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 추계학술발표회 (2012년 10월) 189

포스터발표

161.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야간에 가로등에 유인되는 동물류 중에 가장 잘 알려진 것이 바로 곤충이다. 유인된 곤충은 대부분 그대로 죽게 되고, 생태계 내에서 1차 또는 2차 소비자의 역할을 하는 곤충의 개체군 감소로 인한 생태계 피해는 매우 심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가로등별 곤충 유인률을 알아내고, 서로 비교・분석하여 가로등별 주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조사는 2012년 8월 LED가로등이 설치되어 있는 충북제천과 경기도 과천에서 2회 반복 실험을 하였다. 실험방법은 약 7-8m의 가로등 기둥 3m지점에 곤충유인용 자외선 트랩을 설치하여 일몰 후 1시간부터 2시간 정량채집 후 회수하였고, 그 이후로 다시 2시간을 정량채집을 하였다. LED 가로등 5대와 나트륨등 5대, 그리고 다시 LED 가로등 5대와 CDM등 5대를 비교 실험하였다. 자외선 트랩으로 정량채집한 곤충을 실험실로 운반 후 종수 및 개체수로 계수하고, 40℃에서 48시간 동안 건조시킨 후 건중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LED등과 나트륨등 비교 1회 실험에서 5대의 LED 가로등의 유인률 평균은 52.2종, 201.4개체, 0.1962g이며, 나트륨등 5대의 유인률 평균은 60.4종, 337개체, 0.3834이다. 2회 실험에서 5대의 LED 가로등의 유인률 평균은 27.4종, 77.8개체, 0.088이며, 나트륨등 5대의 유인률 평균은 33.4종, 114.6개체, 0.1236g이다. LED등과 CDM등의 비교 1회 실험에서 LED등 5대의 유인률 평균은 35.8종, 107.2개체, 0.0576g이며, CDM등 5대의 유인률 평균은 44.4종, 111.2개체, 0.1142g이다. 2회 실험에서 LED등 5대의 유인률 평균은 58.6종, 131.8개체, 0.0716g이며, CDM등 5대의 유인률 평균은 55.8종, 129.6개체, 0.1438g이다.
162.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임도가 생물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여, 지표종으로 나비를 이용하여 임도의 영향을 분석했다. 조사는 가리왕산에서 임도(마항치~정선)와 등산로(마항치~가리왕산) 각각 1 km를 선정하여 선조사법을 이용하여 2012년 5월~7월까지 실시했다. 조사결과, 22종 92개체가 관찰되었다. 임도에서는 21종 80개체가 관찰되었지만, 등산로에서는 6종 12개체가 관찰되어 임도가 등산로보다 종수와 풍부도 모두 다 높았다. 임도가 나비의 종수와 풍부도가 높은 이유는 등산로에 비하여 비교적 넓은 열린 공간을 형성하여 점유행동, 짝짓기 활동 등을 할 수 있으며, 임도주변에는 다양한 초본식물이 개화하여 성충에게 흡밀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임도주변의 식생에는 유충의 먹이식물인 초본류와 관목류가 풍부하기 때문에 유충이 숲에 비해 많이 살 것이다. 따라서, 임도는 산림생태계내에서 나비의 다양성을 높이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163.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교란은 서식처의 이질성을 높이고 생물다양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교란에 의한 나비군집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광릉숲 일대에서 식생교란이 다른 4지점에서 선조사법으로 2011년 4월부터 10월까지 실시했다. 본 연구결과 70종 4,676개체가 관찰되었다. 각 조사지별로 관찰된 나비의 종수와 풍부도는 자연림(Route I)이 41종 527개체, 조림지(Route II)가 46종 756개체, 조림지(Route III)이 41종 833개체, 광릉수목원(Route IV)가 51종 2,560개체로 나타났다. 최우점종은 뿔나비(Libythea celtis)로 2,003개체가 관찰되어 전체의 43%를 차지했으며, 제2우점종은 큰줄흰나비(Pierismelete)로 1,023개체(22%)가 관찰되어 이 두 종이 전체의 65%를 차지했다. 자연림인 Route I는 Specialist가 Generalist보다 많았고 조림지인 Route II와 III은 Generalist와 Specialist의 종수가 같거나 Generalist가 조금 많았다. 반면, 인간 교란이 가장 심한 Route IV는 일반종(Generalist)가 특수종(Specialist)보다 많았다. Micro-habitat 평균값은 Route IV가 4.06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나비의 종수와 풍부도는 인간에 의한 교란강도가 강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Route IV에서 나비의 종수와 풍부도가 높은 이유는 자연림과 인공림에 비하여 하천, 습지, 연못 등 다양한 환경이 있고 열린공간이 조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초본성, 목본성 식물이 식재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164.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림 건강성이란 생태계의 복잡성을 유지하면서 인간이 필요한 것을 제공하는 산림 생태계의 상태를 의미한다. 산림 생태계 건강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수관의 상태, 지의류의 발생, 해충, 질병, 공기오염에 대한 잎의 상태, 위성사진 분석 등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곤충류를 이용한 산림건강성 평가는 거의 이루어 지지 않아 이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숲의 건강성은 군집구조가 자연성이 높은 숲(광릉숲)과 비슷할수록 건강할 것으로 가정하였다. 산림 건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홍릉숲의 개미와 딱정벌레를 함정트랩을 이용하여 2006년에 149개의 조사지점에서 조사를 실시했다. 