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3

        81.
        199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백종실유(冬栢種實油)에서 컬럼크로마토그래피로 지질(脂質) 성분(成分)을 상호(相互) 분리(分離)하였다. 여기서 얻은 트리글리세리드의 일부(一部)를 취하여 알칼리로 가수분해(加水分解)하거나 또는 pancreatic lipase로 가수분해(加水分解) 하여,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성(構成) 지방산(脂肪酸) 또는 1, 3- 위치(位置)와 2-위치(位置)에 급합(給合) 한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을 조사(調査)하였다. 나머지 트리글리세리드는 16% AgNO3 TLC로 이중결합선(二重結合敾)별로 나누었으며, 이렇게 나누어진 분획(分劃)을 다시 HPLC로 PN별로 재분획(再分劃)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획분(劃分)들 중 PN이 같은 것은 모두 모아서 알칼리 가수분해(加水分解)로 PN의 총지방산(總脂肪酸) 조성(組成)을, pancreatic lipase로 1,3 위치(位置)에 결합선(結合敾)한 지방산(脂肪酸)의 조성(組成)을 조사(調査)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결과(結果)로 부터 구성(構成) 트리그리셀리드 분자종(分子種)을 산출(算出)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결과(算出)를 얻었다. 1) 종실유(種實油)는 투명(透明)한 액체(液體)로 그 함량(含量)이 73.5%였으며, 그 중 트리글리세리드가 94.8%, 극성(極性) 지질(極性)이 2.0%, 탄화(炭化) 수소(水素)가 1.8%였다. 2) AgNO3-TLC로 트리글리세리드를 분획(分劃)하였더니 5개의 획분(劃分)을 얻었으며, 대부분(大部分)의 트리글리세리드가 이중(二重) 결합선(結合敾) 3~5개인 band 2와 band 3에 80% 이상 존재(存在)하였다. 3) AgNO3-TLC에서 얻은 각 획분(劃分)은 모두가 HPLC상에서 PN 46, 48 및 50으로 나누어졌으며 전체(全體) 분획(分劃)에서 PN 48이 78.13%로 제일 많았으며, 다음으로 PN 50이 12.04%였으며, PN 46이 9.83%였다. 4) 전체(全體) 트리글리세리드 분자종(分子種) 중에서 0.1mol%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분자종(分子種)이 43종(種)이었으며, OOO와 POO가 각각 39.8mol%와 25.8mol%로 제일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OPO가 5.5 mol%, OOL가 4.8 mol%, POS가 3.9mol%, SOO가 3.5mol%. POL이 3.0mol%였다. 또 동백종실유(冬栢種實油)에 존재(存在)하는 트리글리세리드의 분자종(分子種)의 조성(組成)은 1,3-random, 2-random 분포설(分布說)에 따라 구성(分布說)되어 있었다.
        4,000원
        82.
        2018.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흡연 유무의 남성을 대상으로 뇌 회백질의 손상 유무를 파악 할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을 검사하여 영상을 획득 한 후 Tract-Based Spatial Statics(TBSS)방법으로 뇌 회백질 부위의 기저핵 신경섬유로의 비등방도 FA(fractional anisotropy)값을 측정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비등방성 측정값이 낮게 관찰되었으며 FA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한 FA결과 값으로 추측하자면 즉, 흡연이 뇌 회백질 기저핵의 모든 해부학적 미세 구조성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신경 섬유로를 손상시키고 이와 관련된 기능적 이상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83.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흡연 유무의 남성을 대상으로 뇌 백질의 손상 유무를 파악 할 수 있는 확산텐서영상을 검사하여 영상을 획득 한 후 Tract-Based Spatial Statics(TBSS)방법으로 뇌 백질 부위의 신경섬유로의 비등방도 FA(fractional anisotropy)값을 측정 분석한 결과 모든 영역에서 흡연자가 비흡연자보다 비등방성 측정값이 낮게 나타났지만 FA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오른쪽 맥락총 부위에 대한 FA값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값으로 추측하자면 즉 흡연이 뇌 백질의 미세구조성 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맥락총 부위에는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84.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UDIT-K(한국형 알코올 중독 간이선별 검사법)을 이용하여 일상적으로 생활하고 있는 상당수의 잠재적인 위험 음주자들을 선별 할 수 있었으며 연령, 종교, 결혼여부, 직업, 소득음주사망 가족력, 음주시작 연령, 흡연, BMI(체질량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력, 음주기간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을 더 받은 사람의 남성이 알코올 소비가 더 높다고 한 선행연구와 부합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교육수준 또한 무엇을 어떻게 배웠는가에 따른 차이를 살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며, 교육에 따른 알코올 소비도 각각 다른 결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나이가 적을수록 술을 많이 마시면 음주기간이 길어질 것이고 기존의 음주시작 연령에 대한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음주 기간이 알코올 사용 장애의 가장 큰 요인이었으며 음주 기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음주 시작연령을 최대한 늦출 수 있는 국가 정부 제도의 대책 및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85.
