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배추(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국내외 수집 유 전자원 170점에 대한 TuMV(Turnip mosaic virus, TuMV) 저항성 유전자원을 선발하기 위하여, 유전자원의 잎에 국내 분리 계통인 TuMV-HY을 즙액 접종하였다. 2. TuMV를 접종한 배추 유전자원 개체들은 20oC±2oC에서 재배하였으며 4주 동안 바이러스 병징 발현을 육안으로 조사하여 저항성을 평가하였다. 3. 배추 유전자원은 약한 모자이크, 얼룩에서 심한 모자이크 등의 전신 감염 병징을 보였으며 TuMV 감염이 역전사중합효 소반응으로 확인되었다. 4. 바이러스 병징을 보인 배추 유전자원들은 TuMV에 대한 감수성 유전자원들로 판정되었다. 이들 중 공시한 국내 수집 자원들 모두가 감수성으로 판정되었다. 5. 13개 배추 유전자원들은 감수성 개체들에서 관찰된 모자이크 등 전신 감염 병징이 발현되지 않았으며 35일 동안 병징이 관찰되지 않았다. 6. 역전사중합 효소 연쇄반응으로 조사한 결과 13개 배추유 전자원들의 상위 잎들에서 TuMV가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13 개 배추유전자원들이 TuMV에 대한 저항성 계통들로 판정되었다.
        4,000원
        4.
        202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이 연구는 대학팀에 소속된 학생선수들을 대상으로 노력과 보상, 절실함 및 운동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관 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484명의 대학 학생선수들의 자료를 수집한 후 기술통계,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학생선수들의 노력, 보상, 절실함 및 운동지속의도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력과 보상의 균형 및 불균형 에 따른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 노력과 보상은 절실함이 매개될 경우 운동지속의도에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선수들의 운동에 대한 지속의도를 높 이기 위해서는 선수 자신의 노력하는 태도를 강조하고 그에 상응하는 보상을 제공하여야 하며, 절실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동기유발 전략들이 요구된다.
        5.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코치의 직무열의에 삼분법적 효능감이 미치는 영향과 직무열의가 그들의 코칭만족과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코칭경력에 따른 영향관계의 차이를 밝히고자 한다. 방법: 운동선수를 지도하고 있는 코 치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 직무열의, 코칭만족, 지속의도 의 검사지를 연구목적에 부합되게 제작 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상관분석, 경로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첫째, 코치의 삼분법적 효능감의 자기효능감, 타인효능감 그리고 관계추론 효능감 은 직무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삼분법적 효능감과 직무열의, 코칭만족 그리고 지속 의도 간의 영향력 있는 경로가 형성됨을 확인하였다. 셋째, 코칭경력에 따라 형성된 경로의 변인에 대한 영향력 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코치와 선수간의 삼분법적 효능감과 직무열의가 코치의 긍정적 심리 와 코칭의 지속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코치의 경력이 높아짐에 따라 선수와의 상호 관계 속에서 형성되는 효 능감이 직무열의에 더욱 중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6.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국내외 여러 직무영역에서 연구되고 있는 노력-보상 불균형을 운동선수에게 적용하고자 하는 기초연구로 노력-보상 불균형의 주요개념인 운동선수의 노력과 보상은 어떤 개념이 포함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및 대학교 학생선수와 실업팀에서 전문선수로 활동하는 19개 종목 12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개방형 설문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분석을 실시하여 빈도를 산출하고 범주화해 결과를 도출했다. 결과: 운동선수가 지각하는 노력의 개념 분석 결과 ‘훈련에 대한 노력 요인’은 기량강화, 인지심리강화, 자기관리 3개의 일반영역으로 나타났으며, ‘시합에 대한 노력 요인’은 인지심리 강화, 자기관리, 기량강화, 상호작용 4개의 일반영역을 도출하였다. ‘일상생활에서 노력 요인’은 자기관리, 기량강화, 인지심리강화 3개의 개념이 탐색되었으며 ‘목표달성을 위한 노력 요인’은 인지심리강화, 기량강화, 자기관리, 상호작용 4개의 일반영역이 도출되었다. 선수들이 지각하는 보상 요인의 귀납적 내용분석을 실시한 결과 혜택, 사회적지지, 긍정적 성과, 미래 안정성 4개 영역으로 수렴됨을 확인하였다. 결론: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타 분야 연구들과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운동선수들의 문화와 특징을 고려한 논의가 제시되었다. 또한 노력-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개발에 대한 후속연구 제언과 본 연구의 기초자료로써 가치를 확인하였다.
