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3

        41.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감성적 특성을 밝혀 향후 웹 접근성 지침에 반영하기 위해 진행된 기초연구로, 통일한 청각적 자극에 대한 시각장애인과 일반인의 감성 반응을 비교하고 그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음악(Representation Sound)과 음향효과(Abstraction Sound)를 이용한 15개의 청각 자극과 긍정 및 부정 감성어휘를 이용한 11개의 감성평가 척도를 선정하여 웹 설문 시스템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31명의 시각장애인과 53명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준비된 청각 자극에 대한 감성 반응을 측정하였다. 예외적인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설문의 결과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두 집단 간의 감성반응패턴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인의 감성욕구가 일반인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디자인에서 사용자의 감성을 중요시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웹 접근성에 대한 연구에서 장애인의 감성적 욕구가 중요시 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4,000원
        43.
        200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44.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3년 6월부터 1994년 5월까지 진양호에 대한 육수 학적 조사가 월간 조사로 실시되었다. 표층의 투명도, 엽록소 a, 총질소, 총인농도 및 일차생산력은 조사기간 각각 0.8~3.5 m, 0.9~13.6 mgChl/m3, 0.78~2.32 mgN/l, 11~56 mgP/m3, 270~2,160 mgCm-2 day-1로 이들의 하계 평균농도로 산정한 진양호의 영양상태는 부영양호에 해당된다. 진양호의 투명도에는 엽록소 a 보다 부유물질 (SS)로 나타나 무기성부유물질(NVSS)이 투명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총인 농도는 하계에 높게 나타났고 질소농도보다 상대적으로 큰 계절변동을 보였다. 연간 TN/TP 원자비는 61~334으로 국내 대형인공호 중 대체로 낮은 수준에 해당된다. 식물플랑크톤군집은 하계에는 남조류인 Microcystis ichthyoblabe, M. aeruginosa과 녹조류인 Chlorella sp.와 Cosmarium sp.가 우점하였으며 추계와 동계에는 규조류인 A. granulata, A. granulata var. angustissima A. distans가 우점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요각류 유생이 연중 우점하였고 8월과 10월에는 요각류 유생 이외에 지각류인 Bosminopsis deitersi, Bosmina longirostris가 각각 우점하였다. 조사 기간 진양호 퇴적물의 조사정점별 유기탄소 및 인, 질소의 평균 함량은 각각 0.4~9.4 mgC/g, 0.14~0.62 mgP/g, 0.59~1.23 mgN/g으로 동기간 조사된 체류시간이 긴 호수들보다 크게 낮았다. 진양호의 연간 평균 C/N 비는 2.6~9.2로 oligohumic한 상태이다. 진양호의 연간 수면 적당 인부하량은 6.4 gPm-2 yr-1로 부영양화 임계부하량 (4.1 gPm-1 yr-1)을 초과하고 있다. 진양호의 유역으로부 터의 유기물 유입량은 3,429 tonC/yr이며 식물플랑크톤 의 일차생산에 의한 자체생성유기물량은 4,632 tonC/yr 으로 전체 유기물부하량중 자체생성 유기물 비율이 높았으나 외부 유역의 유기물 부하량도 크게 나타났다. 진양호와 같이 체류시간이 짧은 호수는 체류시간이 긴 호수들에 비해 자체생성유기물의 비중이 낮기 때문에 유역에서 발생되는 유기물의 처리효율을 높일 경우 수질 개선효과가 크게 나타날 것으로 보이며 아울러 부영양화 원인물질인 인, 질소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으로 보인다.
        4,900원
        52.
        202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통 회화 및 단청용 채색 안료 중 녹색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동록안료의 재료과학적 특성 및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염화동(Atacamite), 초산동(Verdigris) 2종의 안료를 이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성광물 분석 결과, K-AA는 아타카마이트(Atacamite)가 주요 구성광물로 천연 광물성 재료로 확인되고 K-VA 는 호가나이트(Hoganite)로 확인되었다. 동록안료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찾고자 UV 노출, CO2/NO2 가스부식 및 염수분사 시험 등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색상 안정성을 가장 크게 저해하는 요인은 두 안료 모두 염수분사 시험으로 시료 표면에 염생성물이 생성되어 변질되는 등 손상이 가중되었다. 또한 대기오염물질인 NO2의 영향도 두 안료 모두 육안으로 인지될 정도로 색이 변하여 주요 손상 요인으로 작용되는 것으로 판단 된다. 특히 K-VA의 경우 K-AA와는 달리 UV 노출 평가 후 녹색에서 흑색으로 변하면서 본래의 색상을 완전히 잃어리는 것으로 K-VA의 주성분인 Hoganite가 UV 노출 후 Tenorite로 물질이 변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두 안료의 대기환경 영향 평가 결과, K-AA에 비해 K-VA이 대기환경 영향에 상대적으로 취약한 모습을 보였다.