        201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EBT3 필름을 이용하여 감마나이프 퍼펙션 모델의 3차원적인 선량분포 측정하고 기준값과 비 교 분석하여 표준화된 측정방법의 기초로 활용하고자 한다. 2개 종합병원에 설치된 감마나이프 퍼펙션 모 델의 선량 분포를 EBT3 필름을 이용하여 정확도와 정밀도를 평가하였다. 정확도 평가를 위해 4 ㎜ 콜리메터를 사용하여 기계적인 중심축과 선량중심축의 일치도를 측정하였다. A병원 0.098 ㎜, 0.195 ㎜ 이며 B 병원 0.229 ㎜, 0.223 ㎜ 로 허용 오차 0.3 ㎜ 이하로 측정되었다. 정밀도 평가는 4, 8, 16 ㎜ 콜리메터(collimater) 각각의 x, y, z 3차원면 에서의 반치폭(FWHM : Full Width at Half Maximum)을 이미지-제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A 병원은 –0.283∼0.583 ㎜, B 병원은 –0.857∼ 0.810 ㎜로 50%선 ± 1 ㎜ 이하의 기준에 적합하였다. 이미지−제이 프로그램을 이용한 선량 분포 분석의 경우 측정자 간의 오차가 발생 가능함으로 측정점에 대한 명확한 기준을 확립할 필요가 있으며,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이 시행되어지는 고선량 영역에서 사용 가능한 선량영역이 높은 필름을 이용한 치료계획과 실제 치료 조사면의 비교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86.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자외선 차단기능과 제균 기능을 갖는 합성 TiO2-복합체에 대해 압력의 영향을 체크하기 위해 고압실험을 시행하였다. 복합체 분말시료는 아나타제와 루틸 및 염화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입자크 기는 34 nm 정도로 결정되었다. 아나타제와 루틸 모두 약 14~16 GPa 구간에서 ZrO2 (배델레이트)-형 태의 결정구조로 상변이하며, 본 실험의 최고압력인 22.7 GPa까지 상변이는 계속된다. 압력을 모두 제거하여 상압 상태가 되면, 루틸은 α-PbO2 구조로 상변이하며 아나타제는 고압의 ZrO2-결정구조가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염화은의 회절피크는 낮은 압력에서 사라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87.
        2016.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nalyzed the compressive and flexural strength properties of low cement porous block with amorphous metallic fiber which has various mechanical performance including high strength, low friction coefficient, high corrosion resistance, and superior soft magnetism.
        88.
        2016.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understand the seismic performance of weir structure under seismic events, concrete weir structure with infinite foundations was modeled in ABAQUS. Additionally, this study conducted the three different design response spectra based on KBC 2009, ASCE 7-05, and EuroCode 8. The results from numerical analyses showed that the seismic behavior of weir structure subjected to seismic ground motions was sensitive to natural frequency and mass participation factors.
        90.
        2011.0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하에 매설용 하수관거 자재에 대한 누수를 체크할 수 있는 장비로는 수밀시험 방법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공기압 시험을 활용한 누수시험방법은 수밀시험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자연상태 및 대기중에 있는 공기를 활용하여 공기압으로의 대체를 통하여 훨씬 더 효율적이면서도 친환경적인 방법으로의 유도 및 국가 시방서의 개정을 통한 효과적인 누수시험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노력은 계속되어왔었던 것도 사실이다. 수밀시험방법의 문제점으로는 용수확보 문제, 사용 후 처리수의 문제, 펌핑 비용 및 인력의 과다한 투입문제 등이 늘 지적되어왔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일환로 공기압 시험방법은 관로 내부로 공기를 형성하여 배기되는 시간을 모니터링 하고 적정 압력상태에서 밸브를 폐쇄시킨 다음 일정한 압력상태에서의 변화를 모니터링함으로서 대상관로의 수밀검사를 수행하는 기술이다.
        92.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유전자원센터로부터 국내외에서 수집된 해바라기 328종을 분양받아 바이오디젤 가능 작물로서 특성을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바라기 수집종의 출아소요일수는 7~12일이었으며, 개화 소요일수는 55~86일로 폭넓게 분포하였다. 수집종 해바라기의 경장은 평균이 259 cm로 그 분포는 131~345 cm의 변이를 보였고, 성숙일수는 평균 35일이었다. 주당 두화수(頭花數)는 1개~23개로 큰 변이를 보였으며, 두화의 크기는 평균 17.6 cm 로 14.7~21.3 cm가 72.8%로 가장 높게 분포하였다. 두화당 종자수는 평균 1,430개 정도, 종실중은 평균 91.4 g로 28~379 g로 넓은 분포를 보였다. 종실길이는 평균 11.7 mm, 범위는 9.0~21.5 mm 이었으며, 종실 폭은 평균 6.4 mm, 1 l 무게는 평균 322.5 g이었으며, 천립중은 평균 63.3 g, 주당 종실중은 평균 204 g이었다. 생육 및 종실 특성 중에서 두화 당 종자수의 변이가 가장 컸고, 다음으로 주당종실 중의 변이가 컸다. 수집종들의 형질 간 상관분석 결과, 경장이 클수록 종실폭은 커지고 개화일수도 길어졌으나, 성숙일수와 생육일수는 짧았다.