본 조사결과를 광릉숲의 조사결과와 비교한 결과, 홍릉숲에서 개미는 26종 6,627개체가 채집된 데 비해, 광릉숲에서는 24종 874개체가 채집되었다. 이에 비해 딱정벌레는 홍릉숲에서 18종 352개체가 채집된 데 비해, 광릉숲에서 24종 15,064개체가 채집되었다. 개미의 개체수는 홍릉숲이 광릉숲에 비해 7.6배가량 많은 데 비해, 딱정벌레는 광릉숲에 비해 50배 가량 적었다. 개미는 도시숲에서 forest ground forager가 크게 감소한 반면, forest ground & vegetation forager가 크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홍릉숲에서는 개미와 딱정벌레 모두 일반종(Generalist)이 증가하였다. 딱정벌레의 경우에는 도시숲에서는 큰 날개종들은 나타나지 않았다. 다양성의 경우 종풍부도는 광릉숲에서 높았으나, 다양도는 홍릉숲에서 높았다. 이처럼 예상과 다른 현상이 나타난 것은 광릉숲에서 숲 고유종의 비율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홍릉숲은 광릉숲과는 곤충군집구조가 많이 다른 것으로 나타나 생태계 건강성은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165.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산불이 토양절족동물의 군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강원도의 산불 지역을 대상으로 조사를 수행했다. 본 조사는 2012년 6월 13일부터 15일까지 3일간 실시되었다. 강릉, 삼척, 울진, 고성의 산불피해지역에 형성된 인공복원지와 자연복원지, 그리고 주변의 미피해지의 토양을 채취해 Tullgren을 이용하여 절족동물을 분리했다. 분리된 샘플은 실체현미경 하에서 목 수준으로 분류했고, 톡토기의 경우 과 수준, 개미는 종 수준까지 분류했다. 본 조사결과 총 16목 439개체가 관찰되었다. 가장 우점하는 목은 벌목으로 123개체(28%)의 개미가 관찰되었다. 그 다음으로 풍부도가 높은 것은 날개응애아목으로 112개체(25%)가 관찰되었으며, 중기문응애아목이 53개체(12%)로 뒤를 이었다. 조사구 별로 비교해 보면, 인공복원지 12목 196개체, 자연복원지 10목 142개체, 대조구 11목 101개체로 나타나, 목수는 차이가 없었지만 풍부도는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산불은 토양절족동물의 밀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란이 심할수록 증가하였다.
166.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udy of the Korean Chrysopidae has been scarce and only 11 species in 6 genera have been recorded so far(Checklist of Korean Insect, 2010). Genus Italochrysa has been a monotypic genus in Korea with I. japonica. Here we report Italochrysa nigrovenosa as another species of Italochrysa found in Korea. Images of adult and it’s genitalia information are provided.
167.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North Korea, the Tortricidae has been poorly studied until Byun et al. (1998) reviewed 350 species from Korea, including 63 species of Tortricinae and 40 species of Olethreutinae. Then Razowski (1999) presented a checklist of 358 species of Tortricidae from Korea, including 176 species of the North Korean Tortricidae with mostly based on the avaialble materials in Poland and previous literatures. Later, a serial studies on the family Tortricdae of North Korea with the material deposited in the Hungarian Natural History Museum provided several additional data for the North Korean tortricid fauna (Byun 2009; Byun 2011a; Byun 2011b; Byun 2011c; Byun et al. 2007) During the course of the study on the Tortricidae of North Korea deposited in Hungarian Natural History Museum, the author found three species of Olethreutes for the first time from North Korea. Of them, Olethreutes aviana Falkovitsh is also newly reported to the Korean peninsula.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report the three species of Olethreutes as new to North Korean fauna. In the present study, three species of the genus Olethreutes: O. aviana Falkovitsh, O. obovata (Walsingham), and O. orthocosma (Meyrick), based on the material deposited in the Hungarian Natural History Museum, a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from North Korea. Among them, O. aviana Falkovitsh is recorded as new to the Korean peninsula. Photographs of the adults and genitalia of the species are presented.
