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

        41.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나트륨 저감화를 위한 식생활 지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서울지역 다소비 음식점 메뉴를 대상으로 나트륨함량이 높은 국 및 탕류, 찌개 및 전골류, 면류 등에 대한 나트륨 및 칼륨 함량을 조사하였다. 음식점 메뉴는 생선찌개 등 25종류 144건과 김치 50건이다. 음식점 메뉴 중 김치의 나트륨 및 칼륨 평균 함량이 각각 554.9 ± 155.5 mg/100 g, 225.1 ± 69.1 mg/100 g으로 가장 높았으며, 반면 설렁탕의 나트륨 및 칼륨 평균 함량이 각각 24.2 ± 5.8 mg/100 g, 12.7 ± 3.9 mg/100 g으로 가장낮게 나타났다. 음식점 메뉴의 나트륨과 칼륨 평균 함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0.782(P < 0.01)로 양의 선형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트륨/칼륨비는 불고기가 1.17 ± 0.44로 가장 적합한 비를 나타내었고, 우동, 잔치국수, 칼국수의 나트륨/칼륨 비는 10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칼륨 함량에 비해 나트륨 함량이 높음을알 수 있었다. 음식군 분류별 나트륨 및 칼륨 평균 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음식군별 나트륨 평균 함량은 김치류가 554.9 ± 155.5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찌개 및 전골류, 국 및 탕류, 볶음류, 면류 순이었다. 칼륨 평균 함량도 김치류가 225.1 ± 69.1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 볶음류, 찌개 및 전골류, 국 및 탕류, 면류 순이었다. 음식군 분류별 나트륨/칼륨 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01). 볶음류가 1.18 ± 0.44로 나트륨/칼륨 비가 1에 가장 근접하였고 김치류, 찌개 및 전골류, 국 및 탕류, 면류 순이었다. 적절한 나트륨/칼륨 비의 유지가 건강에 도움이 되므로 나트륨 섭취를 줄이고 칼륨 섭취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홍보와 함께 효과적인 식단 및 식생활교육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4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나리 수확 후 처리환경의 미생물학적 위해 요소를 조사하기 위해 4개 지역의 미나리 재배농가 9곳을 선정하였다. 미나리 재배농가로부터 다양한 시료를 채취 하여 위생지표세균과 병원성 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 H7, Listeria monocytogenes, Staphylococcus aureus and Bacillus cereus)에 대한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9개 농가의 재배환경의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한 결과 총 호기성 세균과 대장균군이 각각 0~7.00, 0~4.25 log CFU/g, mL, or 100 cm2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대장균(E. coli)은 몇몇 농가의 토양, 관개용수, 세척수 및 작업자의 손에서 양성 반응을 확인하였으며, 양성반응이 관찰된 농가의 경우 작물인 미나리에서도 양성반응을 보였다. 병원성 미생물 중 B. cereus는 토양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한 농가의 미나리를 제외한 모든 농가의 세척 후 미나리에서 평균 1.2 log CFU/g수준으로 검출되었다. 황색포도상구균은 세척 후 미나리에서 한 건 정성적으로 검출되었으며, 이외에 다른 병원성 미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미나리의 경우 손질 및 세척 후에도 오염도가 유사하거나 오히려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미나리 생산농가의 수확 후 처리 시설 및 작업자에 의해 미생물의 교차 오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또한, 안전성이 확보된 미나리 생산을 위해서는 GAP와 같은 관리제도의 적용이 필요하다.
