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2

        2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e to internal feeding behavior,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Guenée), infesting hot pepper has been regarded to be effectively controlled by targeting egg and neonate larval stages just before entering the fruit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fficient biological control method focusing on these susceptible stages of H. assulta. An egg parasitoid wasp, Trichogramma evanescens Westwood, was confirmed to parasitize the eggs of H. assulta. A mixture of Gram-positive soil bacterium, 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 and Gram-negative entomopathogenic bacterium, Xenorhabdus nematophila ANU101, could effectively kill neonate larvae of H. assulta. A sex pheromone trap monitored the occurrence of field H. assulta adults. The microbial insecticide mixture was proved to give no detrimental effects on immature development and adult survival of the wasp by both feeding and contact toxicity tests. A combined treatment of egg parasitoid and microbial pesticide was applied to hot pepper fields infested by H. assulta. The mixture treatment of both biological control agent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fruit damage, which was comparable to the chemical insecticide treatment, though either single biological control agen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ontrol efficacy. This study also provides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s of T. evanescens.
        4,200원
        22.
        200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23.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unidentified moth was captured in sex pheromone traps of the oriental fruit moth, Grapholita molesta, especially at spring season in apple orchards and their vicinity. Though the captured males were similar in appearance to G. molesta males, they were easily distinguished by a marked difference in body size. Their occurrence pattern was also similar to that of overwintering G. molesta population from April to May, at which more males were captured in the pheromone traps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apple orchards than within apple orchards. After May, they were no longer captured in the pheromone traps. To investigate any larval damage due to this unidentified moth, molecular markers needed to be developed. Four PCR-RFLP markers originated from cytochrome b region of mitochondrial DNA could distinguish this unidentified moth from G. molesta.
        4,000원
        24.
        200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le adults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Thunberg (Heteroptera: Alydidae), release aggregation pheromone (AP) attracting both sexes of adult and nymphs, which its egg parasite, Ooencyrtus nezarae (Hymenoptera: Encyrtidae) exploits the pheromone to find host. The AP consists of three components, (E)-2-hexenyl (Z)-3-hexenoate (E2HZ3H), (E)-2-hexenyl (E)-2-hexenoate (E2HE2H), and tetradecyl isobutyrate (TI). We analyzed composition of the pheromone components of bean bugs from different geographical locations of Korea and Japan. The attractiveness of different blends of AP components to R. clavatus was also tested in the fields in Jinju, Korea and in Kumamoto, Japan. Composition ratios (E2HZ3H: E2HE2H:TI) of the AP of Jinju and Iksan populations were 1:1.4:0.2 and 1:0.8:0.2, and those of Tsukuba and Kumamoto populations were 1:2.8:0.2 and 1:1.5:0.1, respectively. In field tests, traps baited with ratio of 1:1:1 (E2HZ3H:E2HE2H:TI = 16.7:16.7:16.7 ㎎/rubber septum) and 1:1:0.5 (E2HZ3H:E2HE2H:TI = 20:20:10 ㎎/rubber septum) attracted significantly greater number of adult bugs than that of 1:5:1 (E2HZ3H:E2HE2H:TI = 7.1:35.7:7.1 ㎎/rubber septum).
