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을 둘러싼 한문교과목 운영 현황의 실제와 과제 - 서울 소재 D대학교와 S대학교의 국문과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 KCI 등재

Practices and Assignment of Classical Chinese Courses in University Education - Focused on the Korean Language and Class Examples of D University and S University in Seoul -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137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700원
漢字漢文敎育 (한자한문교육)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s)
초록

다양한 학문기반의 토대가 되는 한문과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이미 선행 연구들을 통해서 가치 실현이 되었다. 이러한 전제 속에 본고는 연구자 실제 강의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실제 한문과의 운영이 어떻게 존립하고 현상 유지되거나 위기에 처해 있는지 실증적으로 보여주고자 했다. 이를 종합하면 2019년도 강행된 강사법 시행령 문제와 관련하여 대학 내 현장적 운영 모습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첫째 현 시류에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나 계속 그 추이를 주목해야 하는 경우, 둘째 시행령의 포섭되어 강좌 폐지로 즉결된 경우 두 가지 사례가 진단되었다. 이러한 사실의 목도는 기실 이 논의가 필요한 이유이자 배태한 연원과 관련 깊다.
이러한 전후 상황과 관련하여, 실제 학습자들의 요구 사항을 검토해 본 결과, 유념해야 할 사항을 정리하면 3가지 정도로 추릴 수 있다. 먼저, 대학 본부에서는 학생들의 의견 수렴 창구 토대를 긴밀히 구축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과별 한문과가 연합하여 제각기 다른 가치 창출을 위한 밑거름 이 될 수 있도록 통합적 모색이 필요한데, 이때 다양한 채널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비전공자를 위한 수강과목 그리고 전공생을 위해서는 난이도 평가 구별을 통해 소수로만 운영될 분반별 강좌가 시행될 수 있도록 하는 조처도 요구된다. 이 같은 필요점은 취업 혹은 실용과 직결되는 교과목이 아닌 여타 학문과나 교양과 전체로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The discussion of the importance of Chinese literature, which is the foundation of various academic foundations, has already been realized through previous studies. Under this premise, this paper attempts to show empirically how the actual Chinese language operation is maintained, maintained, or in crisi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researchers. Taken together, the operation of the university in the field with respect to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2019 Instructor Law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nce it was determined that it was not affected by current currents, but it was necessary to keep an eye on the trends, two cases were diagnosed when the Classes were abolished by the second Instructor Law. This fact is the reason why this discussion is necessary and why it came out.
Regarding this back and forth situation, a review of the actual learner's requirements shows that there are three things to keep in mind. First of all, the university headquarters needs to build a solid foundation for collecting opinions from students. Second, an integrated search is needed so that the departmental Chinese textbooks can be united to create different values. In this case, various channels are needed. Lastly, courses for non-majors and major students also require measures to differentiate between difficulty assessments so that only a few classes can be run. This need may be extended to other disciplines or liberal arts as a whole, not directly to employment or practical use.

목차
국문초록
Ⅰ. 序言
Ⅱ. D대학교의 한문교과목 운영 현황 및 수업 사례
Ⅲ. S대학교의 한문교과목 운영 현황 및 수업 실제
Ⅳ. 전공⋅교양 교과로서 한문과의 위기와 그 대응 방안
參考文獻 Reference
Abstract
저자
  • 한새해(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교양대학) | Han Saehae (The Lecturer of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