        4,000원
        43.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산 곶감의 미생물 및 aflatoxin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여 곶감의 안전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반건시 34농가, 건시 61 농가, 감말랭이 10 농가에서 수집하여 수분활성도와 당도, 위생지표세균 (일반세균수, 대장균군, E. coli)과 병원성미생물(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spp.,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Bacillus cereus), aflatoxin을 조사하였다. 감말랭이, 건시, 반건시의 수분활 성도는 각각 0.81, 0.86, 0.91 였으며 당도는 감말랭이 54.9%, 건시 49.5%, 반건시 40.5%로 당도와 수분활성도는 반비례 하였다. 곶감의 일반세균수는 감말랭이 3.93 ± 0.96 log CFU/g, 건시 2.12 ± 0.93 log CFU/g, 반건시 1.50 ± 1.08 log CFU/g로 감말랭이의 오염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S. aureus는 감말랭이 40.0%, 건시 29.5%, 반건시 23.5%의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E. coli는 건시 6.6%, 반건시 2.9% 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B. cereus는 건시 39.3%, 반건시 20.6%의 시료에서 검출되었고 검출 수준은 0.7~2.3 log CFU/ g이었다. Aflatoxin의 경우는 ELISA법으로 분석했을 때 감 말랭이, 건시, 반건시에서 각각 30%, 4.9%, 2.9%가 검출 되었고 검출농도는 1.0~1.1 ppb 이었다. ELISA법에서 양 성시료를 대상으로 UPLC로 재분석한 결과 aflatoxin은 검 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안전한 곶 감 생산을 위한 위생관리기술의 개발과 곶감생산 농가의 지속적인 위생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4,000원
        44.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 assess the health risk for benzo(a)pyrene by the intake of edible oils, 288 cases of edible oils collected from food markets were analysed using th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escence detector. The levels of benzo(a)pyrene were from non-detection to 4.78 μg/kg, and the average was 0.11 μg/kg. The chronic daily exposures of benzo(a)pyrene for total population group and consumer-only group were estimated using the food consumption data in the fif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1. The estimated daily intake of benzo(a)pyrene was 4.26 × 10−3 ng/kg b.w./day for total population group and 7.64 × 10−3 ng/kg b.w./day for consumer-only group. The MOE (margin of exposure) of benzo(a)pyrene for total population group and consumer-only group was 7.28 × 107~1.74 × 108 and 3.95 × 107~9.42 × 107, respectively. Accordingly, the health risk from benzo(a)pyrene caused by the intake of edible oils was considered as a very low level.
        4,000원
        45.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대적 억압이 주는 갈등 속에서 인간의 본질을 찾아가는 시인은 개인적 정체성을 찾아가는 길과 더불어 자신이 속한 공동체의 희망을 노래하는 자리에 서게 된다. 본고에서는 한국의 신경림과 아일랜드의 예이츠에게서 영웅서사의 시적 변용으로 탈 식민지적 정체성을 회복하여 주체적 삶의 본질을 모색한 시 정신을 비교연구 하려고 한다. 신경림과 예이츠는 영웅서사를 시적으로 변용하여 개인의 고뇌와 민족의 분열과 아픔을 달래고 현실의 고통을 넘어서 이상의 사회를 추구하려했다.
        6,000원
        46.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각 표본집단(토양시료)이 모집단에 대하여 동일한 대표성을 갖게 산출하고 식물유체의 수량 비교시 통계적 유의성을 갖춘 계측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본고는 상대오차와 확률에 기초하여 여러 유적에서 채취된 토양시료 표본의 크기를 표준화하는 통계법을 제시하였다. 표본 크기의 표준화는 여러 유적에서 출토된 식물유체 간 수량의 차이가 단지 표본의 크기 차이에서 비롯됨이 아니라 문화적 원인 즉 식물 자원 이용상의 차이를 반영한다고 추정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한다. 통계적 대표성과 토양시료 채취는 기본적으로 군집표집의 일환이므로 토양시료의 수를 표본의 크기로 각 토양시료에서 추출된 종자의 밀도를 변수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표본 크기 표준화 방법을 남강댐 수몰지구 어은 및 옥방 유적 청동기시대 유구에서 출토된 식물유체에 적용하여 그 실효성을 타진하고자 한다. 또한 여러 표본(예, 유적, 유구)의 변수(종자 밀도)를 비교할 때 상이한 보존율과 복원율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표본간 종별 중복비율을 모식도를 통해 제시하였다.
        5,200원
        47.