168.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first record of the subfamily Tortricinae from North Korea was reported by Zhu (1969), comprising 17 species. Later Park and Byun (1991) added 11 species of the subfamily. And Park and Razowski (1991) added 16 species of the tribe Tortricini. Jaros et al. (1992) reported 11 species of Tortricinae from North Korea, based on the material Czech Academy of Sciences, Prague, Czech Republic(CAS). Byun et al. (1998) enumerated 350 species of Korean Tortricidae, citing 63 species of Tortricinae and 40 species of Olethreutinae from North Korea. Later Razowski (1999) provided a list of Korean Tortricidae with 176 of North Korea. Despite these studies, much of the North Korean Tortricidae deposited in the HNHM remained unstudied. Recently the first author examined the totricid material in the HNHM and reported 7 newly recorded species from North Korea (Byun et al., 2007). In the present study, we provide the faunistic information for ten species of Tortricinae, including their localiti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under the support of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Kore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169.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의 발육단계별 형태를 조사한 결과 알의 길이는 0.86mm 그리고 폭은 0.40mm의 장타원형으로 유백색이었다. 1령, 2령, 3령, 4령, 그리고 5령 약충에 대한 두폭의 크기는 각각 0.26, 0.35, 0.49, 0.69, 그리고 0.97mm였다. 암수 성충의 두폭, 체폭, 체장, 앞날개, 그리고 뒷날개 길이를 측정한 결과 두폭은 각각 1.57와 1.49mm, 체폭 2.80와 2.61mm, 체장 7.63와 7.15mm, 앞날개 7.44과 6.67mm, 뒷날개 6.20와 5.56mm로 암컷이 수컷보다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목본 49종과 초본 29종 등 총 78종의 식물에 대한 약충과 성충의 기주선호성을 조사한 결과 약충기에는 무궁화, 아까시아, 단풍나무, 대추나무, 다래덩굴, 대국 및 꽃범의 꼬리 등에서 밀도가 높았으나, 성충기에는 목본류만 선호하였다.
170.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tandardized short DNA sequences of the genome provide a DNA barcode for identifying species. Assembling DNA barcode data of regional fauna could provide a new identifying system and it will aid regional and global taxonomic studies and other applied biology. Recently, partial cytochrome c oxidase I (COI) sequences, around 670-bp region of the mitochondrial gene, has been qualified as a good DNA barcode for the identification of insect species. The superfamily Nepoidea includes two families-Belostomatidae and Nepidae. And it contains about 377 species in 23 genera worldwide. In Korea, each family is recognized 4 species 3 genera, respectively. As a part of the Korean insect DNA barcode project, we conducted preliminary DNA barcode study on Korean Nepoidea to provide useful molecular data for aiding accurate identification. This study also tested the effectiveness of a COI barcode in discriminating Korean Nepoidea species. So far, 43 individuals of 8 species belonging to two families were analyzed. We used a 658-bp fragment of COI gene was sequenced. Pairwise sequence divergences were calculated using a Kimura 2-parameter model and constructed neighbor-joining tree to calculate generic differences among species and within species.
