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2016년 10월) 268

4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톡토기는 토양에 서식하는 절지동물로서 다양한 기후와 환경에 적응하여 생활하면서 전 세계적인 분포를 가지는 생물이다. 대부분의 톡토기 종들은 습기가 많은 표토층에 주로 서식하며 토양내의 유기물질을 섭취 및 분해하여 토양의 2차 생산 및 에너지의 유통과정의 중요한 역할을 생태계 내에서 수행하고 있다. 토양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톡토기를 이용하여 토양의 기초생산력을 측정하고 농약 및 비료와 같은 화학물질의 환경독성을 평가하거나 토양 오염에 대한 부차적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토양지표생물로 톡토기를 이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기도 하였다. 톡토기 종은 다양한 환경에서 서식하고 있어 절지동물의 환경 적응력의 생리적인 특성을 연구하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고, 서식지의 생태적인 특징을 파악하는 지표종으로 이용도 가능 할 것이다.
4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지구온난화를 포함한 환경 변화는 산림 및 농업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초식곤충인 나방은 종 다양성과 분류학적 정보가 풍부하고 정량적인 채집이 가능하여 환경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종으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나방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산림생태계에 태풍이나 산불로 인한 교란이 산림 및 초식곤충인 나방에게 어떠한 변화를 주는가를 확인하고 복원하는 과정에서 출현하는 지표종을 탐색하였다. 연구는 2011년 태풍의 영향 을 많이 받아 나무쓰러짐이 심했던 지리산 지역과 2012년 산불 발생으로 피해를 받은 제주도 한라산 지역을 대상으 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농업생태계 역시 기후변화에 따라 작물환경이 변화하고 이에 따른 곤충상 변화도 예상된다. 한국의 중남부(경북, 충청, 전남) 지역을 대상으로 농업생태계 유형(논밭, 과수원, 인근 산림)에 따른 나방의 다양성 을 확인하고 각 서식지 유형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종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나방을 이용한 산림 및 농업생태계 변화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4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장님마디톡토기는 토양생태계에서 오염물질의 독성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국제 공인 표준시험종으로 제안되고 있다. 토양생태계 먹이사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톡토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으며, 더 민감한 독성영향 종말점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토양오염물질인 중금속의 생태독성영 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장님마다톡토기의 도약능을 이용하였다. 장님마디톡토기는 표준시험법에 따라 중금속 오염토 양에 만성노출되었으며, 이후 생존개체를 수집하여 도약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톡토기의 도약은 일시적인 화학스트레 스를 이용하여 유도되었으며, 이를 회피하기 위한 운동능을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기록하여 평가하였다. 중금속 오염토양에 노출된 개체는 도약을 통한 회피 경로가 단순화되었으며, 도약 횟수와 길이가 중금속 농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중금속 오염토양에서 톡토기의 회피능력이 감소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생태독성을 평가하기 위한 종말점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4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sian tiger mosquito, Aedes albopictus, is considered as potential vector of Zika virus in Republic of Korea (ROK). Vector control during mosquito season is one of critical factors for decline of viral transmission. Total 14 oversea travel-associated Zika cases by mosquito bite were reported throughout ROK from January to September 2016 and vector control and monitoring at surroundings of patient’s residences was carried out during three weeks after confirmation of the virus. Although population density rates of Ae. albopictus were remarkably various according to ecological surroundings, population density of Ae. albopictus near forest was higher than urban. All captured Aedes mosquitoes were used for detection of three flavivirus, Zika, Dengue and Chikunguya, using RT-PCR and any virus was not detected. Population density of Ae. albopictus decreased > 65% on average after vector control and in one area > 95% of population density decreased. Our data might reveal that vector monitoring and control at surroundings near residences of oversea travel-associated Zika patients might effectively prevent viral transmission by mosquito bite and naturalization of the virus in ROK.
