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4

        21.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otal of 23 individuals of glass eel (Anguilla japonica) were investigated from two estuarine barrages of the Nakdong River in 2016. It was observed that most individuals migrated through the eastern barrage, compared to the western. Individual numbers differed significantly along the corridor modification of the barrages; for example, the number of individuals was two to three times higher after the modific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odification of fish way and lock gate for has facilitated migration of glass eel, and our study potentially offers the operation strategy of estuarine barrage in order to induce more active migration of glass eel.
        4,000원
        25.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elevator safety device was investigated analytically. It is the only safety device that can lift the brake in an emergency situation. When the safety device is in contact with the guide rail and the brakes applied, the structure can be stopped due to the friction occurring between them. Study on the shape of the portion contacting the safety device and the guide rail wedge directly were performed based on four cases. Each cas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ntact conditions. The contact conditions are mainly line contact, surface contact, and point contact. According to the contact conditions, the frictional stress due to the forced displacement that occurred during the elevator braking is also considered. For the perpendicular guide rail and sliding distance, the braking force shows excellent results for the line contact conditions. The results also showed less distribution.
        4,000원
        26.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속도로 휴게소는 고속도로 이용자의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현재 졸음쉼터, 간이 휴게소, 일반 휴게 소, 화물차 휴게소 등 다양한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국내 휴게소의 경우 일부 휴게소에서 도로 이용 시 휴식을 제공하는 기본적인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즐길거리, 볼거리, 살거리 등을 제공하는 등의 다양 한 변화를 시도하고는 있다. 휴게소 분야의 선진사례인 일본의 경우 고속도로 휴게소와 연계시설인 하이웨이 오아시스, 휴게소의 기능과 지역커뮤니티의 기능을 보유한 국도 휴게소인 미치노에키 등이 활발히 운영 중에 있으며 일본의 다양성과 전문성, 규모를 벤치마킹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본 연구에서는 국내 휴게소의 발전방안을 제시하고 향후 휴게소 발전방안 에 대한 의사결정시 참고할 수 있는 현실성 있는 세부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황 및 사례 분석을 위하여 국내 테마휴게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휴게소 운영현황, 시설, 이용객 의 이용패턴 등을 인터뷰 및 현장조사하였고 휴게소 운영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일본 휴게소에 대한 사례조사를 통해 고속도로 정규휴게소, 간이휴게소, 하이웨이 오아시스와 국도 휴게소 미치노에키의 운영 특징 및 현황을 파악하였다. 일본 및 국내 휴게소의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 휴게소가 가지는 한계점 과 발전방안 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와 함께, 기존 휴게소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발전 방안 수립시 참고자료로 활용하였다. 현황 분석 및 시사점 도출을 통해 국내 휴게소 발전방안을 크게 ⅰ)테마 휴게소 강화 ⅱ)IT 기술을 적 용한 휴게소 서비스의 고도화 및 관리 과학화 ⅲ)휴게소 인프라를 통한 지역협력을 발전방안으로 제시 하였다. 첫 번째 발전방안인 테마휴게소의 강화방안을 위해 휴게소의 특성화를 추진하기 위한 개선모델인 애니 메이션 캐릭터 휴게소를 개선모델로 제시하였다. 두 번째 발전방안인 IT 기술을 적용한 휴게소 서비스의 고도화 및 관리 과학화 방안의 세부 모델로는 ICT,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한 스마트 휴게소의 도입 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휴게소 인프라를 통한 지역협력 발전방안으로는 휴게소 시설의 개방을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27.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low visualization of Butterfly valve is tested five cases(15°, 30°, 45°, 60° and 90°) of vlave opening angle. Measurement by the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w characteristics of butterfly valve about discharge of dam.. Flow behaviors such as instantaneous and time-mean velocity vectors are investigated each cases. The results from flow visualization using PIV through the video which do not contain a cavitation phenomenon was confirmed in accordance with the valve opening. Performs valve opening and the flow properties of the Karman vortex generated by the frequency analysis is 90° was calculated the frequency of the butterfly valve applied to the actual dam. Butterfly valve for the emergency discharge valve is susceptible to cavitation caused by the valve opening 90° and repeat the cycle in the valve side of the vortex emission system is a high possibility of damage due to fatigue.
        4,000원
        2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ehicle crash analysis a lot of time and manpower in preprocessing for analysis rather than analysis in analytical studies of the situation that is being committed. In this studies involving conflict with an existing automation system of the body is mainly optimized for a particular field, and researchers think that is an inconvenience that can be used in stone until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bodywork of each study.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development of automotive system for vehicle crash analysis, the research related studies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vehicle crash analysis is performed against that can be used for multiple and effectively utilized by system based meshing in an aim to reduce the time and resource that by developing an automotive 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an automated system the more time consuming mesh generation for vehicle crash analysis.
