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동기시대 조기의 사회형태 시론 KCI 등재

Social Changes in the Neolithic Age and the Bronze 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0146
  • DOIhttps://doi.org/10.15397/JKBC.2020.26.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본고는 신석기시대부터 통시적 관점에서 청동기시대 조기의 사회형태를 검토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신석기시대 조기~전기의 복합수렵채집사회에 대한 논의, 신석기시대 후·말기 양상, 청동기시대 조기의 취락·농경·석기·청동기 양상, 돌대문토기문화의 기원지로 여겨지는 마성자문화의 양상을 살 펴보았다.
그 결과, 신석기시대 사회는 수렵채집어로를 바탕으로 기후 및 자연환경에 따라 사회규모와 형태를 변형시키는 유연성을 갖춘 사회였음을 확인하였다. 신석기시대 조기~전기는 복합수렵채집사회의 특 징을 보이나, 말기에는 기후악화에 따른 생업환경의 불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생존 전략을 구사하였다고 보았다. 그리고 신석기시대 말기는 평등사회의 범주에 포함되나 취락이 가족단위로 이루어진 소규모 분절사회의 형태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았다. 청동기시대는 농경사회를 바탕으로 사회복합화가 가속화되는 한 방향의 길을 걷게 된다. 조기 사회는 완만하지만 서열사회를 경험한 이주 농경민에 의해 형성되었고, 정착 및 잉여가 발생할 수 있는 토대가 갖추어진 사회였다. 그리고 가족단위와 친족단위의 분절사회가 공존하였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리더(리더를 포함한 집단)는 권위 표출이 제한되거나 그것을 표출하는 방식이 제도화되지 못하였다고 보았다. 전기이후 농경사회의 생업과 제도가 확산되면서 비혈연을 기반으로 한 지역집단이 형성되고, 지역집단 통할과 공동체 통합을 위해 취락 내와 취락간의 서열 발생이 가속화된다. 점차적으로 청동기, 지석묘 등의 장치를 통해 집단 내 서열은 더욱 공고해지고 제도화되면서 수직적 사회 분화가 심화된다.
이상으로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 사회는 연속적으로 점진적으로 한 방향으로 변화·발전하는 과 정에 있는 것이 아니다. 신석기시대 사회형태는 수렵채집이라는 획득경제 하에서 각 집단의 선택의 결과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청동기시대 사회는 도작농경이라는 생산경제 하에서 집단 통할과 공동체 통합을 위해 사회복합화의 길로 나아가기 시작한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characteristics of society in the initial phase of the Bronze Age which has not dealt with so far by taking a diachronic perspective. Therefore, it examines discussion on complex hunter-gatherer society from the initial phase to early Neolithic Age, aspects of settlement in the initial phase and facets of Machengzi Culture which is considered as an area of origin for banded-rim pottery culture and futhermore, reviews social changes from the Neolithic Age to the initial phase of the Bronze Age.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Neolithic society is flexible as it modifies scale and form of society depending on climate and natural environment based on fishing, hunting and collecting economic development. Especially, the people have to devise various survival strategies to overcome unstable natural environment to make living due to climate changes at the end of the Neolithic Age and this age can be categorized as the egalitarian society. But its settlement clusters are more likely to be small segmentary society, especially in family unit. The Bronze Age accelerates one-way society complexation to increase agricultural productivity, expand labor force and centralize in the agricultural society. The society in the initial phase focuses on agriculture, as it’s formed by agricultural people who experience hierarchical society which is moderate and this society is well established so that people can settle in and produce agricultural surplus. Also, it’s presumed that family-orientated or blood-tied segmentary society in kinship unit coexists and also, a leader including group where has leader is considered to be limited in expressing authority in the hierarchy or fail to institutionalize the way of representing the authority. As the livelihood and system is settled in the agricultural society in the early stage, it leads to region group with no blood ties and furthermore, the demand for controlling region groups and integrating communities might accelerate hierarchy between the community. Afterwards, the hierarchy within a group is reinforced and institutionalized through bronze weapon and tomb like dolmen, resulting in vertical social differentiation. To sum up, the society in the Neolithic Age and the early phase of Bronze Age is not changed in one direction gradually and sequentially and form of society is not result but process and differs by livelihood, natural environment, group size and cognition of group.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논의의 출발 : 부족(분절)사회의 스펙트럼
Ⅲ. 신석기시대 사회의 다양성과 변화
Ⅳ. 청동기시대 조기의 사회 변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천선행((재)전라문화유산연구원) | Cheon seon-haeng (Jeolla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