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3

        81.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기치에서 발생되어지는 비트의 소비를 저주파영역에서의 부호화하는 과정을 없애고, 각 대역별 임계값을 통해, 비 트정렬시 LIS에서 발생되어 질 수 있는 비트 소비를 줄일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로 허프만 코딩을 적용하여 압축효율을 향상시켰다. 실험 결과를 통해, 특히 낮은 비트율에 대해서 비트율의 향상을 가져오게 되어 전송시에 있어 서 더욱 점진적이고 프로그레시브한 전송을 가능하게 되었다.
        82.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c dietary metabolizable energy (ME) and crude protein (CP) on productivity, meat quality and blood composition of crossbred chicks (hanhyub 3 ho) for different growring periods. Experiments were factorially designed with ME 3,000, 3,100㎉/㎏ and CP 21, 22, 23% for starter (0-4wks); ME 3,100, 3,150, 3,200㎉/㎏ and CP 18, 19, 20% for grower (5-8wks); ME 3,100, 3,150, 3,200㎉/㎏ and CP 15, 16, 17% for finisher (9-10wks). The total number of chicks and replicate of each treatment for starter, grower, finisher were 720, 4; 702, 6; 468, 4, respectively. The diets was mixed with more 90% organic feed ingredients. The productivity were not influence by dietary ME for starting period. Weight gain and feed intak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P 23% treatment than CP 21, 22% treatment (P<0.05). FCR was improved as dietary CP increased (P<0.05). Weight gain was tended to be increased by decreaing ME content and increasing CP contents for growing period. Feed intake showed no difference among the ME and CP treatment groups. FCR improved significantly in CP 19, 20% compared with CP 18% (P<0.05). Weight gai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E and CP treatments for finishing period. Feed intake was lower in ME 3,150, 3,200㎉/㎏ than the ME 3,100㎉/㎏ treatment (P<0.05). FCR was higher in ME 3,100㎉/㎏ than ME 3,150, 3,200㎉/㎏ treatment (P<0.05). Interaction on productivity was not exited between ME and CP treatment groups for different feeding period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total protein, albumin, glucose and triglyceride amount in blood depending on dietary ME and CP contents. Total cholesterol was greatly decreased in ME 3,100㎉/㎏ than the ME 3,200㎉/㎏ (P<0.05), but not different between CP treatments. Cooking loss of breast meat was lower in ME 3,150㎉/㎏ than the ME 3,200㎉/㎏ (P<0.05). Moisture, shear force and pH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Protein solubility was increased by increasing ME and CP in diets. The collagen was tended to increase as dietary ME increased. Redness was remarkably higher in ME 3,150㎉/㎏ than the ME 3,100㎉/㎏ (P<0.05). Yellowness of meat fed ME 3,150㎉/㎏ showed significantly lower than other treatments (P<0.05). Therefore, the optium ME and CP to improve the productivity for each period were 3,000㎉/㎏, 23%; 3,100㎉/㎏, 19%; 3,150㎉/㎏, CP 16%, repectively.
        84.
        2011.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국적일반화물선 공식안전성평가(Formal Safety Assessment, 이하 FSA) 연구의 1, 2 단계에 해당하는 위험요소 식별(Hazard identification) 및 식별된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위험도 분석(Risk analysis) 결과를 소개한 "국적일반화물선 초기안전성평가 연구(1)"에 이어 FSA 연구의 3, 4 그리고 5단계를 수행한 내용으로, 국적일반화물선의 운용 중 발생 가능한 위험을 저감할 수 있는 위험도제어방안들(Risk Control Options)을 식별하는 단계(Step 3)와 식별된 위험도제어방안들 중 전문가 의견수렴을 통하여 선별된 위험도제어방안들을 대상으로 한 비용-효과 평가 단계(Step 4: Cost-Benefit Assessment) 그리고 비용-효과 평가의 결과를 정리하여 국적일반화물선의 안전성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하는 단계(Step 5: Recommendation for Decision Making)의 결과를 소개하였다.
        85.
        201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일선파출소에 근무하는 해양경찰관들을 조사대상으로 하여 해양경찰 파출소 조직의 건강성 수준을 파악하고,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건강성 측정지표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해양경찰 파출소 조직의 건강성 수준은 업무스트레스를 제외한 모든 측정지표들에서 평균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 조직건강성 수준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조직효과성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는 조직건강성 측정지표들은 개발문화, 보수, 동료관계, 승진제도, 감독, 직무자율성, 직무자체, 조직신뢰감, 업무지향성 등으로 나타났다. 특히 보수, 동료관계, 직무자율성, 직무자체, 조직신뢰감, 업무지향성 등의 측정지표들은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행 해양경찰조직의 개발문화, 승진제도, 감독 등은 일선파출소에 근무하는 해양경찰관의 조직효과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86.
