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2008년도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2008년 5월) 160

일반학술발표 POSTER발표

81.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ucumber Mosaic Virus, CMV)에 이병된 착색단고추(Capsicum annuum var. grossum) 의 휘발성 물질(Volatile organic chemicals, VOCs)에 대해 식물바이러스 매개충인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의 유인반응을 조사하였다. 착색단고추에 CMV를 즙액 접종, 진딧물 보독충을 이용한 접종 및 대조군으로 완충용액만 접종한 처리구와 진딧물 비보독충을 접종한 처리구를 배치하였다. 접종한 CMV와 중복 감염 여부를 우려하여 접종하지 않은 PepMoV를 RT-PCR로 각 단계에서 검정하였다. 분자검정은 상처효과(wounding effect)를 우려하여 유인반응 24시간 이전에 수행하였다. Gas chromatography 분석에 의해 CMV에 이병된 착색단고추는 접종 후 2주 또는 4주에 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특이적인 VOCs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접종 후 2주차에 즙액접종과 보독충 진딧물 접종 간에는 발병 특이적인 VOCs의 방출 패턴이 유의적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따라 이들 VOCs에 대한 진딧물의 유인 반응을 검정하고자 CMV 이병 식물과 건전 식물에 대한 목화진딧물 유시충의 Y-tube 유인 수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CMV 이병주의 VOCs에 대하여 목화진딧물의 특이적인 유인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다만 식물의 생장에 따른 유인수의 증가만 확인 되었다.
82.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optimum composition of sex pheromone of the rice green caterpillar Naranga aenescens and its efficacy was examined in a paddy field. The mating rate of N. aenescens tended to be increased with age, showing the highest rate of mating at age 2. The highest mating showed within 1 h after the scotophase, and also mating took place even during the photophase. A GC-EAD analysis of virgin female extracts showed two EAG-active components. Their chromatographic behavior was coincident with that of an authentic sample of Z9-14:Ac and Z11-16:Ac, respectively. The mass spectrum of two EAG-active components was almost identical to that of the authentic samples. The EAG response to two compounds, Z9-14:Ac and Z11-16:Ac, was significantly dose-dependent, but response to Z9-16:Ac was not dose-dependent. A 2: 1: 4 mixture of Z9-14:Ac, Z9-16:Ac, and Z11-16:Ac was the most effective composition for attracting N. aenescens. The male moths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pheromone amount impregnated. The sticky-typed wing trap baited with sex pheromone captured significantly more males than the other two type of trap examined. Trap catches within a paddy field were much more than those in perimeter trap. The trap-baited with sex pheromone gave three or four distinct fluctuation peaks of male catches throughout the flight seasons.
83.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sex pheromone of the soybean podworm, Matsumuraeses phaseoli. EAG response of M. phaseoli male antenna to various chemical compounds were examined. Of them, (E,E)-8,10-dodecadienyl acetate (E8E10-12:Ac) and (E)-8-dodecenyl acetate (E8-12:Ac) were most EAG-active. The abdominal tips of M. phaseoli females were extracted with distilled hexane 4h after light-off for 30 min. In an electroantennographic detection (GC-EAD), female extracts showed two EAG-active components. In a GC-MS analysis, three components (E8E10-12:Ac, E8-12:Ac, and (E,Z)-7,9-dodecadienyl acetate) were identical with those of authentic standards following the retention time and their ratio was 7: 1: 1. Of these three components, EAG responses of M. phaseoli males to E8E10-12:Ac and E8-12:Ac were significantly dose-dependent. Field effectiveness of these components remains to be evaluated.