        7.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국내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운동 자기-도식은 신체활동을 설명하는데 유용한 변인이며, 이의 형성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운동 자기-도식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인 남, 여 200명이 개방형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운동 숙련자 및 운동 전문 지도자 10명이 개별 면담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원자료에 대한 빈도분석과 질적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운동 자기-도식의 영향요인으로 운동효과 측면, 신체상태 측면, 행동적 측면, 인지적 측면, 심리적 측면 그리고 환경적 측면이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운동 자기-도식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신체활동의 참여와 지속을 위한 중재전략에 적용하면 유용할 것이라 생각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될 필요가 있다.
        8.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행동과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이 성별, 수준(중·고등학교·성인),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지각된 코칭행동,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의 요인 간 관계를 확인하여 중· 고등학교·성인 개인종목 선수들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방법: 개인종목 선수 57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유효한 설문지 54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남성: 325, 여성:215, 평균연령: 17.07세). 설문지 구성 내용은 총 55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5문항, 코칭행동 25문항, 선수만족 10문항, 탈진 15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23.0과 AMOS 23 프로그램 통해 전산 처리 하였고, 지각된 코칭행동,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이 성별, 연령, 선수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선수들이 지각한 코칭행동이 선수 만족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지각된 코칭행동, 선수만족, 탈진이 성별, 연령, 선수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지각된 코칭행동이 선수만족과 탈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으며, 코칭행동의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 훈련 및 지도, 긍정적 보상이 선수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권위적인 행동과 선수만족이 탈진에 영향력이 있음을 나타냈다. 셋째, 중학교 선수 경우 훈련과 지도, 긍정적 보상에 대한 코칭행동, 고등학교 선수 경우 민주적 행동과 사회적 지지, 성인선수 경우 민주적 행동과 긍정적 보상이 선수만족에 정적 영향을 보였다. 넷째, 중· 고등학교· 성인 모두 탈진에 선수만족과 권위적 행동이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결론: 성, 경력에 따라 지각된 코칭행동과 선수만족 그리고 탈진에 대한 반응은 일부 요인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수준에 따른 차이는 대부분 하위요인들에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를 나타냈고, 중·고등학교·성인 모두 선수만족과 코칭행동의 권위적인 행동이 탈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현장에서 선수들에게 지각되는 코칭행동이 선수만족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과 선수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여 현장에서 지도자가 유용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토대로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9.
        201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own health risk perceptions and those of others at the same age. Moreover,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ias toward health risks by gender and the physical activity level. Methods: Three hundred fifty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distributed to company employees and sports center members. Among them, total 332 were finally used in this study(male: 166, female: 166, Mage=49.32 years). Self and other risk judgment profile was revised into Korean and applied in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independent t-test were carried out by SPSS 23.0.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middle-aged adults tend to have unrealistic perceptions of their vulnerability to most health risks and perceive their own likelihood of encountering all health risks events as lower than that of others. In addition, the finding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bias toward to health risks by gender and the physical activity level.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made a unique contribution to the existing knowledge about middle-aged adults' health risk perceptions.
        10.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reaction time of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 making information related with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exercise self-schema. So it would have the hypothesis that exercise self-schema affected to judgement, remember and expectation of the content related with physical activity. Methods: The participants of experiment were 36(male:15, female21,Mage=21.25). Task was presented at computer screen. Participants reaction time and contents were saved automatically. And it was measured the physical activity’s amount for 7 days through questionnaire. All anaysis were conducted by SPSS 18.0 and AMOS 18.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participants who had higher exercise self-schema had faster information processing about physical activity content than the participants who had lower exercise self-schema. Also group of higher exercise self-schema had more vocabulary comments. And at the expect behavior related physical activity, the group of higher exercise-self schema seek more physical activity than the group of lower exercise self-schema. Finally, higher exercise self-schema group had more physical activity. Conclusion: it had identified that exercise self-schema was significant factor at information processing related physical activity. So it is needed to study and develop the program which help developing exercise self-schema.