        4,000원
        31.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numerical study, simple stenotic artery models using pulsatile flow condition were investigated. A reversing sinusoidal velocity for pulsatile flow was imposed at the flow inlet and the corresponding based on the vessel radius. The stenotic geometries modeled using mechanical 3D CAD. It has been used that consist of 0.2, 0.4, 0.5 0.75 and 0.8 stenotic rate in a cylindrical tube. In this paper, numerical solutions are presented for a second harmonic oscillatory flow using commercial code CFX 14. As stenosis rate increases, the maximum wall shear stress(WSS) increases while the minimum WSS decreases. As the stenotic rate increases, the pressure drop at the throat severely decreases to collapse the artery and plaque. It is found that the fluid mechanical disturbances due to the constriction were highly sensitive with rate of stenosis. When stenosis rate increases, the recirculation region exists. In this recirculation region the possibility of plaque attachment is increasingly higher. The present results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the hemodynamics of a stenotic artery.
        4,000원
        32.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주요 강 생태계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에서 지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총 동물플랑크톤의 탄소 (C), 질소(N) 및 인(P) 함량에 대해 평가하였다. 동물플 랑크톤의 건중량 당 C, N P-함량은 강 시스템별로 변화가 뚜렷하였다. 조사지점별 평균 C, N, 그리고 P-함량의 범위는 70~620 mgC mg-1 D.W., 7.1~85.5 μgN mg-1 D.W. 그리고 2.5~7.4 μgP mg-1 D.W.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평균 탄소: 질소: 인 비율은 지점별 상이한 차이를 보였으며 전 지점의 평균은 200 : 29 : 1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전 조사지점에서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탄소: 인 그리고 질소: 인 비율의 범위는 각각 38에서 392 : 1과 4에서 65 : 1이었다. 자가조직화지도(SOM)을 활용한 평면상 지점들의 배치 양상과 화학양론 자료들 간의 주요 그룹 분석 결과 크게 세 클러스터로 구분되었다. 클러스터링 결과 동물플랑크톤의 C, N, P-함량은 공간적 이질성에 의해 영향을 받았으며, 화학량론 자료는 강 생태계의 환경 특성 해석에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33.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ooling system that applies impinging jet is studied. To create a jet, a square edge type nozzle is used as its shape. The impinging jet that composes a cooling system which applies impinging jet is created in the nozzle plate that correspond to each LED where the cooling area exists. The distance(d) between the nozzle plate and LED plate with heat sink is where the LED light is established. The main variation and the standard is examined for four different cases through the way out diameter of nozzle plate exit(D). The examined velocity distribution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about the impinging jet cooling system consisted of nozzle plate. It was found that an individual LED consisting of nozzle plate was efficient.
        4,000원
        3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nvestig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e.g. rotifers, cladocerans and copepods) and environmentally related driving factors (e.g. elevation, area size, water depth, types of dike construction, and bottom substrates). We hypothesized that zo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composition would be influenced by ambient driving forces in different scales of the irrigation ponds (Dumbeong). A total of 66 zooplankton species/groups (56 rotifers, 9 cladocerans, 1 copepods) were found and identified at 45 Dumbeong of Goseong region (i.e. Goseong-gun) in 2011. The rotifers occupied 84.9% of the total zooplankton abundance. We could categorize a clear separation of zooplankton communities into 4 different patterns based on cluster analysis. Zooplankton diversities in Dumbeongs were lower than those in natural ponds or wetlands. In addition,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was also simpler and had a broken stick distribution based on SHE analysis. Species composition in each Dumbeong was not significantly discriminated each other. The result of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pinpointed that significant influential variables upon zooplankton community were dissolved oxygen percent saturation, pH, and Dumbeong’s material. This study indicated that morphological type of the Dumbeong and its water quality could determine the community structure of zooplankton. Furthermore, the connectivity between ambient habitats and materials could be necessary to be rigorously considered in respect to producing the Dumbeongs to subsidize alternative habitats for wetland ecosystem in freshwater landscape.
        4,000원
        36.