        4,000원
        25.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damaged area by and the distribution of Japanese gall forming thrips, Ponticulothrips diospyrosi Haga et Okajima (Thysanoptera: Phlaeothripidae) in Korea were surveyed based on the answers of persimmon growers to questionnaire. Seasonal occurrence of each developmental stage was estimated by monitoring the individuals in damaged leaves, and effect of trap site and side of sticky board were studied by yellow sticky traps at three sweet persimmon orchards in Gimhae and Jinju (orchards A and B), Gyeongnam province, Korea in 2005. P. diospyrosi gave damage to astringent per-simmon as well as sweet one. The damaged area of persimmon orchard has sharply increased since 2000, reaching 446 ㏊ nationwide, Gyeongnam province was most severely damaged, followed by Gyeongbuk and Jeonnam provinces. Most of the farmers answered that they sprayed insecticides and removed the damaged leaves to control P. diospyrosi. The overwintered adults were observed in the damaged-rolled leaves from mid May and the 1st generation adults from early-mid June. No thrips were observed in the damaged leaves after mid July. Yellow sticky trap data showed that peak adults catch of the overwintered generation was mid May, and that of the 1st generation was mid-late June in Gimhae and late June in Jinju. Sticky traps set at orchard-pine forest border caught significantly more number of the 1st generation adults than those at the orchard center, even though timing of peak catches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sites. There was a tendency of more catches on the side of sticky trap facing pine forest than the other side facing orchard center, even though the catches on both sides showed no statistical difference.
        4,000원
        26.
        200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계의 집합페로몬을 이용하여 적절한 기주가 없는 경상대학교 캠퍼스(경남 진주시)와 기주인 콩이 재배되고 있는 포장에서 가로줄노린재의 발생양상을 비교하였다. 콩포장에서는 개화기 이전(6월 28일)부터 꾸준히 유인되었으며, 10월 11일 이후에 유인수가 급증하였다. 그러나 대학 캠퍼스에서는 3월 21일부터 10월 5일까지 전혀 유인되지 않다가 10월 11일 이후부터 유인수가 급증하였다. 가로줄노린재의 암수가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밀도로 콩 포장에서 유인된다는 것은 이 해충이 기주인 콩을 찾아 적극적으로 이동한 결과로 생각된다. 콩 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10월 이후에 유인되는 성충은 월동처를 찾아 이동하는 성충으로 판단되었다. 콩 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총 유인된 암수의 수는 차이가 없었다. 가로줄노린재는 콩 포장에서 6월부터 11월 하순까지 트랩에 유인되었기 때문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은 가로줄노린재의 비휴면성충과 휴면성충 모두에 유인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집합페로몬의 세 성분인 (E)-2-hexenyl (Z)-3-hexenoate, (E)-2-hexenyl (E)-2-hexenoate, 및 myristyl isobutyrate를 16.7+16.7+16.7 mg 또는 7+36+7 mg으로 배합했을 때, 가로줄노린재의 유인수는 무처리나 생충트랩보다 많았고, 두 배합성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4,000원
        27.
