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

        62.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orea represents high suicide rate by poisoning. Especially, since a lot of people died by high concentrated paraquat which has extremely high fatality rate, paraquat sales were prohibited in 2012. We investigated to find out how the prohibition of sales affected occurrence of pesticide poisoned patients and what kinds of influences did it have for severity and death rate. By targeting patients who visited emergency room by pesticide poisoning from 2010 to 2014, we researched insecticides poisoned patients and herbicidal poisoned patients grouped into 9 categories. Before and after 2012, We compared A term (2010, 2011) and B term (2013, 2014)’s pesticide occurrence, especially distribution of herbicide occurrence and compared hospitalization rate, hospitalization period, length of stay in ICU (Intensive Care Unit), severity, and death rate. The number of insecticide patients was 219 (37.4%) and the number of herbicide patients was 367 (62.6%) who visited emergency room in five years and the rate was similar every year. In case of paraquat, there was 70.5% decrease by 105 people for A term and 31 people for B term and increase of double for glyphosate, glufosinate, and other herbicides. The death rate was decreased but hospitalization was increased. There weren’t any difference of rate in ICU admission, intubation and ventilator therapy. By prohibition of using paraquat, the death rate by pesticide poisoning was decreased. However, patients who poisoned by other herbicides were increased, so hospitalization rate increased and there weren’t any difference at patient’s severity rates.
        63.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독도 영유권 문제는 1693년 이래 300년 이상 한일 간에 논쟁의 대상이었다. 학술적으로나 현실적으로 독도 영유권 문제에 대한 해결의 기미는 보이지 않고, 한일 연구자들 사이에서 공통의 논의를 찾기도 쉽지 않다. 순수한 학문적 연구보다는 자기 나라의 영유권 확보에 유리하도록 하기 위한 당위론적이고 목적론적인 연구에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독도문제를 둘러싸고 한일 간에 쟁점이 되고 있는 몇 가지 이슈를 시대 순으로 정리했다. 특히 도해금지령과 관련지어 태정관지령을 중심으로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도해금지령은 독도 도해금지도 포함하고 있는가. 도해금지령을 현대 국제법적인 의미의 조약으로 불 수 있는가. 조약이라면 독도 영유권문제에서 도해금지령은 어떠한 함의를 가지고 있는가, 나아가 도해금지령을 승계한 태정관지령은 독도 영유권 문제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가 등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해금지령과 태정관지령을 기초로 한 조일(朝日)/한일국경조약체제의 유용성, 그와 관련한 일본의 독도 편입의 부당성, 샌프란시스코 조약 해석에 대한 새로운 분석을 시도했다.
        64.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ošković (2004) argued that a quantifier cannot float in θ-positions in English, German and other several languages. In this paper, I strengthen this generalization by offering an independent set of arguments from Korean and Japanese. It will be shown that floating numeral quantifiers in these languages pattern precisely like the quantifiers in other languages, so that they only occur in non-θ-positions. Notwithstanding these gratifying results, several gaps in the generalization remain to be explained. In this paper, I argue that these and other related questions are adequately resolvable under the DP Split Hypothesis, proposed by Takahashi and Hulsey 2008 (see Sportiche 2005 for a similar argument), the essence of which is that A-moved subjects need not have a full set of DP in θ-positions. More specifically, an FQ cannot occur in θ-positions because there is no complete DP to which it can be merged in θ-positions. It can only occur in non-θ-positions when a full-fledged DP is available.