8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알락수염노린재의 주요 페로몬 성분을 찾기 위하여 알락수염노린재 헥산추출물에 대하여 GC-MS 및 GC-EAD 반응을 분석하였고, GC-EAD에 반응한 물질에 대하여 Y-tube Olfactometer로 알락수염노린재의 유인반응을 조사하였다. 알락수염노린재의 주요 헥산추출물은 (E)-2-hexenal, 4-Oxo-(E)-2-hexenal, (E)-2-hexenyl acetate, (E)-2-octenal, n-undecane, n-dodecane, (E)-2- decenal, n-tridecane, (E) and (Z)-2-decenyl acetate, pentadecane, tetradecyl isobutanoate, (Z)-9-octadecenoic acid methyl ester 및 기타 미동정 물질 등이 다수 존재하였다. 특히 암컷 알락수염노린재에는 수컷 노린재에는 없는 E-5-decenyl acetate의 함량이 매우 많았다. 알락수염노린재 헥산추출물에 대한 알락수염노린재 암․수의 안테나 반응은 retention times 4.1~ 4.2(retention index 850~860 : E-2-hexenal), 4.7 부근(retention index 960 : 4-oxo-E-2-hexenal)과 6.8 부근(retention index 1290~1305 : Tridecane)의 화합물에 대해 암․수 모두 동일한 안테나 반응을 보였다. 알락수염노린재에 대한 Y-tube Ocfactometer 시험에서 알락수염노린재의 최초 이동방향이 수컷은 E-2-decenal(100%), E,E,Z-2,4,6-decatrienoate(80%), n-tridecane (70%) 및 E-2-hexenal(60%) 순이었고, 암컷은 n-tridecane(80%), 4-oxo-E-2-hexenal (60%), E-2-decenyl acetate(60%), Z-2-decenyl acetate(60%), E,E,Z-2,4,6-decatrienoate (60%) 등의 순이었다. 특히 Tridecane과 갈색날개노린재 집합페로몬인 E,E,Z-2,4,6-decatrienoate는 알락수염노린재 암․수 모두에서 높은 유인효과를 나타내었다.
85.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o determine differential gene expression profiles in a cypermethrin-resistant strain (CR) of diamondback moth, Plutella xylostella Linnaeus (1758), a subtractive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by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A total of 1196 expressed sequence tags (EST) were clustered and assembled into 579 contigs (100 multiplets and 479 singletons). About 46% (267) of 579 contigs had the matched BLASTx hits (E ≤ 10-5). Among these, 143 contigs had similarity to proteins with assigned molecular function in the Functional Catalogue database, and most of them (86%) were homologous to the genes from insects, particularly to Lepidoptera (56%). The contigs encoding carboxylesterase and cytochrome P450 known to be involved in the insecticide resistance were found in the library. They were identified as pxest3, pxest4, and CYP9G2 gene by 5' and 3' RACE. Among these, pxest4 was determined to be 2-fold over-transcribed in the CR strain by qrtPCR. Several contigs encoding enzymes including cytochrome oxidase subunit I that are likely involved in the insecticide resistance were also identified from the library. Discovery of the genes specific to cypermethrin resistance should promote further studies on the molecular mechanisms of insecticide resistance in P. xylostella.
86.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urgot Looper Moth, Ascotis selenaria, is one of the worldwide pests in citrus plants. They usually damages citrus leaves and often makes young fruits injured. In Jeju, it has been discovered that A. selenaria is a pest of two major geometridae moths being occurred in citrus plant and they also had periodically occurred and damaged bean, asparagus, etc. However, physiological and ecological studies were rarely conducted on this species, which maybe resulted from the limitation of rearing method. Therefore, this study aimed on selecting the diet sources and developing mass-rearing method for A. selenaria, in order to make ease or spur a investigation related with A. selenaria. The major sources, selected among the series of semi-artificial diet, were corn and bean powder and adding yeast makes the larva developed well. Cholesterol, one of the minor sources, enhanced the development rate and lowered the mortality during 1 to 3 larva stage. Consequently the semi-artificial diet, suitable for rearing A. selenaria larva, was composed of 25g agar, 100g corn powder, 100g soybean powder, 30g yeast, 0.5g cholesterol, 2g Vanderzant's vitamin mixture, 2g Wesson's salt mixture, 2g sorbic acid, 2.5g methyl-4-hydroxybenzoate(MPH), 2g Ascorbic acid, and 1000 ml distilled water. A. selenaria larvae has 6 developmental stage and the width of head piece was 0.31 mm (1st instar) , 0.51 mm (2nd), 0.85 mm(3rd), 1.37 mm (4th), 2.14 mm (5th), and 3.19 mm (6th). The development period of A. selenaria, reared at 25℃ and 16L:8D photoperiod, was 4.7 day (egg), 3.58 day(1st instar), 1.88 day (2nd), 1.80 day (3rd), 2.46 day (4th ), 2.59 day (5th), 8.10 day (6th), 11.26 day (pupae) when citrus leaves were supplied to the larva. The larvae, fed with the artificial diet(mentioned above), showed similar developmental periods at each developmental stage as much as the case reared with citrus leaves, although the mortality was sometimes a little bit higher. The weight of pupae were 0.614g (artificial diet) and 0.427g (citrus stuff) and female adult moths lay 1094 eggs (artificial diet) and 1054 eggs (citrus stuff).