        97.
        200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복지수준이 발전함에 따라 장애인들을 위한 여러 인터페이스 장비나 훈련 시스템들이 연구되고 있으나 발달 장애인을 위한 훈련시스템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 에서는 발달 장애인의 상황 대처 능력 향상과 사회 적응훈련을 목적으로 '음식점 서빙' 이라는 주제에 따른 증강 현실기반 상황 훈련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실제 훈련환경에 마커를 두고 실제 공간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물체들을 가상 물체로 대체한 증강 현실 공간을 구성하여 안전하고 주변 환경의 제약없이 반복훈련이 가능하도록 한다. 훈련자는 HMD를 착용하고 훈련 공간 주위를 볼 수 있으며, 음성 멘트에 따라 행동을 함으로써 시나리오에 따른 훈련이 가능하게 된다.
        9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육성 콩 10품종의 각 부위별(자엽, 종피 및 배) 지방함량과 지방산 조성의 품종간 차이를 검토하였다. 지방함량은 자엽>배>종피 순서로 많았으며 각 부위별 평균 지방 함량은 자엽이 18.3%, 배가 8.9%, 종피가 1.4%이었다. 각 부위별 지방 함량은 자엽은 대망콩이 가장 높았고 서남콩이 가장 낮았으며, 배는 대망콩이 가장 높았고 호장콩이 가장 낮았다. 종피는 다장콩이 가장 높았고 새별콩이 가장 낮았다. 지방산 조성은 각 부위별로 자엽은 C18:2>C18:1>C16:0>C18:3>C18:0의 순서로, 종피는 C18:2>C16:0>C18:3>C18:1>C18:0의 순서로, 및 배는 C18:2>C16:0>C18:3>C18:0>C18:1의 순서로 높았다. 각 부위별로 linoleic/linolenic acid의 비율은 자엽은 명주나물콩이 가장 높았고 대망콩이 가장 낮았으며, 종피는 진미콩이 가장 높았고 대풍콩이 가장 낮았다. 배는 다장콩이 가장 높았고 대풍콩이 가장 낮았다.
        99.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information on mainstem, branch and leaf characteristics related to canopy for development of high yielding cultivar using 70 Korean soybean cultivars developed from 1913 to 2000. Variations of canopy width, branch length, and canopy width/length ratio were higher compared to other characteristics among 12 mainstem and branch characters. Variations of petiole angle, leaflet width/length ratio and compound leaf dry weight were higher than other characteristics among eight leaf characters related to plant canopy. Three classifications of soybean cultivars were used based on usage: I)soy sauce and tofu, II)bean sprout, and III)cooking with rice. Canopy width/length ratio was higher in group III, cooking with rice than group I, soy sauce and tofu, and group II, bean sprou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 I and group II. The total branch length/main stem height ratio was higher in group II, bean sprout and group III, cooking with rice than group I, soy sauce and tofu. Mainstem and branch characteristics related to plant canop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ratio of canopy width/length and total branch length/main stem length, respectively. Soybean cultivars with narrow canopy and high dependence of mainstem were Danweonkong, Keumkangkong, Shelby, and Shinpaldalkong. Soybean cultivars with broad canopy and high dependence of mainstem were Kanglim, Keumkangdaelip, and Jinyulkong, and a cultivar with broad canopy and high dependence of branch were Geomjeongkong 2. Leaflet length/width ratio was lowest in cooking with rice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oy sauce and tofu and bean sprout. Compound leaf area was largest in cooking with rice and smallest in bean sprout. Leaf petiole length was short in bean sprout an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soy sauce and tofu and bean sprout. Leaf petiole angle was highest in cooking with rice and lowest in bean sprout. Leaf type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ased on leaflet width/length ratio and compound leaf area, respectivly. Buseok and Taekwangkong had an oval leaflet and largest area of compound leaf. Eunhakong and Sohokong had extreme narrow leaflet and smallest area of compound leaf. Leaf petiole type was classified into three and four groups based on leaf petiole length and angle, respectively. A soybean cultivar with the shortest petiole length and smallest petiole angle was Eunhakong and cultivars with short petiole length and large petiole angle were Alchankong, Muhankong, and Pureunkong. A soybean cultivar with long petiole length and small petiole angle was Sinpaldalkong 2. Among a total of 70 Korean soybean cultivars, Eunhakong had an extreme narrow type in leaf, smallest compound leaf area, shortest petiole length, and smallest petiole angle of compound leaf.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