        65.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의 목적은 울릉도쟁계의 결과 일본인이 더 이상 울릉도와 독도로의 도해를 금지당한 것에 대한 일본 측의 인식을 정리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그를 위해서 (1) 17세기에 일본의 산인지방민들이 울릉도 근해에서 실행했던 어업활동의 성격과 그 주체였던 요나고의 오야 가문과 무라카와 가문의 성격을 정립하고, (2) ‘죽도 도해 면허’가 발급된 맥락을 17세기 초 일본의 정치적·사회적 배경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그리고 (3) 1696년에 막부가 지시한 ‘죽도도해금지령’이후에 오야와 무라카와 가문이 울릉도와 독도 도해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통해 현재 일본 정부가 주장하고 있는 것처럼 당시 도해를 금지당한 당사자인 오야와 무라카와 가문도 울릉도에 대한 도해는 금지 당했지만 독도에 대한 도해는 금지당하지 않았다고 인식하고 있었던 것인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66.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의 목적은 1870~80년대 일본인의 울릉도 침입과 「울릉도도항금지령」의 발령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 주목하여 1881년 수토사에 의해 발각된 일본인의 울릉도 침입의 배경을 살펴보고 당시 우리 조정의 대응에 대해 검토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항기 일본인의 울릉도 침입은 일본의 관주도 하에 조직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사실이다. 이 시기에 도항한 일본인은 야마구치현 출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일본 군함에 의해 조직적으로 파견되어 군함에 의해 철수시킨 것은 이를 대변해주는 것이다. 둘째, 이 때의 침입은 무인화 되어 있었던 울릉도에 침입하여 체류함으로써 경제적 이득 추구보다는 근대 국제법에 근거하여 새로운 섬의 ‘발견’과 ‘실효지배’라는 「무주지선점」의 논리를 적용하여 울릉도 를 침탈하려는 시도였다. 이것은 당시 검찰사 일행과 일본인 체류자와의 대화를 통해서도 명확하게 드러난다. 셋째, 1881년 봄 일본인의 독도 침입은 수토사에 의해 적발되어 신속히 조정에 보고되었고 당시 우리 조정의 대응은 이규원 검찰사의 파견과 「울릉도개척령」의 반포로 이어졌다. 「태정관지령」 등을 통해서 울릉도·독도의 소속이 조선에 있음을 재차 확인하면서도 ‘죽도명칭혼란’ 등의 이유로 「죽도개척원」, 「송도개간원」 등의 청원을 통해 다분히 울릉도 탈취 의도를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 이에 대한 조선 조정의 대응은 신속하고 강력한 대응이었다.
        67.
        201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난 2월 22일 일본 시마네현의 ‘죽도의 날’ 행사를 치루면서 독도홍보책자 󰡔죽도문제 100문 100답󰡕을 배포하였다. 여기서는 2005년 7월 죽도문제연구회 발족 이후 지금까지 죽도문제연구회가 펼쳐온 독도는 ‘일본 역사적으로 고유의 영토’라는 왜곡논리가 그대로 응축되어 있다. 사실 여기서의 ‘100문 100답’은 ‘Web죽도문제연구회’의 홈페이지를 통해 일반 네티즌들의 소박한 질문에 관해 답변해온 자료들 중 100여개를 취사선택하여 명료하 게 간추린 것에 불과하다. 그러나 한국은 “예로부터 전혀 독도를 인지하지 못했고, 17세기 오야·무라카와 양가의 죽도도해로 인하여 17세기 중엽에 일본의 독도에 대한 영유권이 성 립했다”고 하는 입장을 그대로 견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죽도문제 100문 100답』의 고유 영토론의 논리를 일본 사료를 통하여 비판하고자 했다. 분석의 결과 고유영토론은 일본의 사료에 의해서 명확하게 부정되는 것임을 밝혔다. ①1695년 12월 24일 에도 막부의 필두로쥬(筆頭老中) 아베 붕고노카미(豊後守)가 돗토리번 의 에도번저(江戶屋敷)에 보낸 질의에 대한 답변서 「7개조 답변서」에서 울릉도와 독도는 일본에 부속하지 않는다고 확인한 다음 「죽도도해금지령」을 내렸던 점, ② 1870년 4월 일본 외무성이 3명의 외무성 관원에게 조선의 내정에 대해 정탐을 하게 하여 보고받은 「조 선국시말내탐서」에서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 부속임을 명확히 확인하고 있는 점, ③ 1877년 3월 29일 당시의 최고정치결정기관인 태정관이 지령으로 ‘울릉도·독도가 일본의 판도가 아니다’라는 결정을 내린 「태정관지령문」에서 2섬이 일본의 영역이 아니라 조선의 영역임 을 천명한 점, ④ 일본에서 독도가 최초로 언급되는 관찬지 󰡔隱洲視聽合記󰡕(1667)에서 일본의 서북한계를 오키섬까지라고 기록하고 있는 것 등이다. 이들 일본 사료를 통해서 보더라도 죽도문제연구회와 일본 외무성이 주장하는 ‘고유영토론’ 논리가 성립하지 않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역사적 왜곡이 또 다른 사실 왜곡을 재생산하는 연결고리를 단절하기 위해서라도 일본은 독도에 대한 ‘고유영토론’의 논리를 내려놓아야 할 것이다.
