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엘리트 선수의 게임즈맨십 인식과 태도에 관한 질적 연구 KCI 등재

A Qualitative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s of Gamesmanship in Elite Athlet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001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게임즈맨십의 행동사례와 원인, 선수들의 정서 반응을 탐색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다. 방법: 5년 이상의 선수 경력을 지닌 18명의 엘리트 선수를 개인종목과 단체종목으로 구분하여 Focus Group Interview(FGI)로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의 절차대로 체계적 내용분석을 통해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게임즈맨십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 부정적 측면으로 엇갈렸다. 둘째, 게임즈맨십의 발생원인은 팀이나 동료, 상대방, 지도자나 부모, 운동의 문화적 환경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게임즈맨십의 행동사례는 각 종목의 특수성을 반영한 다양한 사례가 나타났다. 넷째, 게임즈맨십에 대한 자신과 타인의 반응을 종합하면, 본인이 했을 때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상대방이 했을 때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전형적인 자기-봉사적 귀인 패턴과 동맹의식을 보였다. 다섯째, 게임즈맨십은 선수들에게 긍정적,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미치고 일부에서 별다른 영향이 없다는 반응도 나타났다. 여섯째, 게임즈맨십에 대한 윤리·도덕적 판단은 경쟁, 승리, 결과 중시, 자기중심적인 Agon관점, 개인의 탁월성, 노력, 과정 중시의 Arete관점, 관습, 보편적 도덕 이성의 Ethos관점으로 구분하여 논의하였다. 일곱째, 게임즈맨십의 존재가치는 규제되어야 할 현상, 중립적 입장, 적극 활용되어야 할 전략으로 구분 되었다. 게임즈맨십을 대체할 방안으로 인성·윤리교육 실시, 규정 보완 및 강화, 지도자 지원 자격 강화 등의 다양한 내용이 나타났다. 결론: 경쟁과 승리에 치중하는 구조가 형성되면 스포츠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정적 측면이 창출되거나 강화될 수 있고, 자아실현과 수행능력에 비중을 높게 두는 구조가 형성되면 스포츠의 참된 목적에 다가갈 수 있다는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behavioral examples and causes of Gamesmanship in sports and player’s emotional responses. Methods: Study subjects were 18 elite athletes who had a player experience of more than 5 yea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FGI) with players in such individual sports and such group sports, and then collected data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qualitative study. Results: First, the recognition of Gamesmanship was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Second, the cause of Gamesmanship was by teammates or fellow players, by the other party, by coaches or parents, and by cultural environment of sports. Third, the behavioral examples of Gamesmanship diversely occurred in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sports. Fourth, regarding player’s response to Gamesmanship, they interpreted it positively when they did it, but they evaluated it negatively when others did it, thus presenting a typical self-serving causal attributive pattern and alliance consciousness. Fifth, some regarded Gamesmanship as having both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n players, whereas others thought it had no specific effect. Sixth, the ethical judgment on Gamesmanship was classified by agon perspective, arete perspective, ethos perspective. The existential value of Gamesmanship was divided into a phenomenon that must be regulated, a standpoint of neutrality, and a strategy that must be utilized actively. And finally, alternative measures for Gamesmanship were carrying out personality/ethical education, supplementing/reinforcing rules, and tightening coach’s qualifications. Conclusion: The fact that if the structure of sports games lays stress on competition and victory, Gamesmanship can generate or escalate the negative aspects of sports games, whereas if it gives more weight to self-realization and personal competency, Gamesmanship can get close to the real aim of sport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참여자
    2. 자료수집
    3. 자료 분석
    4. 연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5. 연구의 윤리성 확보
Ⅲ. 연구 결과
    1. 게임즈맨십에 대한 인식 및 견해
    2. 게임즈맨십의 발생원인
    3. 게임즈맨십 행동사례
    4. 게임즈맨십에 대한 타인의 반응
    5. 게임즈맨십 정서반응
    6. 게임즈맨십이 선수들에게 미치는 영향
    7. 게임즈맨십에 대한 윤리적 판단
    8. 게임즈맨십에 대한 도덕적 가치판단
    9. 게임즈맨십 존재가치
    10. 게임즈맨십 방안에 대한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허정훈(중앙대학교) | Junghoon Huh (Chung-ang University)
  • 서성우(중앙대학교) | Seongwoo Seo (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