87.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s a major component of cuticle wax, cuticular hydrocarbon plays key roles as a chemical cue among inter- and intra-species in some beetles like as pheromone and alleolochemicals in addition to the physical function. In this study, cuticular hydrocarbon was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ree species of beetles adult, Monochamus alternatus, M. saltuarius belong to the Monochamus sp., and belong to the same class, Moechophyta diphysis, a typical vector of pine wilt disease. The composition of cuticular hydrocarbon of three species of beetles adult did not show the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in intra-species, however, showed the difference in inter-species. They also differed from carbon numbers in inter species as 25-32 in M. saltuarius, 25-35 in M. alternatus, and 23-31 in M. diphysis. Major constituent of M. saltuarius was analyzed as n-C25, 2 or 4 MeC26, 9-C25:1, n-C27, 4-MeC28, n-C29, (9,x)-,and/or (11,x)-diMeC29; those of M. alternatus were n-C25, n-C27, 4-MeC28, n-C29, (9,x)-, and/or (11,x)-diMeC29, 9-C29:1, n-C29, (9,x)-,and/or (11,x)-diMeC29; and those of M. diphysis were n-C25, n-C26, n-C27, 3-MeC27,9-C29:1, 11-MeC29. The contents of n-alkanes were as follows: M. saltuarius ≒ M. alternatus > M. diphysis. The contents of monomethylalkanes were as follows: M. diphysis > M. saltuarius ≒ M. alternatus. The contents of dimethylalkanes were as follows: M. saltuarius ≒ M. alternatus > M. diphysis. And the content of olefine in female were analyzed as follows: M. saltuarius > M. alternatus ≒ M. diphysis, and the male's contents were similar in three kinds of beetles.
88.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비 휴면 개체를 계대 선발하기 위하여 인공월동이나 CO2 처리 등과 같은 인위적인 휴면처리를 하지 않은 서양뒤영벌(Bombus terrestris) 여왕벌의 산란과 봉군발육 특성을 CO2 처리한 여왕벌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산란율은 비 휴면 처리구에서 90.9%로 CO2 처리구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첫산란 소요일수는 20.6일로 CO2 처리구 보다 길게 나타나 효율측면에서 다소 다른 경향을 보였다. 성충의 우화율은 일벌과 여왕벌의 출현에 있어서 비 휴면 처리구가 CO2 처리구보다 각각 50마리, 34마리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 계속해서 비 휴면처리 1세대 여왕벌에서 우화한 2세대 여왕벌과 CO2 처리구에서 우화한 2세대 여왕벌을 비 휴면 공시충으로 처리하여 산란율과 봉군특성을 조사하였다. 앞선 1세대 비 휴면 처리구에서 우화한 여왕벌의 산란율과 첫산란소요일수가 각각 66.0%와 23.7일로 1세대 처리구에서 우화한 여왕벌과 비교하여 효율이 낮게 나타났다. 성충 출현율과 출현수에 있어서도 1세대 비휴면 처리구에서 우화한 여왕벌이 산란한 봉군에서 각각 일벌과 여왕벌 28.0%, 8.0%, 14.8마리, 2.0마리로 처리구보다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1세대 뒤영벌의 경우 CO2처리구보다 오히려 비 휴면처리구가 산란특성 과 봉군발육에서 다소 우수한 경향을 보여 경제적 효율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그 이후의 2세대에서는 모든 조사항목에서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왕벌 생존율에 있어서도 같은 경향으로 1세대 비 휴면 처리구가 CO2 처리구보다 시기별로 생존율이 낮아 대량증식을 위한 여왕벌의 계대사육에 있어서 휴면처리 효율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89.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물둥구리 (Ilyocoris exclamationis)는 노린재목 물둥구리과(Naucoridae)에 속하는 종이다. 몸은 편평한 타원형으로 생겨 몸길이가 11~12.5mm 정도이며 몸의 앞쪽은 황녹색을 그리고 뒷부분은 황갈색을 띠는 수서 노린재 중에서 대표적인 예쁜 곤충이다. 물둥구리는 최근 서식처가 감소하고 있어 감소추세에 놓여 있다. 또한 유충과 성충시기에 강한 육식의 포식습성으로 사육이 어려운 종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자원곤충으로서 애완용으로 활용성이 높으며, 서식처 복원의 기술 확보가 절실한 실정에 놓여 있다. 따라서 이들의 잔존하는 서식처 환경을 재조명하고 사육가능성을 타진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잔존하는 물둥구리의 서식처의 환경은 둠벙으로서 유기물과 농약의 유입이 적은 Ⅱ급수의 수질과 β-중부수성의 오수계열에 속하였다. 사육 실험에서 산란은 주로 부엽식물인 마름의 다육성 엽병부에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개체당 평균 산란수는 126.6개인데, 엽병당 산란수는 4.09개로 나타났고, 개체별 부화는 9~28일이 소요되었다. 실내에서 성충을 사육했을 때, 성충 수명은 산란을 마치면서 종료되어 7월 중순까지로 나타났으며, 성충의 먹이원으로 냉동깔다구, 붕어치어 및 잠자리 유충이 모두 적절하였다.