        201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tents of trans fatty acid and cholesterol of bakery products (bread: 17, pastry: 20, and whipping cream cake: 17) sold at retail in Seoul area. The average values of crude fat contents in bakery products were as follows [mean (minimum-maximum), %)]; bread 6.46 (3.51~8.69), pastry 16.23 (3.55~25.56), and whipping cream cake 16.26 (8.61~31.58). Palmitic acid was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in these products. The average values of saturated fat (SFA) contents and unsaturated fat acid (USFA) contents in these items were as follows [(mean SFA ± SD%] bread (54.04 ± 5.27), pastry (53.41 ± 4.80), and whipping cream cake (70.09 ± 8.64). The high contents of trans fatty acid was analyzed in whipping cream cake. The average values of cholesterol contents in bakery products were as follows [mean (minimum-maximum), %)]; bread 2.36 (0.0~12.86), pastry 8.11 (0.0~42.80), and whipping cream cake 30.55(0.0~132.99).
        4,000원
        48.
        2011.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50.
        201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흑미의 가공부산물인 흑미강으로부터 기능성 polyphenol 및 flavonoid가 새로운 추출방법인 아임계 추출법을 통해 추출되었고, 열수(80oC), 에탄올, 설탕용액을 이용한 기존 추출법과의 추출효율이 비교 분석되었다. 건조된 흑미강 시료로부터 polyphenols(35.06±1.28 mg QE/g dried material) 및 flavonoids(7.08±0.31 mg QE/g dried material)에 대한 최대 수율이 아임계 추출법(190oC, 1300 psi, 10 min)을 통해 획득되었으며, 이것은 기존 추출법 가운데 가장 높은 수율을 보인 에탄올 추출법을 통한 polyphenols(2.98±0.74mg QE/g dried material) 및 flavonoids(0.58±0.21mg QE/g dried material) 수율 대비 11.77배와 12.21배 이상 더 높은 것이었다. 추출방법에 따른 흑미강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관찰되었다. 그러나 흑미강 시료 1 g 당 획득된 추출물의 건조중량 차이 비교를 통해서 얻어진 건조 흑미강 1 g 당 함유된 항산화 성분의 상대수율(relative yield, %)은 최적조건(190oC, 1,300 psi, 10 min)의 아임계 추출법을 통해 획득된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이것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상대수율에 비해 대략 11.53배 이상 더 높은 것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아임계 추출법이 흑미강으로부터 기능성 polyphenols 및 flavonoids를 추출하는데 매우 적합한 방법임을 설명하고 있으며, 유기용매 추출법을 포함한 기존의 전통적 추출법에 대한 매우 효과적인 대안임을 제시하고 있다.
        4,000원
        51.
        201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esticide residues in 3,988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northern area of Seoul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9. 3,988 samples comprising 109 types of agricultural products were assessed via a multiresidue method to detect 272 pesticides. Pesticide residues were detected in 25.6% (1,021 of 3,988 samples), and the rate at which the detected residues violated the maximum residue levels (MRLs) of the Korean Food Code was 2.2% (89 of 3,988 samples). The agricultural products which exceeded their maximum residue limits were leek, ginseng, welsh onion, crown daisy and lettuce (leaf). Additionally,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pesticide that exceeded the regulation maximum was endosulfan, procymidone, tolclofos-methyl,iprodione and flutolanil.
        4,300원
        53.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pesticide residues in 3,735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northern area of Seoul from January to December in 2008. 3,735 samples, comprising 119 types of agricultrural products were assessed via a multiresidue method to detect 260 pesticides. Pesticide residues were detected in 19.7%(737 of 3,735 samples), and the rate at which the detected residues violated the maximum residue levels(MRLs) of the Korean Food Code was 3.2%(121 of 3,735 samples). Pesticide residues were detected in 72 spinaches, 64 peppers, 45 sweet peppers, 40 perilla leaves, 38 korean cabbages and 37 dried agricultural products. The samples that violated the MRLs included 14 perilla leaves, 13 spinaches, 12 leek, 6 lettuces(leaf), 6 chards and 6 gyeojchaes. Procymidone, endosulfan, chlorfenapyr, cypermethrin, bifenthrin, tebuconazole and fenvalerate were all frequently observed. Procymidone, endosulfan, dimethomorph and diniconazole were the pesticides most frequently detected at levels that violated the Korean Food Code MRLs.