4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됨으로서 기존 및 신규 물질등록을 위한 자료 생산과 자국의 수 생태계의 보호를 위하여 다양한 시험생물들이 생태독성평가에 사용되고 있다. 물질등록을 위한 생태독성평가는 자국 및 국제적인 시험법에 따라서 추천된 다양한 실험생물들을 사용하여 시험을 하고 있으나, 각 국가마다 자국의 수질 및 저질 등 환경기준 설정, 수질오염 물질의 독성평가 및 규제 등은 국제적인 시험종 보다는 자국에 서식하는 토착 생물종을 이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1년부터 생태독성 관리제도가 시행되어 물벼룩(Daphnia magna)을 이용하여 개별사업 장과 폐수종말처리 시설의 방류수에 대한 독성평가를 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수 생태계 보호를 위한 생태독성 평가에 국내 서식종이 아닌 외래종을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은 한번쯤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며, 국내 서식하는 다양한 수서곤충을 시험생물로 개발하고자 하는 연구와 이미 다양한 연구에 사용되는 국내서식 수서곤충을 생태독성 표준 시험종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4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Various arthropods have directly and indirectly threatened human life by transmitting human pathogens such as malaria and Zika virus as well as by damaging crops such as direct feeding and transmission of plant pathogens. According to WHO, vector-borne diseases account for over 17% of all infectious diseases and there are over 1 million deaths from the diseases such as malaria, dengue, etc., globally. About 13% of total crop production is destroyed by agricultural pests during crop production and storage. To control medical or agricultural pests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used, but recently because of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uman health the demands for eco-friendly control method are increasing. Insect pathogens are good alternative candidates instead of chemicals. Over 50 entomopathogens including viruses, bacteria, fungi and nematodes are now commercially used as microbial pesticides. Entomopathogenic fungi have also been evaluated as control agents for a diverse insect pests such as aphid, moth, thrip, whitefly, mosquitoes, tick, etc. We will discuss a development of microbial pesticides using, especially, entomopathogenic fungi to control noxious arthropods to agricultural crops and human.
4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uring tick infestation, the tick secretes bioactive substances that modify the host’s physiological and immunological reactions. The study of tick saliva is important to understand tick biology as tick saliva plays a special physiological role in pathogen transmission. The average salivary protein concentration was found to be 0.169 μg/μl/tick and saliva secretion decreased with increased time of tick detachment from the host. Saliva secretion volume increased to 3.56 μl in the group of ticks with a body weight between 301–350 mg as compared to higher and lower body weight groups. On-chip-electrophoresis results show 13 distinct bands ranging from 9.9 to 294 kDa. For salivary protein LC-MS/MS was performed. A total of 135 tick salivary proteins were identified of which 30 proteins were found exclusively in fully engorged nymph saliva, 74 in fully engorged adult females, and 31 were detected in both stages. Results of this may help researchers to identify tick proteins as potential candidates for further studies aimed to develop novel tick control strategies to affect both the ticks and the pathogens transmitted by them.
48.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lternative control agents, hopefully overcoming the present issues and problems in agrochemicals, should be considered and finally applied to the vector controls. Entomopathogenic fungi can used as one of the possible novel control agents and great considerations are given to the control of soil- or water-dwelling stages of vectors, such as mosquitoes and ticks. In our research group, the entomopathogenic fungal library has been constructed using the mealworm-based isolation system, which showed a variety of opportunities of their use in vector control. Important key production technologies including granular formulation have been developed to increase their industrialization. Some entomopathogenic fungal isolates showed high biological performance in the control of mosquitoes and ticks in field stands. R&D of down-stream proces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as the key step.
