종 도출을 통해 조경 BIM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경분야의 BIM 활용 방안 및 향후 발전 방향에 관한 내용이 도출되었다. 또한 대지분석 BIM, 공간계획 BIM, 조경요소계획 BIM의 3개 분야로 나뉜 조경 BIM 공종을 도출하였으며, 각 공종 분야는 다시 총 7개 부분의 31개 요소로 세분화되어 조경 BIM 세부 공종 내용이 도출되었다. 향후 본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 조경 프로젝트에 BIM을 도입하여 효율적인 조경 프로젝트 수행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ue to its specificity of the process, BIM is having difficulty in applying to landscape architecture projects, unlike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However, BIM is becoming common in related fields such as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Thus, it will be inevitable to establish the BIM and to apply the BIM in landscape architecture. In particular, studies on the unit of works for BIM in landscape architecture have been neglected, so it is necessary to study on the derivation of detailed works of BIM in landscape architecture to introduce BIM in the future. Therefore, the study aim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applying landscape BIM through reviewing possibility of landscape BIM and deriving the detailed works. To achieve this goal,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interview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Usability and future direction of BIM in landscape architecture and the detailed list of works for landscape BI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in future landscape BIM projects and contribute to the efficient landscape project implementation.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조경 BIM 공종 도출
    3.2 전문가 인터뷰 결과
    3.3 최종 조경 BIM 공종 도출 결과
4.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수연(건국대학교 대학원 산림조경학과) | Suyeon Kim (Dept. of Forestry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Konkuk University)
  • 김충식(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조경학과) | Choongsik Kim (Dep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Cultural Heritage)
  • 안경진(건국대학교 산림조경학과) | Kyungjin An (Dept. of Forestry and Landscape Architecture, Konk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