        68.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article examines a Supreme Court decision on November 11, 2010(docket number 2010Do7955). The rule of prohibition on disadvantageous alteration(the rule against the disadvantageous alteration) in Korean criminal procedure code prescribes not to sentence more serious punishment than the punishment sentenced by judgement of the original instance in case of defendant appeal case and appeal case for the criminal defendant.In this case, the originally sentenced punishment was the “imprisonment of upper term 7 years, lower term 5 years” in addition to imposing the sanction of 5-year electronic monitoring(electronic tagging), and the court of appeal imposed the sanction of 20-year electronic monitoring while it reduced the length of imprisonment to “upper term 5 years, lower term 3 years”.This Supreme Court decision indicate that the nature of the court order imposing electronic monitoring is a kind of probation, and Supreme Court decided that court of appeal did not break the rule of prohibition on disadvantageous alteration in light of the nature of the electronic monitoring.In this article, I review the monitoring system for sexual criminals, along with overseeing “The Act on attachment of electronic device for position tracking on specific crime offenders”, and then I analyze the Supreme Court decision regarding the rule against the disadvantageous alteration in Korean criminal procedure code.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it might comprise the disadvantageous alteration if the length of probation(electronic monitoring) was altered essentially too much. Lastly, I examine the Supplementary Provision of “the Act on attachment of electronic device for position tracking on specific crime offenders”, which apply the act to the criminals who committed crimes before the act was amended, is against “The Prohibition of ex post facto law”.
        69.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this case, the appeal court says, the fact that the defendant used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and denied answering the questions of the police in the investigative process could not be used as evidence for evaluating the charge to the disadvantage of the defendant. This reference is appropriate. But the principle that we must not use the fact of no answer as evidence for regarding the assertion of the defendant as unreliable should not be confused as a principle that we must give an advantage to the no answer defendant. No answer could not prohibit the fact finder from infering truth from the indirect circumstantial facts. In this case, the defendant insisted that the drug in his body was not injected by him and he did not know how it was in his body. As two persons known visited him the day of arrest and he saw they put injectors in the waterpot, he thouhgt propably they injected the drug in his body in a stealthy way. But the defendant only insisted this story and did not give any clue with which this story could be checked up and for identifying the two persons. Therefore his assertion should be valued as unreliable because of the unreliability of the assertion itself, not because of the fact of no answer. And as the subjective factors as perception, intention, knowing etc could be infered by indirect factors, in this case, the fact that the defendant injected the drug voluntarily could be presumed from the fact that he was arrested in the intoxication in his room, there was none in his room when he was arrested, injectors were founded in his room. So the fact-finding of the court would be said inappropriate.On the other hand, the appeal court says, when the defendant decided to use the privilege against self-incrimination and not to answer, the police should immediately stop questioning. As in this case the police continued questioning, the interrogation is illegal. But this comment is inappropriate because the current criminal process law recognize the right to question to the public attorney and the police independently to the right of the defendant not to answer. Consequently the police can put questions to the defendant though he uses the privilege. But it is up to the decision of the defendant, whether he refuses all questions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r reply partly. As for ruling the interrogation, Korean law is different from the American law. Furthemore, in this case, the questions the police put to the silent defendant were for the name or for affirming whether the defendant would use the privilege or not. Because the questions are not for the fact for the defendant's charge, it would be not illegal with the viewpoint of American law.
        70.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2007년 개정 게임산업진흥법상의 '환전업금지 조항'은 게임의 사행성화를 방지하려는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이는 기존의 처벌규정이 없었던 게임이용의 결과물에 대한 환전 환전알선 재매입행위를 독자적인 범죄 구성요건화 함으로써 게임의 사행성화에 보다 적극적인 대처가 가능해 졌다. 게임산업 진흥법 제32조제1항제7호는 게임물의 이용을 통해 획득한 유 무형의 결과물을 환전 또는 환전 알선하거나 재매입하는 행위를 업으로 하는 것을 금지한다. 유 무형의 결과물은 점수, 경품, 게임머니, 게임의 비정상적 이용을 통해 획득된 게임데이터를 의미한다. 게임머니와 게임의 비정상적 이용을 통해 획득된 게임데이터의 해석에 따라서 대부분의 게임아이템현금거래가 이 조항의 적용범위에 포섭될 수 있다. 따라서 환전업금지 조항은 작업장과 게임아이템중개 사이트의 영업에 상당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이 조항은 게임과 사행행위의 분리를 통해서 게임산업의 미래에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