49.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Globally, there is an increase in demand for organic products which has boosted the organic food industry. There has been a continuous incease in th organic agricultural land due to the aforementioned reaseons which has been in fluencing the use of chemical-free pesticides, fertilizers, and other agricultural inputs for cultivation. Also, the increasing per-capita expenditure income and high purchasing power of consumers in developing countries such as India, Brazil, South Africa, Korea, Japan, and China have forced the manufactures to offer a wide range of organic products to sustain competition. Agricultural biologicals are a group of products which are derived from natural sources such as microorganisms, plant extracts. or other biological matter, which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agriculture chemical products. Farmers can depend on these agricultural biologicals along with the biotechnology and variety of agronomic practices, in order to grow healthy and nutritious crops.
50.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년간(2014-2015) 인천공항으로 수입된 7종의 과일류와 채소류 금지식물을 대상으로 40개국 1,122건을 조사하여 245건에서 해충을 검출하였다. 망고는 32개국 383건을 조사하였으며, 72건에서 과실파리 금지해충을 포함 25종의 해충을 검출하였다. 호두는 10개국 214건을 조사하였으며, 32건에서 금지해충인 코드린나방을 포함하여 17종을 검출하였다. 망고스틴은 10개국 72건을 조사하였는데, 59건에서 29종의 해충을 검출하였으며, 81.9%의 높은 해충 검출율을 보였다. Citrus속 과일은 라임, 감귤, 오렌지, 자몽 등이 수입되었고 22개국 215건을 미평가된 과실파리 1종을 포함 조사하여 16종의 해충을 검출하였다. 멜론은 우즈베키스탄산을 10건 조사하여 4건에서 금지 과실파리를 검출하였다. 고추는 9개국 127건을 조사하여 35건에서 4종의 해충을 검출하였는데 대부분은 과실파리이며 종동정이 된 과실파리는 모두 금지해충이였다. 풋콩은 9개국 101건을 조사하여 8건에서 나비목 4종과 벌목 2종을 확인하였다. 검색어 :
51.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국제 교역량과 여행객의 급속한 증가에 따라 수입식물을 통한 외래병해충의 유입위험도 높아지고 있다. 지난 20년(1996~2015)간 우리나라로 수입된 식물 46,937천건에 대하여 병해충 검출건수, 품목 등을 분석한 결과, 최근 6년(2000~2015) 동안 수입식물 158,842건에서 병해충이 검출되어 검역처분을 받았다. 특히, 재식용식물에서의 병 해충 검출율은 2011년 이후 꾸준히 상승하여 2015년에 19.3%에 달했다. 2015년 한 해동안 병해충은 643종 10,164건 이 검출되어 검역건수 대비 4.5%에 달했으며, 이 중 최초로 검출된 해충은 40종이었다. 검출빈도가 가장 높은 해충은 매미아목이며 전체 해충 검출건수의 23.5%로 레몬과 바나나 등 생과실류에서 검출률이 높았고, 그 다음은 딱정벌레 목이 22.5%로 나왕각재와 사료용 옥수수 등 목재류와 사료류에서 주로 검출되었다. 한편, 종 수준의 동정율은 달팽 이류나 주로 유충태로 검출되는 파리목 등에서 낮아 동정기술 개발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류동 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룹별(과 단위) 프라이머 및 프로토콜의 구축 및 비파괴 Genomic DNA 확보 기술 개발을 대응방안으로 제시한다.
