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67

        182.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 나라 콩 종자의 모자이크 바이러스(Soybean mosaic virus, SMV) 감염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수집한 8개 품종을 공시해서 Lima와 Purcifull의 면역이중확산법으로 SMV 검정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시한 7개 품종 중 6개 품종에서 SMV가 검출됨으로서, 우리 나라의 콩 품종에서 SMV의 종자전염성이 혈청학적 방법으로 확인되었다. SMV가 검출된 종자의 종자감염성율은 최저 에서 최고 를 나타냈으며, 전체적으로는 총검정립수 336립 중 18립에서 SMV가 검출됨으로서 약 의 감염율을 보였다. 2. 이병주에서 채집한 갈반립과 무갈반립수의 SMV 감염율은 북해 1호 품종의 경우 각각 와 Clark 품종의 경우 각각 와 , Woodworth 품종의 경우는 갈반립과 무갈반립 모두 의 감염율을 나타냄으로써, 공시한 콩 품종의 갈반립과 무갈반립간엔 SMV 감염율에서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3. SMV에 감염된 광교품종 중 괴저병징을 나타내는 개체에서 채종한 종자에서는 전혀 SMV가 검출되지 않아 광교품종에서는 SMV-N가 종자전염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4,000원
        183.
        198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년간에 걸쳐 조사한 대두의 수량감소는 갈색무늬병을 접종한 경우 농약 살포구에 비해 감소 차였으며 자연감염의 경우에는 의 감소를 나타냈다. 갈색무늬병의 감염은 초장, 주당절수(株當節數), 주당분지수(分枝數)에는 큰 영향이 없었으나 주당협수(狹數)와 종실중(種實重)에는 현저한 감소 현상을 보였다. 대두의 수량감소율을 갈색무늬병의 이병율과 정(正)의 상관을 보였으며 그 상관도는 Van der Plank's infection rate (0.156) 보다는 병 진전국선면적(AUBC) 과의 상관도가 높았다. 병진전곡선 면적으로 표시된 갈색무늬병의 감염율과 대두수량 감소율과의 관계는 y=4.38+0.5X 으로 나타났다.
        4,000원
        184.
        198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대두 자주빛무늬병에 대한 저항성인자원 선발을 위하여 한국에너지연구소, 방사선농학연색실이서 보존하고 있는 수집재내종을 자연감염율과 인공접종법에 의한 저항성검정을 실시하였다. 공시한 수집재래종 467 계통중 는 이하의 감염율을, 약 는 이상의 감염율을 보였으며 이 자연감염율은 결협초기의 기상조건과 밀접한 상관을 보였다. 종자접종에 의한 자반의 형성은 자연감염율과 정의 상관을 보여 일차적인 저항성 검정방법으로서 효과적이었으며 만숙대두계통은 병해도피에 의한 저항성을 보였다. 그리고 갈색무늬병균의 병원성과 관계되는 종자의 자반정도는 배양기의 착색정도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3,000원
        185.
        198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시험은 수직싸이로에서 대두를 훈증소독하는 경우 훈증제별로 침투확산력을 조사할 목적으로 실시한것으로써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두의 표면에 M.B를 단독으로 투약한 경우 M.B Gas의 침투확산속도는 대만히 빨라 투약후 4시간 이내에 싸이로 기부에 60mg/l 이상의 M.B Gas가 검출되었으며 10시간 이후로부터는 M.B Gas의 농도가 차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2. M.B Gas의 Carrier로 Gas를 동시에 사용하였을 때는 M.B Gas의 침투확산속도가 M.B 단독 사용시보다 더욱 빨라져 투약후 1.5 시간이내에 싸이로 기부의 M.B Gas 농도는 70mg/l 이상을 나타내었다. 3. Phostoxin을 투약한 경우는 M.B를 투약한 경우 와는 반대로 침투확산력이 매우 미약하여 투약후 48시간동안 싸이로의 기부에서 10mg/l 이상의 농도를 검지할 수 없었다. 4. 소독효과를 조사하기 위해서 공시충으로 쌀바구미를 싸이로 기부에 삽입하였던바 M.B 및 구에서 는 완전한 살충효과를 얻었으나 Phostoxin 사용구에서는 대부분 생충으로 발견되었다.