        53.
        201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채색 문화재 및 전통회화의 적색, 황색 안료로 사용되는 진사, 웅황, 그리고 자황의 광물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촉진내후성 평가를 통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진사는 시료명을 JB, JS로 하였고, 웅황과 자황은 각각 UH, JH로 하였다. 광물학적 특성 평가 결과 JB, JS는 cinnabar (HgS)로 주구성 광물이 확인되었고, 품위에 따른 화학성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UH와 JH는 각각 realgar (AsS), orpiment (As2S3)로 주구성 광물이 확인되었다. 편광현미경 관찰 결과 쪼개짐, 색상 등 편광학적 특성을 통해 모 두 천연적으로 생성된 무기안료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진사의 경우 성분분석으로는 천연적으로 생성된 안료인지 인공안료인지 판별이 쉽지 않은데 편광현미경을 통해 천연안료가 가지는 입자특성 및 쪼개짐을 확인하였으며, 열적 반응 특성을 확인하였다. 열분석 결과 JH가 UH에 비해 유리전이 온도가 높고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촉진내후성 평가 결과 진사, 웅황 그리고 자황은 모두 광열화에 의한 색변화가 크게 나타나며, 진사는 최종적으로 흑색(blackening)되고 웅황과 자황은 밝은 노란색으로 변한다. Meta-cinnabar로 예상되는 JB가 cinnabar인 JS에 비해 흑화현상이 더 빨리 촉진되었으며, UH (realgar)는 광조사에 의해 arsenolite (As2O3)로 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54.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석록과 석청은 우리나라 전통 채색 문화유산에서 각각 녹색과 청색안료로 사용되어온 전통안료이며, 천연광물인 공작석과 남동석이 원료광물로 알려져 있다. 석록과 석청은 모두 중국, 일본 등지에서 수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청색계열의 안료가 국내에서 산출된 기록이 있으나, 탄산염 광물이 생성되기 어려운 우리나라의 지질환경을 고려하면 가능성은 높지 않다. 무기안료인 석록과 석청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작석과 남동석 원료를 확보하고 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통제법을 적용하여 안료를 제조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조한 석록의 L* 값은 59-83 정도, a* 값은 -20 이하로서, 시판제품에 비해 채도가 약간 높았다. 흡유량은 22-29 mL/100 g이고, 은폐력은 99.2 %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석청의 L* 값은 35-65 범위이고, b* 값은 -15 이하로서, 시판제품에 비해 상대적으로 채도가 낮았다. 흡유량은 21-26 mL/100 g이며, 석록과 마찬가지로 은폐력이 99.1 %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남동석의 원료광물은 남동석 외에 공작석, 석영 등의 불순물이 함유하고 있으며, 석청 제조 시 혼합된 불순물이 석청안료의 색도, 흡유량 등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55.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입 오렌지(Valencia)를 대상으로 과일의 크기와 품질 특성 간의 상관성을 연구하였다. 오렌지 시료는 시판되는 포장상자(18 kg)의 특성을 바탕으로 소과(140~160 g/113±5과/상자), 중과(190~220 g/88±5과/상자) 및 대과(250~280g/72±5과/상자)로 나누어 크기별 시료를 구분하였다. 오렌지 시료의 품질특성은 물리적, 화학적 및 관능적 기호도를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오렌지의 껍질 두께와 과육비는 크기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주스의 수율은 중과에서, 당산비와 환원당 함량은 중과와 대과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과일의 비타민 C함량은 대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이면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p<0.05). 생과 및 주스의 신맛과 전반적 기호도는 소과에 비해 중과와 대과에서 높은 관능평점을 나타내었다 (p<0.05). 이상의 결과에서 Valencia 오렌지는 과일의 크기가 중과 이상일 경우 관능적 기호도가 높고 기능적 성분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수입 오렌지의 품종별 및 원산지에 따른 품질특성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56.
