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3

        101.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물의 개화는 생물계절현상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변화이다. 온대지방에서 개화에 영향하는 환경요인은 기후, 일장, 토양수분, 식물체내의 수분포텐셜 등 이 며, 그중에서 생육초기의 기온은 가장 유효한 인자이다(Brown, 1953, Lindsey et al.,1956). 그러나 식물의 개화에 미치는 환경 요인으로 대기후뿐만 아니라 미기후 도 중요하며, 동일 종, 동일 위도라도 지역, 고도, 사면, 개체 또는 가지의 위치에 따 라 그 시기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홍릉수목원 148종 식물의 개화시기를 분석한 결과 1999∼2009년에는 전체수 종 평균 개화시기가 4월 26일로 40년 전(1968∼1975년)보다 평균 8일 이상 빨라졌 으며, 특히 3∼4월에 개화하는 수종의 개화시기 변화가 컸다. 그러나 최근 2년 (2010∼2011년)의 경우, 봄철 이상저온으로 인하여 1999∼2009년보다 개화시기 가 평균 10일 이상 늦춰지는 변화를 보였으며, 3월말 생강나무, 산수유, 개나리. 진 달래, 벚꽃 등이 한꺼번에 피어있는 진풍경을 연출하였다(성주한 등, 2012). 벌꿀생산의 안정성과 생산량을 증대시키고 주년생산을 통해 아까시나무에 대 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4월부터 9월까지 개화하는 주요 밀원수종들을 대상으로 개화기간 및 화밀분비 특성을 조사한 결과 2009년도 아까시나무의 평균 화밀분비 량 2.20±1.18㎕와 비교하여 쪽동백나무, 때죽나무, 헛개나무, 피나무, 찰피나무, 섬 피나무, 쉬나무, 가시오갈피나무, 오갈피나무가 더 많은 화밀분비량을 나타냈으며, 아까시나무의 개화 기간인 5월 19일부터 5월 27일과 중첩되지 않게 개화 기간이 분 포되어 있어 벌꿀의 주년생산과 함께 아까시나무 밀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일 수 있 는 밀원수종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0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악취숙련도 시험을 위한 PTM 물질로 현장시료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하수처리장에 채취한 현장시료의 안정성과 채취 균질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현장시료를 PTM으로 사용하여 71개 악취검사기관의 공기희석관능법의 숙련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설정값(참여기관 또는 기준기관의 악취지수 평균값이나 중위수)를 기준으로 3가지 Z-score 평가법(표준편차 이용한 Z-score, Robust 표준편차를 이용한 Z-score, 목표표준편차를 이용한 Z-score)으로 숙련도의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하수처리장 농축조에서 채취한 현장시료는 2일 동안 희석배수의 변화 없이 안정적이었고, 참여기관을 4 그룹으로 나누어 순차적으로 채취한 현장시료가 균질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현장악취시료가 악취 숙련도 평가를 위한 PTM 물질로 적용 가능함을 의미한다. 숙련도 시험결과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참여기관의 숙련도 만족비율은 Z-score 평가법이나 설정값의 기준(참여기관 또는 참고기관으로 선택한 3개 대학의 악취지수 평균값이나 중위수) 보다는 목표표준편차(S*ref)값에 의존하였다. 숙련도 만족비율은 S*ref 값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PTM 시료의 분석결과에 대한 변동계수(CV) 0.13에 해당하는 목표표준편차값에서 숙련도 만족비율은 약 93∼96% 수준이었다.
        4,000원
        103.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공항 콘크리트 포장은 일반적으로 2차로(약 8.2m)로 건설되는 도로 포장과 달리 약 30m 이상의 광폭 으로 건설된다. 따라서 공항 콘크리트 포장은 콘크리트 포설 장비의 제한으로 인하여 불가피하게 종방향 으로 시공 줄눈을 갖게 되며, 이러한 종방향 시공 줄눈은 인접 슬래브와의 하중전달을 위하여 콘크리트 슬래브 옆면에 전단키를 설치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공항 콘크리트 포장에 적용되는 키 줄눈 형식(그림 1)과 다웰 줄눈 형식(그림 2)의 포장 슬래브에 대한 거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유한요소 해석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항공기 하중 및 환경하중을 고려하여 슬래브의 응력, 하중전달율 등의 거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공항 콘크리트 포장에서 줄눈부를 시공 줄눈은 전단키를 사용하고 수축 줄눈은 다웰바를 사용하는 현행 줄눈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을 시공 및 수축 줄눈 모두 다웰 줄눈으로 적용하여도 구조적으로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오히려 다웰 줄눈만을 적용할 경우 슬래브의 인장응력 감소 및 하중전달율의 증가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그림 3).