        200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을 이용하여 경남지방의 대학교 캠퍼스와 콩포장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연중 발생소장과 난소발육을 조사하였다. 대학 캠퍼스에서 들다리개미허리노린재는 년간 3세대를 경과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제1세대 성충은 7월 상순8월 상순까지, 제2세대 성충은 8월 중순9월 하순까지 발생하였다. 제3세대 성충은 10월 상순11월 중순에 발생하는데 난소내에 난이 없는 상태로 성충휴면에 들어가 이듬해 3월 하순부터 활동을 재개하였다. 월동 후 암컷성충의 난소에서 성숙란이 처음으로 관찰되는 시기는 5월 전반기였다. 콩포장(5월 23일 파종)에서는 8월 상순9월 중순, 10월 중순11월 중순의 2회의 뚜렷한 유살시기가 있었다. 이 두 시기는 대학 캠퍼스에서의 제2, 3세대의 유살시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32.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들어 벼, 田作物, 과수 등에서 노린재류에 의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까지 우리 나라에서 이루어진 연구내용을 조사정리할 필요가 있어서, 우리 나라에서 출판되는 각종 학술지에 게재되어 있는 벼를 제외한 작물, 과수, 잡초를 가해하는 노린재류에 관한 논문을 수집하여 분야별(\circled1 분류 및 형태, \circled2 발육과 성장, \circled3 곤충상, \circled4 피해수준, \circled5 발생소장, \circled6 방제, \circled7식물병 매개)로 정리하였다. \circled1에서는 한국산 노린재류의 종류와 명아주노린재과에 속하는 Piesma spp.의 난과 약충의 형태, 억새노린재의 외부생식기의 형태, 홍줄노린재와 주둥이노린재의수정방의 형태에 관한 연구를 간략히 정리하였다. \circled2에서는 명아주노린재, 장수허리노런재, 큰허리노린재의 온도별 발육과 성장분석에 대한 보고를 요약하였다. \circled3에서는 콩, 단감, 유자, 감귤, 포도, 국화, 백하수오 등의 작물과 참쑥, 망초 등의 잡초에 발생하는 노린재류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고, 계룡산과 경기도 수원시 여기산 지역의 노린재류 상에 관한 조사보고를 소개하였다. \circled4에서는 콩, 단감, 유자, 포도 등에서 노린재류에 의한 피해정도를 정리하였고, \circled5는 단감원에 발생하는 노린재류, 국화의 주요 해충인 애긴노린재,한약재인 백하수오에 발생하는 십자무의긴노린재, 콩 포장에 발생하는 수종의 노린재류의 발생소장에 관한 문헌을 정리하였다. \circled6에서는 단감원, 포도원 및 콩밭에서 실시한 약제방제 효과에 관한 문헌을 조사하였으며, 몇 가지 살충제의 실내 생물검정에 대한 논문도 정리하였다. \circled7마지막으로 오동나무빗자루병의 병원체인 micoplasma-like organism이 썩덩나무노린재와 담배장님노린재에 의해서 일일초로 전파된다는 논문을 소개하였다.
        4,000원
        36.
        2000.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nowledge of results’ on wrist proprioceptive training in three persons with poststroke hemiplegia who had no unilateral spatial neglect on MVPT and had adequate cognition on MMSE-K. A single subject design with multiple baseline across individuals was employed. Each subject participated daily in the 10-15 minutes' wrist proprioceptive training for the affected wrist with ‘knowledge of results’ which informed the subjects of their wrist position verbally or visually as feedback. The proprioception was measured as averag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correct responses on the wrist proprioceptive test in the affected side using apparatus of researcher’s own design and SoloSystem. The measurements were repeated three times; baseline, immediately, and 30 minutes after the train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 1. During the baseline period, the number of average correct responses in three subjects were: S1 7.20(36.00%), S2 7.25(36.25%), and S3 10.58(52.92%) respectively. 2. Immediately after the training, the number of average correct responses in three subjects were: S1 14.07(69.67%), S2 12.83(64.17%), and S3 15.63 (78.13%) respectively. 3. Thirty minutes after the training, the number of average correct responses in three subjects were: S1 15.53(77.67%), S2 14.25(71.25%), S3 6.38(81.88%) respectively. 4. All the three subjects showed more correct responses in wrist proprioceptive tests at wrist flexion 60°and extension 60°during both the baseline and the training period. They also showed the highest improvement of correct response at neutral wrist posi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knowledge of results’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and maintaining the wrist proprioception of affected wrists in persons with poststroke hemiplegia. Effect of such improvement on the functional aspect of stroke-affected upper extremity remains to be evaluated in the later study.
        4,800원
        37.