        3,000원
        186.
        198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녹두 돌연변이계통의 갈색무늬병에 대한 저항성검정을 위하여 접종실험에 필요한 다량의 분생포자를 얻을 수 있는 배양조건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갈색무늬병균의 분생포자 형성에 적합한 배지는 기주식물조직배지인 녹두엽즙배지였으며 약 2500Lux의 형광조사는 분생포자 형성을 촉진시켰다. 2. 배양기상의 기중균사 거는 분생포자 형성을 현저히 증가시켜 OA배지에서도 MOA에서와 같은 량의 많은 분생포자 형성이 가능하였다. 3. 포자형성의 최적조건은 색소생성 및 균사장의 최적조건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보였다.
        3,000원
        187.
        197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통일품종의 도열병저항성 유전자구성과 저항성의 유전에 관련하는 이들 유전자의 상호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통일품종과 5개의 이병성 재래품종, 밀성, 팔굉, 신 2호, 중국 4.호 및 관동 89호 등을 교잡하여 얻어진 및 집단에 도열병균주 E-7과 100-14를 각각 주사 접종하여 그들의 분리비를 Chi-square test하였다. 1. 유전자분석에 사용된 도열병균주 E-7, T-1 및 100-14sms 일본판별품종에 의하여 각각 C-3, T-1 및 C-5로 동정되었다. 2. 식물체는 접종균주에 대하여 저항성 모품종과 동일한 수준의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이것은 도열병 저항성이 이병성에 대하여 완전우성임을 시사한 것으로 보였다. 3. 집단에서는 접종균주 E-7과 100-14에 대하여 저항성과 이병성의 분리비가 각각 3:1로 나타나 이들 균주에 대한 토일의 저항성은 단성유전을 하는 것으로 보였다. 4. 접종균주 E-7에 대하여 저항성인 집단에 100-14 균주를 2차로 접종한 저항성과 이병성이 3:1로 분리되어 이 두 균주에 대한 통일의 저항성은 서로다른 별개의 유전자에 의하여 발견되는 것으로 보였다. 5.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접종균주 T-1, E-7 및 100-14에 대한 저항성은 서로 다른 유전자에 의하여 지배되므로 통일품종은 적어도 3개 이상의 도열병 저항성 유전자를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4,000원
        188.
        2021.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근거이론을 통해 여자대학생의 필라테스 수업 참여 과정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경기 소재 B대학교에 개설된 ‘생활 스포츠’, ‘필라테스’ 교양 수업에 참여한 여자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개방코딩과 축코딩을 통해 패러다임 모형을 도출하였으며, 선택코딩을 통해 핵심범주와 이야기 윤곽을 추출하였다. 결과: “필라테스 수업 참여하기”가 중심현상 이었으며 인과적 상황은 ‘부정적인 신체 인식’과 ‘필라테스 호기심’이었다. 맥락적 조건은 ‘수업과 운동 병행’, ‘비싼 필라테스’로, 중재적 조건은 ‘참여 촉진 요인’과 ‘참여 방해 요인’이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운동 소통’과 ‘교강사의 지원’ 이었으며 작용/상호작용 전략에 따라 ‘신체태도 변화’와 ‘전문성 추구’가 나타났다. 결론: 참여자들은 필라테스 수업을 통해 필라테스의 효과를 인식하였으며 신체에 대한 태도가 변화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필라테스의 다양한 현장 적용 가능성과 대학 체육교육 수업으로서의 필라테스에 대한 논의가 이어지기를 기대해본다.
        189.