90.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ecological character and life cycle of Black Soldier Fly(BSF), Hermetia illucens. The distribution of BSF was defined in all parts of the country in Korea. Its main habitat was found to be areas near cattle sheds, manure sheds, living waste dump grounds, and food waste dump grounds. Observed characteristics of BSF by developmental stag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eggs were a long oval shape of 886.9±19.7 ㎛ in major axis and 190.1±9.7 ㎛ in minor axis; they were 24.0±1.6 ㎍ in weight. One adult insect laid 1001±247 eggs in quantity; days to hatch from eggs (27℃, 60% R.H.) were 81.3±12.5 days. Last instar larva ranged from 20.7±1.1 mm in size, the length of larval stage was approximately 15~20 days. Pupae exhibited red brown, 19.2±1.1 mm in size; pupal state lasted 15.5±1.4 days for female, 14.7±1.4 days for male, exhibiting the tendency of males having shorter period than females. Adult insects were sized about 13~20 mm and colored black. Mating started 2 days after emergence and was most active during the 3rd day. Mating mostly occurred between 10:00 and 16:00 during which light intensity is high. Laying eggs started 3 days after emergence and was most frequent during days 4~6. Time of laying eggs during the day was similar to copulation time, showing the highest laying rate between 10:00 and 16:00.
91.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자두에서 꿀벌의 활동은 온도 13℃ 이상으로 상승하고 조도 그리고 자외선량이 증가하는 오전 10:00부터 14:00사이에 주로 활동하며, 활동정점은 14:00경이었다. 서양뒤영벌은 보다 이른 시간인 오전 08:00부터 활발하게 활동하여 10:00경에 활동정점에 도달하였으며, 18:00까지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머리뿔가위벌은 온도가 17℃정도에서 활동정점에 도달하였고, 온도와 조도 자외선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꿀벌의 방화시간은 화밀채집봉과 화분채집봉 그리고 화밀과 화분 동시 채집봉이 각각 3.6초와 2.2초 그리고 5.6초로서 차이가 뚜렷하였으나, 서양뒤영벌은 2.8초로서 꿀벌의 화분채집봉 2.2초와 같았으며, 머리뿔가위벌은 3.6초로서 꿀벌의 화밀채집봉 3.6초와 같았다. 착과율은 꿀벌과 서양뒤영벌 그리고 머리뿔가위벌방사구가 각각 10.4%, 9.9%, 10.1%로서 동일한 수준이었고, 자연수분구 7.8%보다는 2.1~2.6% 높았다. 그러나 무처리구는 전혀 착과가 되지 않았다. 자두의 과중과 과폭은 처리구별로 차이가 없었으며, 과장은 자연수분구가 화분매개곤충방사구보다 긴 편이었다. 당도와 산도는 자연수분구가 화분매개곤충방사구보다 높았고, 경도는 서양뒤영벌방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낮은 편이었다. 과일의 색상 중에 밝기, 적색도와 노란색도는 각각 56~59nm, -0.75~2.06nm 그리고 35.64~36.69nm로서 적색도보다는 황색도가 높은 편이었다. 10a당 생산물의 경제적 이익은 꿀벌방사구와 머리뿔가위벌방사구가 자연수분구 보다 1%와 3% 많았으나, 서양뒤영벌방사구는 자연수분구와 동일한 결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화분매개곤충을 방사할 경우 자연수분구보다 착과율이 높았고, 10a당 이익이 약간 발생하였다.
