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53

        201.
        2019.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analyzed the anthocyanin accumulation, abscisic acid (ABA), gibberellic acid (GA) contents and metabolic genes expression in berry skins under high temperature (High T) at verais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ause of bad coloration of 'Kyoho' grape due to High T in summer season. The coloration of ‘Kyoho’ grapes was stopped by High T for 10 days from veraison, and the fruit quality was not affected except skin color. Total anthocyanin of skins was decreased by High T treatment and malvidin and peonidin were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 In berry skins, ABA content did not decrease by High T treatment, but it was rather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A content was increased about two times compared to the control after 10 days of High T treatment, which caused decreased ratio of ABA/GA. Analysis of expression of anthocyanin biosynthetic genes showed that the early biosynthetic genes were not affected by High T and the expression of UFGT was decreased by temperature treatment. ABA biosynthetic gene expressions were not affected by High T and the expression of GA20ox1 and GA2ox1/2, which are known to regulate the biosynthesis and inactivation of GA, were increased and decreased by High T, respectively. Therefore, the bad coloration of ‘Kyoho’ grapes under the High T at veraison was due to inhibition of anthocyanin biosynthesis of skin,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anthocyanin biosynthesis was controlled by the ratio of ABA and GA rather than ABA content.
        4,000원
        203.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친수성 및 소수성 나노실리카를 tetraethyl orthosilicate(TEOS)를 커플링제로 사용하여 유리 표면에 거친 스파이크 구조 형성과 반응성 hydroxyl기를 동시에 도입한 후 불소를 함유한 실란으로 2차 코팅처리하여 궁극적으로 발수성 유리 표면 형성의 최적 조건을 확립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수 성 나노실리카인 실리카 에어로졸을 이용한 초소수 도막의 형성은 나노실리카 표면에 반응성인 -OH기가 존재하지 않아 내구성이 있는 소수성 도막을 형성할 수 없었다. 이에 반하여 친수성기를 가진 나노 실리카와 가수분해된 TEOS를 포함하는 코팅액 이용하여 유리 표면을 1차 코팅한 후 2차로 trichloro-(1H,1H,2H,2H)perfluorooctylsilane(TPFOS) 용액으로 코팅하여 150o 이상의 수접촉각을 가지는 초소수 표면을 제조하였으며, 1o 이하의 물 슬라이딩각을 보여 초발수성도 동시에 가지고 있었다. 이에 덧붙여 친수성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광투과도가 감소하였으며, TPFOS 용액에 의해서도 광투과도가 감소하였다. 코팅된 유리시편의 내구성 50회 문지름까지는 초소수성을 유지하였으나, 200회 문지름에서는 단지 소수성만을 유지하였다. 결론적으로 최적의 코팅액의 조건은 친수성 나노실리카의 함량이 0.3 g인 HP3 코팅액을 2회 코팅한 후 2차로 TPFOS 용액으로 코팅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제조된 코팅액은 광투과도가 중요한 솔라셀의 표면 처리제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04.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심리치료 및 의료계에서 사용되는 요가치료에 관한 조사를 통하여 광의적 의미의 요가가 어떻게 협소한 범위인 요가치료로 변형되어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 이해와 함께, 특히 조현병 치료에서 요가치료를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아 이에 대한 향후의 연구에서 주의해야 할 점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요가를 활용하는 심리치료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의 발전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선행 절차라는 인식 하에 진행되었다. 국내에서 요가치료는 아직 심리치료 및 의료 분야에서 활용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요가치료를 정신증 치료에 사용하고 있는 국외의 연구를 중심으로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국외에서는 미국과 인도의 건강관리 전문가들의 요가치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그들의 연구에서 요가치료의 원리, 보완치료로서 요가의 효과적인 적용 방식, 요가치료 프로그램의 구성요소, 기간 및 운영방식 등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조현병 증상 개선을 위한 독립된 요가치료 프로 그램을 개발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사항에 주의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인도와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조현병 요가치료 프로그램에는 명상이 배제되어 있으며 자세와 호흡, 그리고 이완을 위주로 하는 단기 프로그램이 선호되고 있다는 점, 요가치료의 변수를 명료하게 드러내기 위해 다른 치료 방법과 섞이지 않고 요가치료만을 독립적으로 사용해야 하며 요가치료의 각각의 구성요소 또한 분명하게 드러낼 수 있어야 한 다는 점, 향후 실험연구가 학계의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에 사용될 수 있도록 포함기준에 맞는 실험 설계와 결과 측정 도구가 엄격한 계획 하에 수립되어야 한다는 점 등을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하였다.
        7,000원
        210.