        2020.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의한 노인 운동행동 변화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권에 거주하며 운동경력이 3년 이상인 60세 이상 남녀 노인 70명을 선정하였다. 온라인을 활용한 개방형질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체험한 운동행동 변화 사례를 탐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을 통해 범주화하였으며, 범주화된 각 주제는 연역적 전개를 통하여 구체화하였다. 결과: 원자료의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운동패턴의 변화, 운동 제약 강화, 운동 불안감 증폭, 운동 포기의 4개 상위범주와 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화 결과를 토대로 진행한 심층면담 결과, 코로나19로 인해 운동 종류나 운동 패턴 등 기존의 운동 방법 변화를 체험하였으며, 마스크 착용이나 사회적 거리 두기, 야외활동 자제 등의 사회적 지침에 의한 운동 제약, 노인 사망률이 높았던 코로나19의 메스컴 보도 등으로 인한 운동 불안감 증폭, 그리고 기초적인 활동량과 의도가 줄어듦으로 인한 운동 포기 등을 체험하였다. 결론: 코로나19 사태에 따라 온라인 학습 활성화, 사회적 거리 두기 등 여러 국책이 발표되고 있고, 이는 노인 뿐 아니라 전 계층의 운동행동과 운동참여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추후 체육학계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현상과 변화에 대비한 지속적 탐색과 관심이 요구된다.
        190.
        201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격 소총 선수 1명을 대상으로 긍정심리기법을 활용한 심리기술훈련이 심리변화와 경기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일피험자 사례설계를 활용하였으며, 긍정심리자본, 스포츠수행전략, 심박변이도, 경기결과 분석, 심층면담을 통해 심리기술훈련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은 긍정심리기법, 목표설정, 루틴개발, 심상훈련, 이완훈련, 주의집중을 주제로 총 40주간 사전단계, 훈련단계, 사후단계로 구분하여 적용하였다. 결과: 긍정심리기법을 활용한 심리기술훈련 적용 결과 긍정 심리자본, 스포츠수행전략, 심박변이도는 물론 경기력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다. 결론: 연구대상자에게 적용된 긍정심리기법은 긍정적인 정서유발을 통해 부정적 정서와 사고를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주 호소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사료된다. 현재 국내 선수경기력 향상을 위한 심리기술훈련 기법은 비교적 한정적인 관계로 다수의 종목 및 포지션에 따른 세심한 심리기술 적용이 제한되어 있다. 이에 후속연구에서는 긍정심리기법을 적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시도되어야 한다.
        191.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lthough the diagnostic rate of organizing hematoma has increased, any crucial characteristic findings are not fully understood and elucidated. Even though it is a non-neoplastic lesion, radiological image findings can range from a benign expansile appearance to a more aggressive form such as bony erosion, which sometimes can make any confusion. Thus, clinician should make a diagnosis thoroughly based on the histopathologic finding. Here, we presented two cases of organizing hematoma of the maxillary sinus mimicking chronic rhinosinusitis.
        192.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isual place recognition is widely researched area in robotics, as it is one of the elemental requirements for autonomous navigation,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for mobile robots. However, place recognition in changing environment is a challenging problem since a same place look different according to the time, weather, and seasons. This paper presents a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a deep convolutional auto-encoder to recognize places under severe appearance changes. Given database and query image sequences from different environments, the convolutional auto-encoder is trained to predict the images of the desired environment. The training process is performed by minimizing the loss function between the predicted image and the desired image. After finishing the training process, the encoding part of the structure transforms an input image to a low dimensional latent representation, and it can be used as a condition-invariant feature for recognizing places in changing environm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ive of the proposed metho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our method outperformed than existing methods.