92.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large bumblebee, Bombus terrestris, which is indigenous to Europe and is used extensively for high-value crop pollination, has been artificially introduced throughout the world. Here we show the interspecific cross-mating between bumblebee species, B. terrestris and B. ignitu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The mating and oviposition rates of interspecific cross-mating of B. terrestris queen with B. ignitus male are higher than those of intraspecific matings of B. ignitus. Furthermore, the competitive copulation experiment indicates that cross-mating of a B. ignitus male with B. terrestris queen is 1.8-fold more frequent than with a B. ignitus queen. The cross-mated B. ignitus queen with B. terrestris male produced B. ignitus workers and B. ignitus male offspring, and the cross-mated B. terrestris queen with B. ignitus male produced both B. terrestris males and B. ignitus male offspring. The genetic tests using a portion of the mitochondrial COI gene for the parent and hybrid offspring indicate that mitochondrial DNA was maternally inherited. Our results indicate that interspecific cross-mating occurred between B. ignitus and B. terrestris, which suggests that the cross-mating is not an exclusive force against the negative impact of competition and genetic contamination on native bumblebees.
93.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반촉성 시설 오이에 발생하는 목화진딧물의 발생 조사 및 예찰모델 개발을 위하여 평택에 위치한 관행 시설오이농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목화진딧물은 4월 중순부터 본격적으로 발생하여 꾸준히 증가하였고 모든 조사기간 동안 집중분포(TPL b>1)를 보였다. 오이에서 목화진딧물의 효율적인 발생예찰을 위하여 2005~2006년 발생 자료를 이용하여 이항표본조사법 분석을 실시하였다. 목화진딧물의 오이 주내 하위 3, 6 엽당 평균밀도(0.07~80.39/엽)들을 이용하여 경험이항모델식인 ln(m)과ln[-ln(1-PT)] 회귀식으로 발생엽율과 평균밀도와의 함수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결정계수(r2)는 엽당 임계밀도(T)가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잔차인 MSE의 값은 T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PT값이 0.95에서 목화진딧물의 추정 가능한 범위밀도는 T= 1, 3, 5, 7과 9에서 각각 129.0, 196.2, 222.8, 229.6과 223.0으로 T가 7과 9에서 이항표본조사법으로 추정할 수 있는 밀도 범위가 더 넓고 결정계수의 값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본조사 모델의 정확도는 모든 T값에서 해충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충족 정밀도 수준인 d = 0.25 수준을 만족하지 않았는데 정밀도가 가장 높은 T= 9에서도 d값이 평균적으로 0.34~0.36 수준을 보였다.
94.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옥상정원에 발생하는 해충은 진딧물류, 방패벌레류, 깍지벌레류, 나방류, 잎벌레류, 응애류 등이었다. 진딧물류와 방패벌레류는 식물의 생육초기에 주로 발생하였고, 나방류는 생육중기부터 발생하여 후기까지 지속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잎벌류는 생육후기에만 발생하였다. 깍지벌레와 응애류는 다른 해충에 비해 비교적 발생기간이 길어 거의 생육전체 기간에 걸쳐 피해를 주었다. 봄철에 해충의 발생이 많은 식물은 보리수나무, 조팝나무, 구상나무, 작살나무, 기린초, 철쭉, 반송, 사철나무, 주목, 궹의밥 등이었고, 여름철에는 철쭉, 매실나무, 주목, 원추리, 화살나무, 사철나무, 회양목, 배롱나무, 산수유, 꽃사과 등이었다. 한편 가을에는 화살나무, 철쭉, 매실나무에 해충의 피해가 많았다. 옥상정원의 조성위치에 따라 해충의 발생종류와 피해정도는 크게 다르지 않았다.