        2019.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쑥갓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쑥갓 재배기간 중 bifenthrin 및 chlorothalonil의 잔류양상을 연구하였다. 쑥갓에 유효성분 bifenthrin을 살포 후 0일(3시간)은 0.90 ± 0.07 mg/kg을 보였고, 26일후에는 0.14 ± 0.01mg/kg이었으며, chlorothalonil은 0 일(3시간)에 79.12 ± 6.02mg/kg, 26일후에는 4.60 ± 1.33mg/kg 으로 나타났다. 쑥갓 중 bifenthrin과 chlorothalonil의 회수율은 각각 88.67 ± 7.97%와 99.90 ± 16.03%로 유효한 회수율 범위를 보였다. 쑥갓의 생육 기간 중 농약의 잔류량 변화는 first order kinetics model을 적용하여 해석한 결과 bifenthrin의 반감기는 9.63일이었으며, chlorothalonil은 6.54일이었다. 산출된 두 농약의 감소상수를 이용하여 생산단계 잔류 허용기준을 산출한 결과 bifenthrin의 수확 26일 전 잔류 량은 11.7 mg/kg이었으며, chlorothalonil은 24.1 mg/kg이었는데 수확 예정일에는 두 농약의 잔류허용기준이 모두 5.0 mg/kg 이하로 잔류하여 안전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쑥 갓 생산단계 농산물의 농약 잔류허용기준을 설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농산물 유통단계의 부적합에 따른 생산자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소비자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4,000원
        217.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의 Lipoxygenase-3 (LOX-3)는 벼의 저장 후 종자 수명과 고미취 발생에 관련이 있다. LOX-3 결핍은 저장 후 종자수명 향상과 고미취 발생 저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면적 재배 품종인 새누리의 근동질계통으로 LOX-3가 결핍된 전주624호의 고온 저장 후 종자 수명과 고미취 관련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LOX-3 결핍 대립유전자 도입에 따른 저장 후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건열 처리 및 고온 저장 후 발아율 검정에서 LOX-3 결핍 자원인 다우담과 전주624호가 LOX-3 보유 품종인 남평과 새누리에 비해 발아율이 높았다. 고온 저장 후 지방산가 함량은 저장 전후 모두 전주624호가 가장 낮았고, 함량 차이는 다우담(2.0 KOH mg/100g), 전주624호(2.2), 남평(4.0), 새누리(4.2) 순으로 LOX-3 결핍 자원이 LOX-3 보유 품종에 비해 적었다. 고온 저장 후 LOX 효소 활성은 저장 전후 모두 다우담이 가장 낮았고, 활성 차이는 다우담(4.8 unit/mg protein), 전주 624호(8.9), 남평(20.30), 새누리(22.72) 순으로 LOX-3 결핍자원이 LOX-3 보유 품종에 비해 적었다. 고온 저장 후 hexanal 함량은 저장 전후 모두 전주624호가 가장 낮았고, 함량 차이는 전주624호(1,333 peak), 다우담(1,839), 새누리(5,238), 남평(36,427) 순으로 LOX-3 결핍 자 원이 LOX-3 보유 품종에 비해 적었다. 전주624호는 새누리 유전 배경에 LOX-3가 결핍된 근동질계통으로 저장 후 종자 수명 향상과 고미취 저감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LOX-3 결핍 대립유전자의 도입은 저장 후 종자 수명 향상과 고미취 저감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
        219.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plate heat exchanger was developed for applying to a heat pump system using the heated effluent from a thermal power plant. Since seawater is used as a heat source and a heat sink in this heat pump system, Titanium was chosen as the heat plate material for its high corrosion resistance. One of the purposes of the study was to get an optimized distribution area in the heat plate in order that better thermal performances could be achieved through equal flow rates along the heat transfer area. It was revealed from the performance tests that the mean heat transfer rate and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were enhanced by 2.9% and 7.7%, respectively, compared to those measured before the design optimization.
        4,000원
        220.
        2019.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novel usability as natural anti-obesity supplement of Selaginella tamariscina extract. The total phenol cont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60.29±3.11 GAE mg/g and 14.90±0.34 QE mg/g, respectively. To evaluate anti-obesity activity of Selaginella tamariscina extract,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activity as well as its inhibition effect of lipid accumulation in adipocytes were conducted by Oil Red O staining and lipolysis assay. The result of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activity of S. tamariscina extract showed a wide range between 40 and 73% dose dependently. While the incubation of 3T3-L1 cells with S. tamariscina extract inhibited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and reduced lipid accumulation, the level of released free glycerol into culturing medium was increased in multiple concentrations. These results showed that S. tamariscina extract inhibit adipogenesis and pancreatic lipase activity. Thus, S. tamariscina extract can be a candidate for regulating lipid accumulation in obesity.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