171.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매미나방(Lymatria dispar (Linne))은 나비목 독나방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미국 북동부와 캐나다 남동부에서 활엽수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는 해충이다. 이에 북미식물보호기구(North American Plant Protection Organization)에서는 매미나방을 중요 검역해충으로 지정하여 유입, 정착되는 것을 막고 있어 검역적으로 중요한 해충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미나방의 생활사를 알아보고 매미나방 방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험은 암컷성충의 생태를 알아보기 위해 비행거리 측정실험과 광선호도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장소는 원주시 흥업면(2011년), 여주군 강천섬(2012년)에서 진행하였다. 실험은 2011년 7월 19일부터 22일 총 4회, 2012년 7월 9일부터 25일까지 총 12회 실시하였다. 원주시 흥업면(2011)과 강천섬(2012)에서 우화상을 설치한 후 우화시킨 암컷성충을 수은등, UV등, 나트륨등, 할로겐등을 설치하여 광선호도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2011년과 2012년도 실험에서 가장 선호도가 높았던 수은등과 UV등을 설치하여 비행거리 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2011년도에는 총 618마리중 104마리가 날아서 이동하였으며 174마리가 기어서 이동하였고, 2012년도에는 총 802개체를 사용하여 455마리 날아서 이동하였고 61마리는 기어갔으며 나머지는 이동을 하지 않았다. 20시부터 21시사이에 가장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으며 날아서 이동한 거리를 측정한 결과 최소 4m에서 최대 300m까지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험중간에 교미하는 개체는 교미시간을 측정하여 기록하였고 평균적으로 54분동안 교미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72.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Understanding how researchers are tackling globally important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is crucial to identify whether current research is comprehensive enough to make substantive predictions about general responses to climate change. We assessed the type of studies being conducted by researchers to understand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insects, published. Most published research is generated from Europe and North America and being dedicated to core data analysis, with reviews being highly produced. Temperature – only is the main climate change factor being analysed, with most researchers are assessing changes in abundance or distribution/range shifts. Of most concern is the number of studies which do not specifically identify a climate change factor (ie just arm wave), the lack of studies on Hemimetabolous insects and the need for more studies to assess specific mechanistic responses to climate change.
173.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s a serious forest pathogen in many countries including Japan, China and Korea. To minimize th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synthetic chemicals broadly utilized in the control of B. xylophilus, we estimated the nematicidal potency of 63 aliphatic compounds against B. xylophilus by measuring their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cetylcholinesterases (ACE, EC 3.1.1.7) of B. xylophilus (BxACEs). In the primary inhibition assay using B. xylophilus crude protein, C6, C9, C10 2E-alkenal C12 alkanoic acid were observed the > 45% BxACE inhibition rate and they were subsequently estimated the inhibition rate against three recombinant BxACEs. Whole compounds showed the high inhibition rate against BxACE-1 and BxACE-2. Interestingly, C6 2E-alkenal and C12 alkanoic acid exhibited the high inhibition rate against BxACE-3 which would be insensitive to ACE inhibitors.
174.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ox tree pyralid, Glyphodes perspectalis, was reared on an artificial diet based on dried powder of box tree leaves,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and INSECTA F-II (Nihon Nosan Co., Ltd) at a ratio of 3:7 (w:w) and analyzed in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from 1st to 4th generation. The developmental period of larva reared on artificial diet was longer than that of larva reared on host plant. Significant difference in larval period was also observed between 1st and other generation groups. Pupation rate was the highest in 4th generation followed by 3rd, 2nd, 1st and host plant group. Significant difference in pupal period was noted between 1st and 3rd generation group. Emergence rate was the highest in 4th generation group followed by 3rd, host plant, 1st and 2nd generation group.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le and female size between 1st and 4th generation group. Our result indicated that stable rearing of box tree pyralid through the year is possible by artificial diet, and the best adaptation to artificial diet was achieved at 4th generation.
175.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the taxonomic studies of the subfamily Rhyssinae (Hymenoptera: Ichneumonidae), specimens were collected from March of 2001 to June of 2012 in the south Korean. For the present work, 400 specimens which collected form various laboratories in Korea and in other countries. As a result of taxonomic study, a total of 5 genera, 13 species was confirmed in Korea Rhyssinae. Additionnal discriptions, collection sites, korean records, distribution, host, keys are provided for all 13 species. The Korean of species Rhyssinae and host are listed as followes. Subfamily Rhyssinae Morley, 1913 Genus Epirhyssa Cresson, 1865 Epirhyssa nitobei Uchida, 1928 Genus Megarhyssa Ashmead, 1900 Megarhyssa gloriosa (Matsumura, 1912) Megarhyssa jezoensis (Matsumura, 1912) Megarhyssa praecellens (Tosquinet, 1889) Megarhyssa n.sp 1 Megarhyssa n.sp 2 Megarhyssa n.sp 3 Megarhyssa n.sp 4 Megarhyssa n.sp 5 Genus Rhyssa Gravenhorst, 1829 Rhyssa persuasoria (Linnaeus, 1758) Genus Rhyssella Rohwer, 1920 Rhyssella furanna (Matsumura,1912) Genus Triacyra Baltazar, 1961 Triancyra galloisi (Uchida, 1928) Triancyra hirashimai Momoi, 1970
176.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ycetophagids, the family of primitive tenebrionoid beetles, are commonly fugivorous. They mainly feed and inhabit in the fruiting bodies of higher fungi, fungus-grown bark, and moldy vegetative materials. Some species are associated with a large variety of moldy substances and are found both outdoors in natural environments and indoors in association with a variety of stored products. They are not serious pests, and their presence is usually indicative of poor storage conditions and moldy produce. There are only five Mycetophagidae species previously recorded for Korea, Mycetophagus antennatus (Reitter 1879), M. ater (Reitter, 1879), M. hillerianus Reitter, 1874, Typhaea pallidula Reitter, 1874, and T. stercorea (Linnaeus 1758). In the course of this study, 60 specimens from 12 sites of Korean Mycetophagidae were examined. We reviewed taxonomically four genera and nine species in Korea. Among them, four species including Eulagius ussuriensis Nikitsky, 1988, Litargus japonicus Reitter, 1877, Mycetophagus irroratus (Reitter,1879), and Mycetophagus pustulosus (Reitter,1889) are newly recorded in Korea. We also obtained additional bionomic data for the seven species including their host fungi and habitat based on field observations and laboratoryrearing data in part.