95.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본 연구는 2002년부터 2005년까지 주요 엽채류 재배지역에서 발생하는 나비․나방류의 발생 종과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케일, 적겨자, 잎브로콜리 및 적근대에 발생하여 피해를 주고 있던 나비․나방류는 집나방과의 배추좀나방, 명나방과의 흰띠명나방, 밤나방과의 도둑나방, 담배거세미나방, 파밤나방, 흰나비과의 배추흰나비 등 4과 5속 6종이 조사되었다. 시설 엽채류 종류에 따른 주요 나비․나방류의 종, 피해와 발생을 조사한 결과 케일에서는 3과 3속 4종이 조사되었고, 배추좀나방이 가장 피해가 많았으며, 유충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으로 100주당 968마리가 조사되었다. 적겨자에서는 2과 2속 2종이 조사되었고, 배추좀나방이 피해가 많았으며, 유충 발생최성기는 6월 하순으로 100주당 1,105마리가 조사되었다. 잎브로콜리에서는 3과 4속 5종이 조사되었고, 배추흰나비가 가장 피해가 많았으며, 유충 발생최성기는 9월 중순으로 100주당 72마리가 조사되었다. 근대에서는 2과 2속 2종이 조사되었고, 흰띠명나방의 피해가 많았으며, 유충 발생최성기는 8월 중순으로 100주당 108마리가 조사되었다.
96.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친환경 벼 재배지에서 월동하는 끝동매미충 약충을 1~3월까지 매달 채집한 후 저온을 5단계(-9~-17, -12~-20, -16~-22, -17~-23, -19~-26℃)로 구분한 저온 냉동기에 30분 간격으로(30분, 1시간, 1시간 30분, 2시간) 접종하여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1월에 채집한 끝동매미충에 대한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저온 처리 후 처음 30분 동안 -19~-26℃를 제외한 나머지 4단계 온도 모두 100%의 생존율을 보였고, -9~-17℃에서의 끝동매미충의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30분, 1시간, 1시간 30분, 2시간에서 각각 100, 100, 100 및 95%의 생존율을 보였다. 2월에 채집한 끝동매미충에 대한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저온 처리 후 처음 30분 동안 -19~-26, -17~-23℃를 제외한 나머지 3단계 온도 모두 100%의 생존율을 보였고, -9~-17℃에서의 생존율은 각각 100, 100, 100 및 92.5%였다. 3월의 경우 -9~-17℃를 제외한 나머지 4단계 온도에서 -12~-20℃를 제외한 모든 온도에서 1시간 이내에 생존한 개체는 없었다. 따라서 1~3월까지 월동하는 끝동매미충의 저온처리를 분석한 결과, 온도가 조금씩 올라가는 3월로 갈수록 전체적인 생존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것은 월동기간인 추운 겨울을 지나 따뜻한 봄의 날씨에 적응하는 과정으로 생각된다.
97.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control thresholds (CTs) for imported cabbage worm, Artogeia rapae L., injuring chinese cabbage in the field. As a preliminary experiment, five level of densities of second instar larvae of A. rapae were inoculated on plant and checked injury rates under greenhouse condition. Average leaf area consumed for one week by a second larva was 657.7㎟ to the 3-WAT (week after transplanting) and 2495.8㎟ for two weeks to the 6-WAT, respectively. In field experiment, different larvae densities of A. rapae ranged from one to seven were inoculated on 20 plants. The percent yield reduction (Y) of chinese cabbage infested by different densities of A. rapae (X) for a three-week period were estim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Y=1.764X-0.3049 (R2=0.9901) for the 3-WAT; and (2) Y=1.0305X-0.2976 (R2=0.9398) for the 6-WAT.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densities of A. rapae larvae and the yield index of chinese cabbage, the number of second instar larvae which caused 5% loss of yield (Gain threshold proposed by Japan), was estimated as 0.15 per plant for the 3-WAT and 0.26 for the 6-WAT.