        193.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비채널의 다양화는 소비자의 소비행태에 있어 큰 변화를 야기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쇼루밍적 소비행태가 확산되고 있으며, 국내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해 국내 소비자의 소비행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변화한 소비행태를 반영한 개략적인 채널 활용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20~5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품질’이었으나, 제품 선택이 종료된 후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시점에서는 같은 제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55.7%)’으로 구매할 수 있는지가 중요했다. 또한 주 구매 채널로 ‘온라인+오프라인(73.8%)’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며, 매장에서 모바일로 제품 검색 여부’에 대해 약 79.5%의 응답자가 ‘예’라고 답했다. 둘째, 매장 내 모바일 검색 후 최종 구매 채널을 묻는 질문에는 ‘매장(34.7%)’을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차후 모바일 구매(34.1%)’라고 응답한 쇼루밍적 소비 비율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특히 매장 구매의 경우 매장 내 모바일 검색 이유에 ‘상품평 참고’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온라인(모바일)은 가격비교만큼이나 상품평 등 타 소비자와 공유하는 소통의 장으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따라서 소비자간, 기업-소비자간 소통이 가능한 유연한 매장 환경을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품목에 따라서는 의류, 생활용품, 화장품 등이 매장 구매 선호 품목으로, 서적, 의류, 가전제품이 온라인(모바일) 구매 선호 품목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순수 오프라인족’이 20대가 가장 많았고, 이들은 생활용품과 의류를 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향후 온오프라인 구매 채널 구축 및 확장 시 연령대별 소비행위, 구매 프로세스, 활용 선호 구매채널, 품목별 선호 구매 채널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전략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194.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environmentally sound management on the import of 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WEEEs) by investigating the hazardous elements, and the hazardous characteristics thereof, in this waste, and by reviewing the extant criteria causing them to exhibit an Annex III characteristic on Basel Convention. The investigation of imported WEEEs found that the importing volume has gradually increased since 2009 and 95.9% of imported WEEEs, which are mainly classified as Printed Circuit Board (PCB) and its scrap in 2015, is designated as restriction wastes. Also, it is important to designate and unify the hazardous element list and the characteristics of WEEEs because the analytical items and their test methods submitted in the test report are designated differently for each local authority. We confirmed that three kinds of criteria are applied to determine whether the target wastes are hazardous or not: the content criteria for 8 kinds of elements on import bans of wastes, the content criteria for 8 kinds of elements sufficient for allowing wastes to be imported, and the leaching criteria for 13 kinds of elements to classified as a specified waste. Among them, five elements (hexavalent chromium, arsenic, cadmium, lead, and mercury) are managed for the WEEE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talog the total contents of hazardous chemicals caused by hazardous characteristics of other elements (beryllium, antimony, etc.), as can happen to WEEEs.
        195.
        2018.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appropriate recycling/disposal processes that are caused by the illegal transboundary movement of electronic wastes (e-wastes) can have harmful effects on the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because of these wastes’ harmful components. Therefore, we must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regarding the domestic management of exported/imported e-wastes and examine the international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Basel Convention. In this study, the current management situation of e-wastes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the present recycling processes of companies in Korea are investigated to draw improvements when e-wastes are exported or imported. Most imported e-waste involves waste printed circuit boards (WPCB) and their scraps (more than 95.7 % of the total e-waste volume in 2015) to recover precious metals such as copper, silver, gold, etc. To distinguish between waste and non-waste under the Basel Convention, six items (① market for used electronic and electrical equipment (UEEE), ② residual life and appearance, ③ functional tests, ④ evidence of UEEE deals, ⑤ evidence of contracts to a trade partner, and ⑥ packaging and loading conditions) and a decision flowchart are considered to classify whether the end-of-life equipment is waste.
        196.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blast-furnace slag cement by changing the content ratio between blast-furnace slag and ordinary Portland cement for the safe recycling of blast-furnace slag in the cement industry. The analysis of the three main materials of the cement (ordinary Portland cement, blast-furnace slag, and the alternative raw materials), resulted in the ordinary Portland cement having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Also, it is concluded that the heavy metal content of blast-furnace slag cement is mainly attributed to the content of ordinary Portland cement. As the content of furnace slag during the manufacture of cement increases, the overall heavy metal content of the furnace slag cement becomes low. This was highly evaluated as a resource in the cement-production process, in respect of the effective recycling of resources and the safe management of hazardous materials.
        197.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safe and environmentally-sound recycling of blast-furnace slag in the cement industry. This was accomplished by analyzing the heavy metal contents of three kinds of raw materials: blast-furnace slag, Portland cement, and the substitutes, which were mainly input into the manufacture of cement. The research revealed that, in the five samples tested, the heavy metal level in the blast-furnace slag cements (5.90 ~ 8.38 mg/kg for Cr6+) is lower than the ordinary Portland cement (11.04 ~ 14.92 mg/kg for Cr6+). This suggests that both raw materials have low heavy metal contents compared with the 20 mg/kg limit enforced by the autonomic convention in Korea. As for the substitutes, there was no decisive effect on the overall heavy metal content because of the low input ratio of 2.5%. Therefore, it is of high utility value to recycle the blast-furnace slag in the cement industry, considering slag can dilute the overall heavy metal contents in the cement products.