        104.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포스트텐션 콘크리트 포장(PTCP: Post-Tensioned Concrete Pavement)을 한방향 4차로로 타설 시 2 차로 선타설 이후 나머지 2차로를 후타설하게 된다. 선타설된 슬래브는 후타설을 수행하기까지 긴장력 도입과 건조수축에 의한 변형이 발생하게 되며, 선타설 슬래브의 변형이 일정정도 진행된 이후 후타설 슬래브가 타설된다. 후타설 슬래브는 긴장력과 건조수축에 의한 변형이 발생한 선타설 슬래브와 맞추어 시공 되기 때문에 후타설 슬래브가 긴장력과 건조수축에 의해 슬래브가 수축하게 되면 타이바로 연결된 선타설 슬래브와 후타설 슬래브는 상호간의 수축차로 인해 추가적인 인장·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림 1(a) 는 선타설 이후 약 21일 후 후타설 슬래브를 타설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건조수축과 긴장력을 도입하였을 경우의 응력분포와 변형을 나타낸 것으로 긴장력이 도입되었음에도 일정부분에서는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1(b)는 철근깊이에서의 종방향길이에 따른 종방향응력을 나타낸 것으로 타이바와 콘크리트 접촉부에는 매우 큰 인장응력이 발생하여 슬래브의 파손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바에 의한 긴장응력 억제를 완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대안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 방안으로는 타이바의 유동공간을 확보하여 긴장과 건조수축 시 타이바와 콘크리트 접촉부의 응력을 완화하는 방법으로 유동공간을 크게 할수록 접촉부에서의 인장응력은 작게 발생하지만 타이바에 의한 손실이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방법은 긴장부에서의 타이바 제거를 통해 타이바에서의 변형량이 작아지도록 하는 방법으로 120m PTCP에서 양단 20m 부분의 타이바를 제거하는 방안이다. 이 방안 또한 슬래브에 발생하는 응력은 작아지지만 여전히 슬래브의 파손이 우려되는 응력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TCP를 포함하여 다른 포장형식 또한 한방향 4차로 포장의 경우 타설 시기 차이로 인한 건조수축 등의 거동으로 인해 타이바에 따른 응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105.
        2013.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CRCP: Continuously Reinforced Concrete Pavement)과 줄눈 콘크리트 포장 (JCP: Jointed Concrete Pavement)의 환경하중에 따른 단부 거동 측정 현장은 음성-제천고속도로 상에 신설 된 CRCP 구간에서 수행되었다. CRCP 구간은 슬래브 길이 약 500m, 폭 8.4m, 두께 28cm, 철근비 0.68%로 시공되었으며 시점과 종점은 앵커러그(Anchor lug)를 생략하고 팽창줄눈을 설치하였으며, JCP와 마주하고 있다. CRCP와 JCP는 모두 린 콘크리트층 위에 설치되었으나, JCP는 린 콘크리트층과 JCP 사이에 비닐을 설치 하였으며, CRCP는 린 콘크리트층 위에 바로 콘크리트 슬래브를 설치하였다. 따라서 CRCP와 JCP의 환경하중 변화에 따른 자유단부의 종방향 변위 및 컬링 변위 측정을 위해 그림 1과 같이 변위측정계(LVDT)를 설치하였 다. 거동 측정은 2013년 4월 24일(Day 1)부터 수행하였으며 자유단부에서 컬링 거동 측정 결과를 그림 2, 종방 향 거동 측정 결과를 그림 3에 나타내었다. 컬링 거동은 약 20일의 측정 기간 동안 CRCP와 JCP의 자유단부는 동일 시간대에 서로 같은 방향으로 컬링 거동이 발생하며, 일일 최대 컬링 변위는 약 1.2mm 정도 발생하였으나, CRCP와 JCP 단부의 상대변위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방향 거동은 약 45일의 측정 기간 동안 일일 종방향 변위의 발생은 CRCP 보다 오히려 JCP에서 더 크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측이 팽창줄눈 위치에서 수행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JCP의 수축줄눈에서도 발생하지는 지는 추가적인 연구로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106.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rrelations among odor intensity, offensive substance concentration, and dilution factor were reviewed for the 12 designated offensive odor substances in this study. It is to propose new regulatory odor standards based on relationships between odor intensity and offensive substance concentration, as well as odor intensity and dilution factor at the site boundary which were obtained from the comprehensive reviews of the adequacy of current regulation standards. Changes in intensity were found to be necessary to reflect exponential changes in concentrations and dilution factors. The change of substance concentrations with respect to the dilution factor was found to be a relatively linear relationship. The thorough evaluations pf relationships among odor intensity, offensive substance concentration, and dilution factor l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current regulatory standards were inadequate and the modification was necessary to reflect the new understandings. The new regulatory substance standards based on correlations with odor intensity for the 12 compounds were proposed. The proposed ammonia concentrations for the regulatory standard in the semi-industrial and industrial area were 15 ppm and 28 ppm, respectively. These are approximately 15 times higher than those of the current standards. For dimethyl sulfide, dimethyl disulfide, and isovaleraldehyde, the higher concentrations than those of current standards were also pro posed. The proposed regulatory standards of dilution factor in semi-industrial and industrial area were 25 and 50, respectively. It is found that proposed quantitative relationships among the odor intensity, the offensive substance concentration, and the dilution factor in this study turned out to be more adequate to Korean than the current ones.
