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조선 중후기 사대부의 봉정사 공간 향유 양상 KCI 등재

A Study on the Spaces of Bongjeongsa Temple in the Middle and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88915
  • DOIhttps://doi.org/10.14381/NMH.2019.64.12.30.19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본고는 문헌에 실린 봉정사 관련 시문들을 중심으로 시문이 창작된 연대와 배경과 의미를 살펴보고, 이들 시문을 통해 봉정사가 사찰이 갖는 기본적 기능 이 외에 유교적 공간으로도 적극적으로 활용된 점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봉정 사는 신라 시대의 승려인 能仁이 창건한 고찰로 알려져 있다. 극락전과 대웅전 은 독특한 건축 양상을 인정받아 국보로 지정될 만큼 매우 가치적인 공간예술이다. 또 봉정사를 포함한 주변 원림은 사찰이 지닌 특수성과 우수성을 인정받아 세계유산에 등재되는 성과를 이루었다. 이렇듯 봉정사는 불교 문화로서의 전통성과 심미성을 지닌 공간이다. 그런데 조선 중기에 접어들면서 지식인들이 사찰 공간을 유교 공간으로 활용하였고 특히 조선의 유학을 집대성한 퇴계가 16세에 이곳을 찾은 이후로는 그 상징성이 더욱더 커갔다. 그리하여 봉정사는 독서와 강학 공간으로 널리 활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곳에서 『퇴계집』을 중간하는가 하면 『번암집』과 『서산집』을 간행하는 등 인쇄문화의 꽃을 피웠다. 특히 김시 침·류원지·이이송 등이 주도하여 창건한 蒼巖精舍는 추념의 공간이자 성지순례 코스로서의 그 기능이 강화되었다. 이렇듯 불교적 수행·의례·강학의 공간인 사 찰이, 지역 사대부와 사족에게 강학·문집 간행·풍류 등의 방식으로 향유되었다.

In this paper, the age, background, and meanings of the creation of poetry were examined focusing on the poems related to Bongjeong Temple in documents, and through those literary works, Through these verses, Bongjeong Temple was actively used as a Confucian space in addition to the basic functions of the temple. Bongjeong Temple is known as an old temple built by Neuingin(能仁), a monk of Silla. Its Geukrakjeon and Daewoongjeon show so valuable spatial art that their unique architectural aspects have been acknowledged and they have been designated as a national treasure. In addition, the surrounding plantation including Bongjeong Temple has been recognized to have special and excellent characteristics of a temple, which has led to the achievement of their inscription on the World Heritage list. In this way, Bongjeong Temple is a place with tradition and aesthetic values of Buddhist culture. Then,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Ntellectuals used the temple space as a Confucian space. In particular, since Toegye, a leader of the East who compiled Confucianism in Joseon, visited here in the 16th century, The symbolism grew bigger and bigger. Accordingly, Bongjeong Temple was widely used not only for reading books and giving lectures, but also for the development of printing culture by publishing a special edition of 『Toegyejip』 and issuing 『Beonamjip』 and 『Seonsanjip』, etc. Especially, the functions of Changamjeongsa(蒼 巖精舍), which was founded by the lead of Kim Si-chim, Ryu Won-ji, Lee Yi-song and others, became enhanced as a space to cherish the memory for the deceased and as a pilgrimage course. As such, Buddhist temple, which is a place of Buddhist performance, ritual, and discipline, was enjoyed by the local nobility and clan in such a way as Ganghak, Munjip publication, elegance.

목차
국문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퇴계, 봉정사에서 독서하다
Ⅲ. 사대부의 봉정사 공간 향유 양상
    1. 강학 장소로의 활용
    2. 사대부들의 문집 간행
    3. 창암정사 건립과 선현 추모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黃萬起(안동대학교 퇴계학연구소) | Hwang Man-ki (Andong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