        2013.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harvest maturity of mulberry to prolong the freshness during distribution, mulberr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80%, 90%, and 100%) based on their degree of maturity and then compared for their firmness, color, anthocyanin, soluble solids content, pH, titratable acidity, viable cell, mold and sensory quality. They were then investigated for quality changes by maturity under different distribution temperature at 20℃, 10℃ and 0℃. Immediately after harvest, the 80% matured mulberries were shown to be the firmest and 1.74 and 2.64 times firmer than 90% and 100% matured mulberries respectively. The more mature the mulberries were the lower the “a” value was while anthocyanin content was higher. The soluble solids content and pH of mulberries increased as they matured. Less mature the mulberries were the higher titratable acidity was and lower microbial levels in mulberries were. In terms of sensory quality, color of the 100% matured mulberries was the highest but the 90% matured mulberries were most preferred based on other sensory indexes. In comparison to storability of mulberries by maturity, although the firmness of the 80% matured mulberry decreased rapidly, they were the firmest during distribution periods. The level of mold of the 100% matured mulberries was higher than others. Moreover, the more mature mulberries were the quicker they deteriorated. According to quality indexes, depending on maturity and sensory evaluation of mulberry distributed at different temperatures, the storability of the 80 and 90% matured mulberries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100% matured mulberries. In conclusion, judging by their sensory quality, the 90% matured mulberries were more appropriate for harvesting than the 80% matured mulberries.
        57.
        2013.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r the investigation of the quality loss of mulberry during distribution, the deterioration rate, microorganism growth, and sensory quality of mulberry kept at 20, 10 and 0℃, respectively,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the optimum temperature for extending the freshness of mulberry was examin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1.5 to 1.5℃. The level of mold in the mulberry kept at 20 and 10℃, respectively, was much higher than that kept at 0℃. The quality of the mulberry deteriorated seriously after two days at 20℃, after six days at 10℃, and after 12 days at 0℃. The marketability of mulberry as determined via sensory evaluation was much more prolonged by decreasing the keeping temperature from 20 to 0℃. To extend the freshness of mulberry using these results, the optimum temperature was evaluated at the range of -1.5 to 1.5℃ for 25 days. During storage, the changes in the color and pH of the berr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storage temperature, but the microbial levels and deterioration rate increased in the order of 1.5, 0, and -1.5℃. In particular, the firmness of the mulberry decreased rapidly at 1.5℃,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others. The titratable acidity and sugar contents decreased gradually at all the applied temperatures. The anthocyanin content decreased sharply at 1.5℃ but gently changed at -1.5℃. Through the sensory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adjudged that the marketability of mulberry could be maintained about 0.7 times at 1.5℃ and 1.3 times at -1.5℃ compared with the marketability at 0℃, respectively.
        58.
        2013.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extend the shelf-life of freshly cut lotus roots, the effect of their heat treatment in water at 50℃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their treatment using 1 percent ascorbic acid and citric acid during their storage. In addition, consecutive heat and acid treatment was applied to freshly cut lotus roots to determine its synergy effect. The level of molds in the sample that was treated with 50℃ water for 60 minutes was the lowest among the treatments and 3.89 log CFU/g after 12-day storage, whereas the population of the control was 6.81 log CFU/g for the same number of days. During the storage, the surface color of the samples showed higher ΔE values and lower L values than that of the initial sample. The color with the heat treatment hardly changed, unlike in the control. The consecutive treatments with hot water and acid showed less quality loss than the simple heat treatment. The marketable quality was maintained for three days without any treatment, for nine days with the heat treatment, and for 12 days with the consecutive treatments of hot water and acid. The consecutive treatments with hot water and acid, especially with 1 percent citric acid, extended the shelf-life of the freshly cut lotus roots by inhibiting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nd the browning.
        59.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오른쪽 어깨관절에 칼텐본-에비엔즈컨셉 미끄러뜨림 등급Ⅱ와 Ⅲ으로 아래쪽미끄러뜨림적용시 위팔뼈머리의 이동거리 및 벌림각도(abduction angle)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미끄러뜨림 등급Ⅱ(Grade Ⅱ) 적용시 위팔뼈머리는 초기보다 아래쪽으로 5㎜ 가량 이동하였고 등급Ⅲ 적용시 8㎜ 가량 이동하였다. 이동거리에 대한 성별 비교에서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등급별로 이동거리가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등급Ⅱ(Grade Ⅱ) 적용시 벌림각도는 초기보다 10°가량, 등급Ⅲ(Grade Ⅲ) 적용시 12°가량 증가하였다. 벌림각도에 대한성별 비교에서는 모든 등급별로 여자가 남자보다 벌림각도가 크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본 연구를 통해 미끄러뜨림 등급 적용시 위팔뼈머리의 운동형상학적 변화를 알아보았으며 향후 추가 연구를 통해이들 변화가 주변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면 보다 과학적인 근거중심의 치료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사료된다.
        6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earning vocabulary is considered basic in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yet Korean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use a limited rang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EVLS) and vocabulary proficiency. For the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113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to find out their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vocabulary proficiency. The results show that the participating students favored simple memorization strategies regardless of the proficiency levels though the higher group used more EVLS than the lower group. Among the five EVLS categories, the meaning-determination strategies were most frequently used while the social strategies was least used. The results suggest that students need to be encouraged to use various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o use words in their productive language.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