        2009.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제방붕괴시 제방의 침식 및 세굴이론에 기초한 범람 홍수량 해석, 시간에 따른 제방붕괴폭의 변화, 침수범위 및 침수위의 추정, 침수 예상 피해규모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천의 유량변화를 고려한 제방붕괴 모형을 개발코자 하였다. 하도구간에서는 홍수시 4점 음해 유한차분기법을 이용하여 하천 홍수위를 예측하며, 제방 붕괴해석을 위해서 제방침식을 고려한 토사이동방정식을 도입하여 물리적 이론에 기초한 제방붕괴 모형을 개발하였다. 제방붕괴모형과
        87.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설재배가 증가하면서 토양 중 특정 양분이 축적되고, 이로 인하여 과잉양분에 의한 작물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본 시험은 염 스트레스 조건하에서 토마토의 양분흡수와 흡수된 염의 집적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립농업과학원 유리온실에서 수행하였다. 펄라이트에서 발아된 완숙토마토(품종 : 선명, 농우바이오) 건묘를 선발하여 Ross 양액에서 20일간 생육시킨 후, Ross 양액과 NaCl 및 CaCl2를 50 및 100mM로 2주간 처리하였다. 따라서 토마토 유묘를 대상으로 하여 염 종류 별 식물체 내 양분흡수 이동과 염 집적 형태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염 처리 2주후에 토마토 유묘를 채취하여, 부위별(잎, 줄기, 뿌리)로 무기성분(Ca, Na)을 분석하고, 염의 집적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묘 잎을 Spurr 방법으로 전처리 한 후, SEM으로 집적형태를 관찰하였다. 토마토 유묘의 초장은 염 처리에 의해 크게 저해되었으며,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육억제효과는 더 컸다. 염류종류에 따라 무기성분의 흡수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NaCl이 처리된 토마토는 줄기에 다량의 Na가 축적되었으며, CaCl2가 처리된 토마토는 잎에 다량의 Ca가 축적되었다. 각 부위별 무기성분함량은 무처리에 비해 약간씩 높았다. 식물체내 염의 집적형태로 Ca-oxalate crystal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시험에서도 Ca-oxalate는 처리조건에 상관없이 관찰되었는데, 집적정도는 염 처리에 의해 다소 증가하였으며, 특히 잎의 해면조직과 뿌리의 피층 부분에서 다량이 존재였다.
        8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야생벼가 유전적으로 재배벼와 유사한 특징을 보인다 할지라도, 많은 야생벼에서 재배벼와 생육양상이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본 시험은 재배벼와 생육양상이 다른 일부 야생벼의 광합성능, 카탈라아제 활성 및 엽의 해부학적 차이를 보고자 수행하였다. 야생벼(Oryza latifolia, Oryza minuta, Oryza brachyantha, Oryza grandiglumis, Oryza alta)와 재배벼(새추청)를 공시 작물로 하였으며, 야생벼의 휴면타파를 위해 40℃에서 3일, 50℃에서 2일간 처리한 후, 6㎛ 지베렐린을 처리하여 발아를 촉진하였다. 발아 7주 후에, 상위 완전전개엽의 광합성량(LC pro+, GBP4)을 측정한 후, 엽록소 함량과 카탈라아제 분석 및 해부학적 관찰을 위한 시료로 사용하였다. 엽록소 함량은 Roe 방법으로 추출한 후 분석하였고, 카탈라아제 활성은 Aebi 방법으로 추출 한 후 분석하였다. 해부학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엽을 Spurr 방법으로 전처리한 후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발아 7주경에 관찰한 생육양상은 새추청벼에 비해 O.latifolia, O.grandiglumi 및 O.alta는 왕성하였고, O.minuta는 비슷하였으며 O.brachyantha은 분산형으로 아래로 쳐지는 양상을 보였다. 광합성량은 O.latifolia, O.grandiglumi에서 가장 컸으며, O.minuta 이외에는 새추청벼에 비해 높은 광합성량을 보였다. 엽록소 함량은 O.latifolia, O.grandiglumi 및 O.brachyantha에서 새추청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카탈라아제 활성은 O.brachyantha에서 가장 낮았으며 나머지 야생벼의 카탈라아제 활성은 새추청벼 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엽 횡단면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야생벼와 재배벼의 유관속초의 형태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야생벼간에는 큰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89.
        2007.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점진적인 유량 및 압력이 변화하는 상수관망에서 Rigid Water Column Theory를 이용하여 정상모형의 확장기간 모의해석보다 정확하고 수충격 해석보다는 계산비용 및 노력 측면에서 효율적으로 장시간 부정류 해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실제관망에 대하여 24 시간 열 수요량을 고려한 부정류 해석 및 밸브폐쇄로 인한 수충격해석 모의에 적용하였고 해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24 시간 일변화 모의의 경우에 수요량이 증
        90.
        2007.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and analyse how Community Forest Initiatives as urban fringe management initiatives made alliances with a variety of interest groups, enrol them in the urban fringe management processes using the Actor Network Theory. The Thames Chase Community Forest Initiative was selected and its area of operation included a 97 km2 area of green-belt area in East London. It was a instrument far improving and protect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side landscape from urban developments as well as evaluating the impact of forestry inclusion in land use planning in the urban fringe. It was operated through a tiered structure comprising the Thames Chase Joint Committee and the management team. They employed a variety of devices to speak with one voice to bring about an effective operation process and to secure the enrolment of a variety of interest groups in its operational processes. Of note, the initiative's actor network impacted on improvement to and management of the countryside landscape despite not owning any land itself. As a result, when urban fringe management initiatives will be launched in South Korea to achieve a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urban fringe management, local councillors and representatives from public and non-government bodies should be more responsive to local communities' views and needs and work more vigorously on their behalf through lobbying, seeking media support, and so on. Moreover, better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local authorities' officers and management initiatives' teams are essential to avoid duplication of work practice.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