52.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물검역에서 규제는 종(species)을 기준으로 이루어진다. 종을 알아야 규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분류동정은 검역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이를 위하여 검출되는 해충 종 동정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가장 많이 활용하는 방법은 형태적인 분류동정방법이다. 그리고, 현재 보조적으로 분자생물학적인 진단방법을 활용하고 있다. 1차 식물검역기술개발종합계획 수행과정에서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개발사업과 식물검역기술개발사업을 통하 여 고해상도의 영상자료를 곤충 딱정벌레 446종, 애완용곤충 309종, 노린재목 377종 등 PIS(Pest Information System) 영상자료 구축을 통한 형태분류동정 자료를 확보하였다. 곤충의 분자생물학적인 연구는 870종의 나비목과 과실파리과 등의 DNA 바코드를 확보하고 53종의 진단키트를 개발하였다. 이중에서 바코드를 통한 진단법이 확립된 것은 금지급 26종, 관리급 190종, 기타 379종이 확립되었다. 선충은 뿌리썩이선충과 9종의 염기서열과 5종의 종특이프라이 머, 뿌리혹선충 10종의 염기서열을 생산하였다. 애완용곤충은 외국산 사슴벌레과 63종, 한국산 사슴벌레과 7종, 외국산 장수풍뎅이과 24종, 한국산 장수풍뎅이과 1종의 DNA 바코드 염기서열 확보하였다. 2015년에 제2차 식물검역기술개발종합계획에 해충 분류동정 연구는 추진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세부추진계획 로드맵로 구체화하여 외부 검토의견 수렴중에 있다. 계획에 금지급 60종, 관리급 1,480종과 규제비검역 2종의 검역해충 대부분 종들의 형태동정과 바코드 매뉴얼 보완 및 표준 표본 확보를 추진할 계획이다.
53.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규제병해충 또는 비검역병해충 및 수입 금지식물․금지지역․금지병해충을 지정하거나 조정 하는 경우 병해충 확인․위험평가․위험관리의 3단계의 순서로 위험분석을 실시한다. 병해충의 확인단계에서는 국내분 포 및 식물에 피해 여부, 발생예찰 여부 등을 검토하게 되고 다음 단계인 위험평가를 실시하게 된다. 위험평가는 유입가능성, 정착가능성, 확산가능성 및 경제적 중요성에 대해 세부항목별 위험평가요소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위험관리에 적용하여 금지병해충 적용여부 및 별도의 식물위생 안전조치 요구 여부 등을 결정하게 된다. ‘12년에서 ‘15년(4년간)은 이미 검역병해충으로 규제하고 있는 관리병해충 및 잠정규제병해충 2,176종을 대상으로 위험도 재평가를 실시하였고, ‘16년에는 수입검역과정에서 최초 검출된 병해충과 해외병해충발생정보 등을 통해 수집된 새로운 병해충 129종에 대한 위험평가를 진행 중에 있으며, 새로운 수입금지식물의 수입허용을 위해 29개국 18품목에 대해 수입위험분석을 추진하고 있다.
54.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지구온난화와 국제교역량의 증가 등에 따른 국내 돌발해충 및 외래침입해충의 발생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확산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이에 검역해충의 신속하고 정확한 분류동정을 통해 금지급 및 관리급 검역해충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그 동안 다양한 연구사업들을 통해 주요 검역해충들에 대한 맞춤형 분류키를 개발하여 구축하여왔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은 계단식 검색표로서 곤충분류를 전공하지 않은 사람들이 이용하기에는 쉽지 않다. 최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주요 곤충그룹들에 대한 대화형 키(interactive identification key) 제작이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장물해충, 진딧물, 독자처분해충들에 대한 대화형 키 제작 및 운용의 유용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검역해충 분류동정에 대한 대응방안 구축을 제시하고자 한다.
55.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xact life cycle and Parnassius bremeri’s response to heat shock stress from 2012 to 2016 in Holoce Ecosystem Conservation Research Institution through captive breeding. About 16 days(15.7±0.3days) later embryo in eggs were developed as pharate first instar and the eggs of Parnassius bremeri possessed the ability to undergo an extended aestivation hosting a fully developed pharate 1st instar larvae within the chorion. Pharate 1st instar in egg hatched from late in November to early in December about 194 days(194.3±1.1days) later. All pharate 1st instar in egg and out of egg survived at 25℃, 35℃. In case of 45℃ survival rate of pharate 1st instar in an egg (93.8±6.3%)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22.2±10%) of pharate 1st instar out of an egg. All was dead at 47.5, 50, 52.5 and 55℃.