        198.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 화장품 원료의 유기용매 추출법과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법의 장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생(生) 천연물에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를 통해 과즙을 만드는 새로운 제조법으로 화장품 소재를 개발하였다. 천연물은 다양한 색상과 비타민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파프리카 중 두 가지 색상(빨간색, 녹색)을 선정하였고, 발효에 사용된 미생물로서 당분해 효소능이 있는 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해 파프리카에 접종하여 발효하였다. 먼저 고압으로 착즙한 파프리카 생즙 2종과 유산균으로 발효한 발효즙 2종의 생리활성 변화를 확인해 보았다. 총 페놀함량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실험 결과, 파프리카 생즙보다 발효즙에서 모두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빨간색 파프리카 발효즙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프리라디칼 소거효과와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역시 파프리카 생즙에 비해 발효즙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가 나타났으며, 그중 빨간색 파프리카 발효즙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항산화 효과가 높은 빨간색 파프리카 발효즙을 이용해 MMP-1 발현 실험을 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MMP-1 mRNA와 MMP-1 단백질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노화에 따른 glycation (당화현상) 실험의 경우, 파프리카 발효즙에서 상대적으로 anti-glycation 효과로 최종 당화산물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생성 억제 활성이 높아 항산화효과와 밀접한 연관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세포노화 지표물질인 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A-β-gal) 활성을 사람 섬유아 세포(HDF)를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파프리카 발효즙을 처리하였을 때 노화에 의해 염색된 세포의 수가 감소하여 세포의 senescence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파프리카는 생즙보다 유산균을 이용한 발효즙이 항산화 효과와 항노화 효능이 우수했으며, 그중 빨간색 파프리카 발효즙이 가장 우수한 항산화와 항노화 효능을 가져 이를 이용한 항산화 및 항노화의 천연 신소재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199.
        2018.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은의 전과정 관리를 통한 환경배출 저감을 위한 미나마타 협약이 2017년 8월에 발효되면서 비준 절차를 진행하고 있는 우리나라 또한 수은을 함유한 제품 또는 폐기물을 친환경적으로 보관 및 폐기해야 한다. 우리나라는 의도적 사용을 위해 원소상 수은을 수입해 왔으나, 수은첨가제품 및 정광 불순물 등 비의도적으로 수은이 유입되어 왔다. 이렇게 비의도적으로 유입된 수은의 69%가 고농도 수은함유폐기물의 형태로 지정폐기물로 구분되어 지정폐기물 유입시설로 유입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수은함유 폐기물 매립시설 주변대기 중 수은 농도가 우려됨에 따라 수은함유 폐기물의 친환경적인 매립 관리기준과 함께 고수은함유폐기물의 회수 및 처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수은은 대기로의 휘발량이 큰 금속으로 알려져 있으며, 수은함유 폐기물 매립지에서 원소상 수은의 형태로 전환되어 환경 중으로 재유입될 가능성이 있다. 국외의 경우 고농도 수은함유 폐기물의 회수 및 처리에 대한 기준을 두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수은 회수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업체에서 발생하고 있는 고농도 수은함유폐기물(비철금속 발생 슬러지)을 대상으로 시간별 온도별에 따른 대상 폐기물 내 수은 함유량 및 용출량 실측을 통해 고농도 수은함유 슬러지 중 최대 비산율 및 온도별 속도상수를 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고농도 수은함유 폐기물의 환경 중 수은 배출 저감 방향을 제시함으로 향후 수은함유 폐기물의 적정 관리기준 설정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200.
        2018.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oad test is performed to obtain the data to evaluate load carrying capacity and check static &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structure by estimating the real behavior of bridge due to loading the load. The subject facility in this paper is a bridge located on the spiilway of dam and traffic is relatively less than most brige. Considering the age and operation rules of a dam, however, load test and structure programming analysis were performed to check current conditions for structure under in-depth inspection and the results of that analysis are sh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