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댄스스포츠선수의 경기효능감 구성요인 탐색 및 측정도구 개발 KCI 등재

Components Exploration and Scale Development of the Competitive Self-Efficacy in DanceSpor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9519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이 연구는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 이론을 기반으로 댄스스포츠 경기상황에서 선수의 수행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효능감(competitive self-efficacy)의 구성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진단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개방형 설문(선수 및 심판 70명)을 통해 경기효능감과 관련된 다양한 구성요인을 수집하였으며,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를 토대로 예비척도를 개발해 일련의 요인분석을 거쳐 경기효능감의 측정 구조를 검증 하고, 나아가 성별과 경력 및 입상경험에 따른 차이 검증을 통해 외적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댄스스포 츠선수의 경기효능감은 기본동작능력(BMA), 커플소통능력(CCA), 이미지관리능력(IMA), 음악표현능력(MEA), 신체정신능력(PMA), 및 작품구성능력(CPA)의 6요인(18문항) 구조로 확인되었다. 집단특성에 따라 남자선수가 여자 선수에 비하여 효능감 지각이 높았으며, 개인경력이 오래되고, 1위 입상경험이 있을 때 경기효능감 수준도 높았다. 결론: 이 연구는 댄스스포츠경기의 특성과 상황 및 맥락을 반영하는 다차원적 경기효능감의 구성개념을 확인 하고, 심리측정적 진단도구를 최초로 개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선수들의 수행력은 물론 다른 인지적, 정서적, 동기적 변인과의 관계성을 찾는 후속 연구들이 수행되길 기대한다.

Purpose: Based on Bandura(1977)’s theory of self-efficacy, this study aims to develop scale to explore and diagnose construct of the competitive self-efficacy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and behavior of DanceSport competitors in competition situations. Methods: The open survey collected various construct related to the competitive self-efficacy, developed preliminary scale based on induc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verified the measurement structure of the competitive self-efficacy through a series of factor analysis, and further confirmed the validity of external criterion through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 gender, career and functional level. Results: DanceSports comperitors’ competitive self-efficacy was confirmed by their basic movement ability(BMA), couples communication ability(CCA), image making ability(IMA), musical expressive ability(MEA), physical and mental ability(PMA), and choreography project ability(CPA) structure, and male competitors were more competitive self-efficacy than female competitor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winning experience.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concept of construct of multidimensional self-efficacy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situation and context of DanceSport competition and developed psychometric diagnostic scale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is, we hope that follow-up studies will be carried out to find not only the performance of competitors but also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 cognitive, emotional and motivational variabl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참여자
    2. 조사절차
    3. 자료분석
Ⅲ. 결 과
    1. 경기효능감 구성요인의 귀납적 내용분석
    2. 탐색적 요인분석
    3. 확인적 요인분석
    4. 외적준거 타당도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육인성(인천대학교) | In-Seong Yuk (Incheon National University)
  • 정진오(대한민국댄스스포츠연맹) | Jin-Oh Jeong (Korean Federation of DanceSport)
  • 성창훈(인천대학교) | Chang-Hoon Seong (Inche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