56.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opulation size of Red-spotted Apollo Butterfly(Parnassius bremeri) has been reduced because of their habitats destruction and partly climate change. Estimation of metapopulation size and survival day of Red-spotted Apollo Butterfly was made in Samcheok where release was carried for 5 years, Korea, by using the mark-release-recapture method. 421(female: 188, male: 233) of Red-spotted Apollo Butterfly were captured and 177 individuals(female: 89, male: 88) were recaptured and rates of recapture was 42%. Average of survival day was 3.59 and max survival day was 11. The migration of Red-spotted Apollo Butterfly was occurred significantly between short patches. Their max distance of migration was 6.74km. Estimate of P. bremeri was from minimum 125 to maximum 1844.
5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물장군(Lethocerus deyrollei (Vuillefroy))은 노린재목(Hemiptera) 물장군과(Belostomatidae) 물장군속(Lethocerus)으로 분류하며 국내에서 서식하는 노린재 중 가장 대형 종으로 1998년 환경부에서 지정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 보호종이 다. 본 연구는 2016년 6월 8일부터 9월 24일까지 광주기가 인공 부화된 물장군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25℃, 광주기 16L:8D, 12L:12D, 8L:16D 조건에서 105개체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16L:8D에서는 6.30일(1령), 5.58일(2령), 6.70일(3령), 10.73일(4령), 21.72일(5령)로 총 50.80일이었고, 12L:12D에서는 각 령기별 생장 기간이 5.26일(1령), 4.51일(2령), 5.10(3령), 7.52(4령), 16.73(5령)로 총 38.61일이며, 8L:16D에서는 5.06일(1령), 5.11일(2 령), 6.24일(3령), 7.71일(4령), 15.61일(5령)로 총 38.43일로 나타내어 16L:8D 조건보다 12L:12D조건이 76%, 8L:16D조건 은 75.64%로 생장 기간이 짧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58.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larvae and to acquire useful biological information of insect larvae through rearing from 1997 to 2016 in HECRI(Holoce Ecosystem Conservation Research Institution). Total 148 species belonging to 16 families were collected and 45 species belonging to 12 families identified. Among identified species monophagous caterpillars dependent on maple tree were 16 species belonging to 6 families, polyphagous 29 species belonging to 9 families. The dominant family is Geometridae(50 species), second is Noctuidae(26 species) and followed by Tortricidae(18 species).
59.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etelia Gray, 1860, a largest genus within the subfamily Tryphoninae and its distribution is worldwide. The members of Netelia are known to be ectoparastic koinobionts of lepidopteran larvae. More than 330 species have so far been recorded and divided into 12 subgenera. Among them, the subgenus Amebachia Uchida, 1928 was reported as a genus by Uchida (1928) based on Amebachia baibarana from Taiwan. The lectotype of Amebachia baibarana Uchida, 1928, was re-examined and then this species should be a subgenus of the genus Netelia by Konishi (2010). Consequently, five currently valid species of Netelia (Amebachia) have been described in the world. As a result of the present study, the subgenus Amebachia belonging to the genus Netelia is reported from South Korea for the first time based on a species of Netelia (Amebachia) rasilella and N. (A.) yoshimatsui. Redescriptions and photographs of the diagnostic characters of two species are provided.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Basic Science Research Program throug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u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NRF-2016R1A6A3A03007788).
60.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2016년 5월부터 2016년 9월에 경북 김천시 봉산면에서 장기간 도로로 단절된 경부고속도로(46년 전 완공) 및 경부선 철도(111년 전 완공)지역에서 종 구성의 변화와 다양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보행성 딱정벌레르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딱정벌레과 11속 17종 287개체를 확인하였다. 우점종은 Synuchus nitidus 105개체 아우점종은 Coptolabrus jankowskii로 68개체가 확인되었다. 고립 지점과 비고립 지점에서 모두 확인된 종은 우점종과 아우점 종이며 Synuchus cycloderus, Nebria chinensis는 고립된 1개 지점을 제외한 서식지를 확인하였다. 고립과 지점에서 일부 종의 유전자 다양성에 대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한 유전자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