        4,200원
        5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rvey of total aflatoxin levels was conducted on 145 samples(carthamiflos, thujae semen, giycyrrhizae radix et rhizoma) collected in Yakyeang markets in Seoul. Aflatoxin levels were quantified by the immunoaffinity column clean-up method followed by performance liguid chromatography(HPLC)-fluorescence detector(FLD). Aflatoxins were found in 10(6.9%)samples including 5 Arecae semen, 4 Thujae semen, 1 Zizyphi semen with a range of 0.45~79.15 μg/kg. Generall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contamination level of aflatoxins in Herb Medicines consumed in Korea is high compared with the standard in Korea Herb Medicine Code(10 μg/kg as aflatoxin B1). It is considered that aflatoxin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herb medicines during a storage and drying in herb medicines examined
        4,000원
        55.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suspected endocrine disrupting pesticides among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northern area of Seoul in 2007. 3,026 samples was analyzed by multiresidue method. Detected Pesticide in 11 cases were procymidone, endosulfan, chlorothalonil, chlorpyrifos, cyermethrin, fenvalerate, hexaconazole, carbendazim, pendimethalin, permethrin, parathion and exceeded 7 cases of endosulfan, procymidone, carbendazim, chlorothalonil, chlorpyrifos, cypermethrin, fenvalerate in the maximum residue limits(MRLs). Procymidone, endosulfan, chlorothalonil and chlorpyrifos comprised up to 80.5% in detected pesticides. Among the 321 cases of detected agricultural products, 287 cases(89.4%) were vegetables, 25 cases (7.8%) were fruits, Others were 9 cases(2.8%).
        4,000원
        56.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an effort to evaluate the currents in pesticide residues, 3,020 agricultural products were tested by multiresidue method with 260 pesticides, obtained from the circulation market of in the Gangbuk province in 2007.20.4%(616/3020) of the products were determined to contain pesticides residues, but only 4.1%(124/3020) of these were deemed to be unsuitable by the korea Food Code. Unsuitably products were spinach(21.0%), perilla leaf(17.3%), ulgari(13.6%), leek(12.4%), crowndaisy(12.4%), asterscaber(12.4%), chard(11.1%). Detected pesticides were procymidone(3.9%), endosulfan(2.6%), chlorfenapyr(2.2%), bifenthrin (1.3%), cypermethrin(0.7%), metalaxyl( 0.9%), azoxystrobin(0.3%) and chlorothalonil(0.7%). Sixty-four pesticides were detected and 11 pesticides were newly detected in 2007. Thirty-one pesticides in agricultural products exceeded their MRLs.
        4,200원
        58.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미국에서 우리나라 전통과자인 한과의 판매 가능성과 수용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서 미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이다. 설문 시에는 적절한 양과 가격, 섭취경험, 구입의사 등에 대해서 조사하였고, 관능검사 시에는 다식, 산자, 약과, 엿강정에 대해서 색깔-모양- 냄새와 greasiness, sweetness, firmness, adhesiveness, crispiness, dryness, overall acceptance에 대해서 평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약과는 greasiness 가 유의적으로 높았고(p<0.01), 산자와 엿강정은 crispiness 가 유의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p<0.01) 전체적인 수용도는 다식이 유의적으로 낮게 조사되었다(p<0.01). 조사대상자는 한과를 스낵(42.9%)으로 이용하겠다고 가장 많이 응답했다. 그러나 구입의사에 대한 항목에서는 시식 후 90.5% 가 구입의사가 없다고 응답했으므로 한과의 세계화를 위해서는 각 나라의 식문화를 고려하여 각 나라 사람들에게 친숙한 향과 맛을 첨가하여 제품을 생산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