        201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수십년간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환경 문제들 중 가장 광범위하면서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문제가 기후변화 (climate change)이다. 기후변화는 점진적으로 기후가 변화해 나가는 현상이며, 생태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해나간다. 하지만, 적응력이 약한 생물종은 결국 변화된 기후 양상에 의해 도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생물종다양성이 국가의 부로 인식되는 현재 시점에 큰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담수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결정하는 요인은 크게 강우량의 분포와 온도의 변화이며, 기후변화는 이 두 가지 요소에 모두 작용한다. 우리나라와 같이 여름에 강우량이 집중되는 경우에는 강우량의 극한사상 발생 (심각한 가뭄 혹은 과도한 집중강우 등) 뿐만 아니라 계절강우량의 점진적인 변화 추세 (여름 강우량의 증가와 겨울 강우량의 감소)가 다양한 문제점을 일으키고 있다. 여름의 강한 홍수는 담수생태계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물분류군 (부착성 혹은 부유성 플랑크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어류 등)의 서식에 큰 영향을 미치며, 홍수량이 제어된 뒤의 심각한 가뭄은 작은 하천에서는 서식처의 단절을 야기할 수 있어 생물종 분포에 부정적인 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수온의 변화 (주로 지속적인 최저온도의 상승)는 선호하는 온도대가 분포하는 지역의 축소 등으로 인해서 일부 종의 분포가 제한될 수 있으며, 반대로 심각한 문제점으로 인식되는 외래종의 확산이 먹이망 구조와 기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의 적응은 생태계 자체의 적응력에만 맡길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적절한 관리전략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37.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cooling system that applies double collision jet is studied. To create a jet, a square edge type nozzle is used as its shape. The impinging jet that composes a cooling system which applies double impinging jet is created in the single nozzle and double nozzle that correspond to each LED where the cooling zone exists. The distance between the 2nd nozzle and LED with heat sink is where the LED package is established. The main variation and the standard is examined for four different cases through the way out diameter of 1st nozzle. The examined velocity distribution and temperature distribution about the cooling system consisted of single and double nozzle. It was found that an individual LED consisting of double nozzle was efficient.
        4,000원
        3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도시화 효과가 여름 강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2010년 8월 13일부터 9월 3일까지 수도권 집중관측(ProbeX-2010)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의 두 가지 현상들이 발견되었다. 첫째, 관측 기간 동안 약한 강수(≤1 mm hr-1)가 다른 지역보다 서울 풍하측 지역에서 더 자주 발생하였으며, 이는 최근 5년(2006-2010) 자료에서도 확인되었다. 약한 강수는 주로 서울 풍하측 산악 지역에서 야간에 더 자주 발생하였기 때문에 이는 도시지형 뿐만 아니라 산악 지형의 복합적인 효과로 여겨진다. 둘째, 간헐적으로 대류 시스템이 서울 풍하측에서 급격하게 발달해 호우를 야기했다. 이는 특히 8월 27일 1300-1500 KST의 일련의 레이더 영상에서 뚜렷하게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강수 사례에 대한 종관 국지적 날씨 특성과 고층 대기 특성을 자세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지형과 연관된 지표 현열 증가뿐만 아니라 조건부 불안정 대기 상태(특히 대기 하층)와 대기 하층의 습기 유입이 도시화 효과와 연관된 대류성 호우를 야기하는 중요한 요소로 제시되었다.
        4,600원
        39.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0년 8월 13일부터 9월 3일까지 수도권지역에서 집중관측(Predictability and Observation Experiment of Korea-2010, ProbeX-2010)이 수행되었으며, 그 일환으로 동두천, 인천공항, 양평에서 6시간 간격으로 라디오존데 관측이 실행되었다. 관측기간 동안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호우 패턴인 스콜선형, 정체전선형, 태풍 전면 수렴형, 열대저압부형, 태풍 직접형 호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다. 8월 15일 03 KST 경에는 스콜선형 구름대가 수도권 지역에서 발달하였다. 따뜻하고 습한 하층 공기 위로 건조한 중층 공기가 유입되어 강한 대류 불안정이 형성되었으며 이로 인해 호우가 발생하였다. 8월 23일부터 26일, 8월 27일부터 29일은 각각 정체전선과 태풍 전면 수렴대의 영향을 받아 강우가 발생하였다. 정체전선형 강우 초기에는 열적 불안정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나 강우 후기에는 역학적 불안정이 강화되었다. 이 기간 중 특히 강한 강수는 서해상에서 남풍류 하층 제트가 발달한 8월 25일에 발생하였다. 태풍 전면 수렴형 강우기간에는 열적 불안정과 역학적 불안정이 모두 유지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 기간 중 특히 강한 강수는 높은 상당온위(〉345 K)를 가진 열대 공기가 대기 중하층에 거쳐 유입되었을 때 발생하였다. 8월 27일과 9월 2일에는 각각 열대저압부와 태풍 곤파스의 영향에 의해 강우가 발생하였다. 이 사례들 동안에는 역학적 불안정이 매우 강하게 발달하였다.
        4,6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