98.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소나무재선충병(Pine Wilt Disease)을 일으키는 소나무재선충은 매개충에 의해서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어 소나무림의 파괴와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의 기주간 이동행동과 이들로부터 기주로 이동하는 소나무재선충의 밀도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야외 사육상(4×2×2.5m)내에 3~5년생 해송 pot묘를 설치하고 솔수염하늘소를 방사한 후 30일 동안 매일 오전(8시), 오후(5시)에 솔수염하늘소의 해송기주간 이동 및 기주출현율을 조사한 결과 솔수염하늘소 한마리당 해송기주 출현율은 40.0~53.3%였고, 기주이동은 암수별로 차이가 나지 않았고, 낮(78.3±12.3%)시간대보다 밤(21.7±12.3%)시간대에 이동율이 높았다. 매개충(솔수염하늘소, 북방수염하늘소)으부터 소나무재선충 이동탈출수를 조사하기 위하여 간이 케이스(직경 10㎝×높이 5㎝)에 해송 신초와 함께 매개충을 처리한 후 매일 해송 신초로부터 소나무재선충을 분리한 결과 솔수염하늘소(n=40)는 평균 72일간 조사기간 동안에 소나무재선충은 18~59일정도 이동탈출을 하였고, 평균 3,570마리가 신초로부터 분리되었다. 북방수염하늘소(n=36)의 경우 58일간 조사기간 동안에 소나무재선충은 8~51일정도 이동탈출하였으며, 평균 1,556마리가 신초로부터 분리되었다. 또한 탈출기간내 매개충으로부터 소나무재선충 이동탈출율을 조사한 결과 솔수염하늘소는 탈출 초기 41.4%, 중기 34.3%, 말기에 24.3%순으로 조사되었고, 북방수염하늘의 경우 각각 36.6%, 41.7%, 21.7%순으로 조사되었다.
99.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침엽수 수종별 서식하는 천공성 딱정벌레(Coleoptera)의 군집상을 비교하기 위해 2007년 4월부터 10월까지 15일 간격으로 말레이즈 트랩을 이용하여 하늘소과(Cerambycidae), 소바구미과(Anthribidae), 바구미과(Curculionidae), 나무좀과(Scolytidae)를 채집하였다. 채집 조사지는 전국 각도에서 이루어졌으며 강원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경상북도의 소나무 숲과 전라남도, 경상남도, 제주도의 해송 숲 그리고 경기도, 충청북도의 잣나무 숲에서 수행되었다. 조사지에 설치된 말레이즈 트랩에 채집된 천공성 딱정벌레류를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으며 각 지역별 종 다양성, 종별 풍부도를 추정하였다. 전국적으로 채집된 하늘소과 29속 41종, 소바구미과 12속 14종, 바구미과 42속 64종, 나무좀과는 8속 20종의 천공성 딱정벌레가 채집되었다. 소나무 숲의 지역별 하늘소과 다양도는 10~15종, 소바구미과 2~6종, 바구미과 9~17종, 나무좀과 2~8종이었고 잣나무 숲의 지역별 하늘소과 다양도는 5~15종, 소바구미과 3~4종, 바구미과 10~18 나무좀과는 6~8종이었으며 해송 숲의 지역별 하늘소과 다양도는 2~11종, 소바구미과 2~4종, 바구미과 6~18종, 나무좀과 4~8종이었다.
100.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경기도와 강원도 일원의 잣나무림에서 소나무재선충병을 일으키는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으로 알려진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에 대하여 외부기생성 천적인 개미침벌(Sclerodermus harmandi) 한배새끼(clutch) 간의 발육 및 산란 특성을 비교해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기주인 북방수염하늘소 유충이 들어있는 시험관에 개미침벌을 접종하여 1차 한배새끼를 산란토록 한 후 번데기까지 발육하였을 때, 생존 개미침벌 성충을 다른 북방수염하늘소 유충에 재차 접종하여 2차 한배새끼를 산란토록 하였다. 이를 통해 1, 2차 한배새끼 간의 알 수, 발육일수, 우화율, 성비 등을 조사하였다. 개미침벌의 생육단계별 발육일수는 1차 한배새끼의 경우, 알 4.0일, 유충 6.9일, 번데기 암수 각각 15.1일, 14.0일로 총 발육일수는 26.0일과 24.9일인 것으로 나타났다. 2차 한배새끼의 총 발육일수는 암수 각각 27.1일, 25.8일로 1차 한배새끼와 비교할 때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1차 한배새끼의 산란전기간은 4.6일로 2차 한배새끼의 6.0일 보다 짧았고, 산란성공률은 1차 한배새끼에서 95.0%로 2차 한배새끼의 71.1%보다 높았다. 2차 한배새끼의 우화율은 94.8%로 1차 한배새끼에서보다 높게 나타났고, 마리당 산란수는 각각 47.4개, 44.1개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차와 2차 한배새끼의 성비는 각각 0.85, 0.73으로 1차 한배새끼의 암컷 비율이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개미침벌이 다수의 북방수염하늘소를 무력화시키고 산란 및 발육을 통한 개체수의 증가 가능성을 보여주어 생물적 방제제로 활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