177.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ctias artemis is a members of the family Saturniidae, also known as wild silkmoths, have impressive color and size. In 2012, estimation of Actias artemis (Lepidoptera: Saturniidae) abundance in HECRI was conducted using the mark-release-recapture (MRR) method (Jolly, 1965) from mid to late May. Seven sampling events were accomplished from 19 May, 21 May, 22 May, 24 May, 26 May, 28 May and on 30 May, during the main flight of the species. Marking was made by writing numbers in the hind wing of each individual moths. Most collections were undertaken by a team of experienced four or six researches of HECRI using light trap (mercury lamp: 250W). Seven female and 58 male moths were captured in study site. The effective population size of Actias artemis was 24.9 and heterozygosity was more than 97%. Seven marked moths were recaptured, resulting in 9.7% of recapture rate. The estimated population size of A. artemis showed a peak by 133 individuals on 22 May and then declined. The estimated adult numbers of A. artemis using MRR method from minimum 168 to maximum 5,332 (p<0.05).
178.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reviewed the Korean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Hemicrepidius. Of the previously recorded five species, the specimens known as H. (s. str.) secessus secessus (Candèze, 1873) are confirmed as the misidentification of H. oblongus (Solsky, 1870). The status of H. (s. str.) secessus hallaensis Kishii 2002 is suggested to be raised to species level. We also propose three new species, H. (s. str.) sp1 nov., H. (s. str.) sp2 nov., H. (Miwacrepidius) sp1 nov. from Korea. In Hemicrepidius sensu strito, molecular approaches based on the species recognized from Korea, Russia, and Japan using COI and 16S rRNA genes strongly support that all Korean species and the Russian specimens of H. oblongus are clustered into a monophyletic group, whereas Japanese species might be early and independently divided from the former.
179.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recognize a new species, belonging to the genus Neopsephus Kishii 1990, from Is. Jeju. The novel species is closely allied to N. takasago Kishii 1990 known from Taiwan. This study provides the detail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vestigated by SEM and molecular data inferred from COI and 16S rRNA of mitochondria.
180.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우리나라에서 가장 도시화된 지역 중 하나인 서울시에 위치하는 한강은 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공간이며, 하천을 따라 크고 작은 비오톱이 분포하고 있어서 도시 환경을 조사할 때 가장 중점적으로 조사해야 하는 지역이다. 본 연구는 작은 공간에서도 서식이 가능하고 날개를 이용해서 쉽게 이동 및 정착이 가능한 곤충강을 대상으로 종 및 개체수를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서울시 내 한강 및 주요 하천 주변 서식지의 현황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2011년 5월부터 2012년 4월까지 총 7차에 걸쳐 18개 지점을 조사하였으며, 그 중 한강 본류 주변이 6개 지점, 지류 주변이 12개 지점이었다. 또한 8월에 야간조사를 1회 실시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총 13목 110과 420종이 조사되었으며, 딱정벌레목, 노린재목, 파리목, 벌목, 나비목 등의 순으로 많은 종수가 확인되었다. 지점별로는 한강본류 조사에서는 서울시의 좌・우측 끝에 해당하는 지점에서 높은 종다양성이 확인되었으며, 지류중에는 탄천 및 여의도 샛강 주변에서 높은 종다양성을 나타냈다. 반면 비교적 많은 종을 확인할 수 있었던 주간조사와는 달리 야간조사에서는 비교적 적은 수인 36종이 관찰되었는데, 과도한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등 교란요인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