        11.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current study explored physical activi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a random sample of community adults, and tested causal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to explain physical activity. Methods: A total of 812 adults over 30 years old who reside in Gangbuk-gu, Nowon-gu, and Seongbuk-gu, Seoul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Standardized scales were used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ed social ecological variables. Result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physic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of the social ecological variables. All of psychological, social environmental, and physical environmental variables had a significant direct path to explain physical activity. In addition, self-efficacy and perceived benefits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 and physical activity, and 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availability of facilities and physical activity was substantially mediated by perceived barriers.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useful information in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promote greater engagement in physical activity among middle aged adults.
        12.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mong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by gender, age, stages of changes and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of adults. Methods: Six hundred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distributed to college students, company employees and sports center members. Among them, total 569 were finally used in this study(male: 288, female:281, Mage=38.36). Exercise self-schema inventory, exercise imagery inventory, exercise self-efficacy scale and weekly leisure-time exercise questionnaire were revised into Korean and applied in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possibl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All analyses were conducted by SPSS 18.0 and AMOS 18.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by gender, age, and the stages of exercise changes. And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positiv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exercise self 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of adult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gni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exercise self-schema and exercise imagery could be significant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13.
        2014.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xercise imagery,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dults. Methods: Five hundred questionnaires were initially distributed to college students, company employees and sports center members(male: 273, female: 194, Mage=39.21). Among them, total 467 were finally used in this study. Exercise imagery scale, weekly leisure-time exercise questionnaire and short-form health survey-36 were revised into Korean and applied in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arried out to test the possibl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imagery,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ll analyses were conducted by SPSS 18.0 and AMOS 18.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imagery,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adults. In specific, exercise imagery and physical activity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vitality which was sub-factor of psychologic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dditionally, exercise imagery was significant factor to physical health-related quality and physical activity. The finding ultimately revealed that a hypothesized research model showed the significant model fit after modification. But it was showed the difference with sex.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gnitive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exercise imagery could be significant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s it was existed the difference with sex, there will be necessary another studies which is concerned about various variables.
        14.
        2014.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visual search and decision-making on expertise levels of rugby referees. Methods: The participants(n=6) consisted of 3 novices and 3 experts. They were asked to watch the rugby game videos wearing eye-tracking glasses and press a response key in the situation to recognize a foul or to blow a whistle. The videos consisted of two skill types(Ruck, Maul) and three situation types(legal, foul, advantage) were randomly presented, and at the end of the videos participants were asked to express verbally visual focus area. Independent variables were expertise level, skill types, and situation types,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decision-precision, foul recognition time, decision-making time, visual search(eye movement frequency, fixations frequency, fixation duration ratio), fixation locations, and perceived eye-focus locations. Results: The expert referees made more accurate judgments in advantage situation, took longer decision-making time, and did more effective visual search, compared with the novice referees. In addition, the results on the fixation locations and the perceived eye-focus location revealed that expert referee focused more on attack location, and novice referee focused more on defense location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effective visual search and decision-making training needs to be considered to strengthen refereeing capability, and then that would have a major impact on smooth game operation.
        15.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사회생태적 변인들이 다양한 강도(고강도, 중강도, 저강도)의 신체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성인 352명(남성: 182명, 52%; 여성: 169명, 48%; 평균연령=39.85세)이 참여하였으며, 자기효능감 질문지, 의사결정균형 질문지, 사회적 환경 질문지, 물리적 환경 질문지, 신체활동 질문지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물리적 환경은 중강도를 제외한 고강도, 저강도 신체활동과 의사결정균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물리적 환경은 운동이득-자기 효능감-저강도 신체활동의 경로계수에서 가장 높은 간접효과를 보였으며, 사회적 환경은 자기효능감을 통해 고강도 신체활동에 높은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특히 자기효능감은 고강도 신체활동에 높은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결과를 통해 개인적, 사회적, 물리적 환경 변인이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개입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신체활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사회생태모형의 하위변인들이 서로 유의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확인됨에 따라, 신체활동의 증진 및 유지를 위한 운동프로그램은 개인의 심리적 속성뿐만 아니라,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자원 및 물리적 환경 요인에 등도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16.