        202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FIT-Choice Scale이라는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유아교사들의 교직선택요인을 분석하고 교직헌신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2018년 11월 1일부터 2주간 동안 서울과 경기도 일원의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 유아교사 578명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하여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직헌신에 유의한 영향력이 확인된 요인은 16개 요인 중 ‘자신의 교수능력에 대한 확신’, ‘아동과 함께 함’, ‘아동의 미래형성에 기여’, ‘교직의 내재적 가치 추구’, ‘교사의 사회적 지위인식’, ‘교직선택에 대한 사회적 권유’, ‘교직의 전문성인식’, ‘교사의 급여수준 인식’, ‘교직의 직무요구인식’ 등 9개 요인이었다. 유아교사들이 교직선택할 때 중요시하는 요인들의 우선순위는 교직헌신에 대한 영향력 순위와는 차이가 있었다. 교직헌신에 대한 영향력은 크지만 교사들이 교직 선택시 중요시하지 않은 요인들과 그 반대의 요인들에 대하여 전략적 개입이 이루어진다면 유아교사들의 교직헌신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38.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량의 유기물을 함유하는 가축 분뇨는 최근 대규모화된 가축 사육에 의하여 그 발생량이 늘어나고 있다. 가축 분뇨를 자원화하거나 에너지화하는 연구가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악취문제는 쉽게 해결이 되지 않아 주변 민가와의 분쟁이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가축분뇨의 발생량 중 40%를 차지하는 돼지의 분뇨는 수분함 유량이 90%나 되어 미부숙된 분뇨로 퇴비화할 경우 대기 중으로 휘산되기 쉬어 악취 발생에 취약하다. 돼지분뇨 악취의 대표 물질 중의 하나인 암모니아는 배출 규제 농도로 저감되어도 실제 주변 민가는 악취로 인한 고통을 호소한다. 돼지분뇨의 악취는 온도와 습도에 상당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돼지 분뇨의 악취를 효율적으로 억제하기 위하여 온도와 습도를 제어하여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Lab-Scale 실험을 위해 항온항습기(HB-105SG, 500×500×600(W×D×H)mm)를 제작하여 돈분뇨 슬러리 시료 25ml를 이용하여 1시간 동안 악취를 발생시켰다. 샘플링은 다양한 온도와 다양한 습도에서 발생되는 가스시료를 진공감압박스와 흡인펌프를 이용하여 1분에 3L의 유량으로 1L Tedlar bag에 포집하였고, 포집된 가스는 현장에서 암모니아 검지관(Kitagawa/Japan)을 이용하여 즉석에서 악취를 측정하였다. 검지관의 측정농도 범위는 0.2-20ppm과 1-200ppm으로 100ml의 가스시료를 채취하여 암모니아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사육 시설 내 겨울철의 평균 기온으로 가정하여 온도는 10℃-20℃, 습도는 50%-80%의 온·습도로 설정하였다. 실험 결과, 10℃의 온도에서 습도가 50%일 때 암모니아 농도가 4.8ppm이였는데 습도 80%로 증가 시 7.5ppm으로 56.3% 증가하였고, 20℃의 온도에서는 습도가 50%일 때 11.15ppm에서 80%일 때 13.7ppm으로 22.9% 증가하였다. 습도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에, 습도 50%에서 온도가 10℃에서 20℃로 상승할 때 4.8ppm에서 11.15ppm으로 132% 증가하였다. 10℃에서 20℃영역에서는 습도의 증가가 암모니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이 동일한 습도조건에서 온도의 상승에 의한 발생보다 더 큰 발생요인으로 보여 진다.
        39.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ydrophilic polymer (HP) mixture ratio (Control, 1.0%, 2.5%, 5.0%, and 10.0%) on growth of eggplant (Solanum melongena) for lower maintenance urban agriculture via green roofs.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substrate temperature was de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ere increased. High substrate water content (95%) was found consistently in growing media under elevated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at over 5% during the entire growing period. Substrate electronic conductivity was in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ere increased. Growth index was de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as increased. It was reduced about 1/3 and 1/5 compared to that of Control in HP5.0 and HP10.0 treatment plants, respectively. Number of leaves,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decreased in following order: Control> HP1.0> HP2.5> HP5.0> HP10.0 treatments. There number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HP5.0 and HP10.0 treatment plants.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were de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as increased. They were reduced by 1/4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treatment plants. In addition, visual value was de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as increased. Plants grown in HP1.0, HP2.5, and HP5.0 treatments all survived. However, plants grown in the HP10.0 treatment had the lowest survival rate (56%) after 3 months of grow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vantage of adding hydrophilic polymer to green roof growing media may greater during dry periods. However, the proper mixture proportion of hydrophilic polymer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growing media and plant species.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