        2013.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blanching condition (immersion ratio 1:15 (w/v) for 3 min at 95oC, and solution containing 1% sodium chloride) and selected forming agents (dextrin DE=10, dextrin DE=20, β-cyclodextrin; each forming agents added 5%) on the phytochemical compound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Ligularia fischeri leaves. The moisture was not affected by the forming agent. The color of a, b and chroma values were low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s and were significantly lowest with β-cyclodextrin (CD). The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non-blanching-treatment group. The ascorbic acid content was higher in the non-blanching-treatment group and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he group treated with dextrin (DE=10) whereas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s showed lower dehydroascorbic acid content than the non-blanching-treatment group. The water absorption was higher in the non-blanching-treatment group and was significantly highest in the group treated with CD. The water solubility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s treated with dextrin (DE=20) and CD was higher than that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 treated with DE=10. The total chlorophyll and chlorophyll a and b contents were high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 treated with CD, and for the total carotenoid contents, the same tendency as that seen with the chlorophyll content was observed. With regard to the particle diameter, those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s were lower than that in the non-blanching-treatment group and was significantly lowest in the blanching treatment groups treated with DE=20 and CD. The result of SEM observation showed that the spray-dried powders in blanching treatment groups treated with the DE=20 and CD forming agents had uniform particle distribution.
        17.
        2013.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 학년,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지속의사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을 확인하고, 남·녀 대학생의 주당운동시간에 운동변화단계, 운동 자기-도식 그리고 운동지속의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4명(남자 197명, 여자 207명)에게 설문지를 실시하고, SPSS 18.0와 AMOS 18.0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변량분석, 신뢰도분석, 타당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과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 지속의사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적 회귀분석결과, 남성의 경우 주당운동시간을 예측하는 설명량은 43.6%이며, 여성의 경우는 37.8%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요인은 다소 차이가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데 운동 자기-도식의 형성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차를 고려한 중재 전략이나 프로그램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18.
        2012.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일반인의 운동 자기-도식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박인경(2011)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2차 예비조사와 본조사 모형검증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변량분석을 통하여 척도 개발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운동 자기-도식 척도의 구성요인은 행동적 운동 자기-도식과 인지·감정적 운동 자기-도식의 2요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 자기-도식 척도의 요인구조는 2요인 14문항(행동적 운동 자기-도식 7문항, 인지·감정적 운동 자기-도식 7문항)으로 구조화되었으며, 적합도 지수는 모두 최적치 기준을 만족시켰다. 타당도 검증을 통해 확인된 운동 자기-도식 척도는 향후 일반인이 가지고 있는 운동 자기-도식을 측정하고 이와 운동행동과의 관계를 명확히 파악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19.
        200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Optimal conditions for hot water extraction of Liriope spicata tuber were investigated with changes in solvent ratio(2∼6 fold) and heating time(1∼5 hr)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The content of extractable solids increased with an increased in solvent ratio, and the highest content showed at heating time of 3 hr. The content of total steroid saponin increased with a decrease in solvent ratio, and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heating time at increasing the solvent ratio. The content of non-reducing sugar containing oligosaccharides at a lower solvent ratio didn’t show changes depending on heating time, while that at a higher ration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heating tim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using hot water as the limited conditions of 15∼18% extractable solids, 1.5∼2.0% total steroid saponin, 6∼8% reducing sugar, 6∼7% non-reducing sugar and 13∼15 brix were 3 hrs of heating time and 4 fold of solvent ratio.
        20.
        1999.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김치의 보존성과 품질향상에 미치는 calcium lactate와 calcium acetate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calcium lactate와 calcium acetate를 0.5:0-0:0.5의 비율로 혼합하여 김치에 0.5%로 첨가, 1에서 숙성시키는 동안 pH, 산도, 칼슘함량, 조직의 광학현미경 관찰 및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그 결과 calcium lactate : calcium acetate가 0.4 : 0.1, 0.3 : 0.2,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