        4,500원
        107.
        201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stable and homogeneous sample for the proficiency test which was applied for the olfactory dilution method of the offensive odor. For this purpose, the relationship between VOCs concentration and air dilution test results were analysed. As the results, the mixture of 7.1 ppm of toluene and m-xylene were suitable as a low level of PTM(proficiency test material) for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In addition, time stability and homogeneity between sampl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time of 6 hr ~ 48 hr. As the results, the stability of sample concentration with GC analysis was shown as 5.1% RSD for toluene and 6.8 %RSD for xylene, respectively. The stability of sample was 5.4 %RSD in terms of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4,000원
        108.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concentration and odor intensity using the odor sensory method for 5 types of aldehyde compounds and styrene. For the measurement, 13 panelists were selected by several criteria through a panel test. The estimation showed that the correlation of the concentration with odor intensity for the 12 compounds including of the sulfur compounds, ammonia, and trimethylamine can be reasonably expressed by the equation I = Aㆍlog C + B (I : odor Intensity, C : material concentration, A : material constant, B : constant). The equations show the sensivities of intensity change for the change of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concentration the odor intensities for acetaldehyde and iso-valeraldehyde increase larger than for the other aldehydes. Regulation standards of 12 species of odor substance concentraton and odor intensity by using the correlation equation was reviewed for adequacy. It was evaluated that the regulation standards on site boundary in operation are too low for NH₃, DMDS, and iso-valeraldehyde and too high for TM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ggested to be used as a base data for research on measures to improve the regulation standards for complex odor concentration on site boundary in operation.
        4,000원
        109.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concentration and odor intensity using the odor sensory method for 4 types of sulfur compounds, ammonia, and trimethylamine. For the measurement, 13 panelists were selected by several criteria through a panel test. Panelists chosen for their closely similar sensitivities provide more reproducible values. The estimation showed that the correlation of the concentration with odor intensity for the 6 compounds can be reasonably expressed by the equation I=Aㆍlog C+B (I: Odor Intensity, C: material concentration, A: material constant, B: consta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ggested to be used as a base data for research on measures to improve the regulation standards for complex odor concentration on site boundary in operation, as well as a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and odor intensity for the designated foul odor substan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4,000원
        110.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at the evaluation of odor analysis is affected by the classification of the agency and the general properties of the odor analysts, including gender, age, smoking behaviour,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odor assessment, etc, so as to improve reliability and skills in terms of the result of complex odors by the air dilution methods. The sample for complex odor used the field sample which aimed at the odor analysts in the agency. The general characterizations of the odor analysts have affected the results of the odor analysis. The values of odor evaluation obtained by female odor analysts were more delicate than male, and the value of the result was reduced when above 40 s analysts conducted the evaluation. Moreover, Non-smokers perceived odor more sensitive than smokers. The more experience of odor analysis odor analysts had, The less values of the result were assessed. On the other hand, there are no differences in the value of odor evaluation depending on theclassification of institutions that participate in odor investigation. In conclusion, the selection of odor analysts considered gender, age, smoking behavior, and experience may be required to determine the improved reliability of data in odor evaluation. Ideally, Non-smokers 20~40 years old who have no dysfunction for the olfactory sense can be suitable for being optimal odor analyst.
        4,000원
        111.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려해상국립공원 동부지역에 속해 있는 5개의 섬(지심도, 내도, 윤돌도, 송도, 갈도)에 대한 식물상을 2010년부터 2011년까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 대상지역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의 출현은 지심도는 85과 195속 219종 24변종 2품종 3아종 246분류군, 내도는 72과 127속 131종 12변종 143분류군, 윤돌도는 56과 73속 73종 10변종 1아종 84분류군, 송도는 33과 63속 64종 6변종 70분류군, 갈도는 47과 84속 84종 7변종 1품종 1아종 93분류군으로 모두 105과 272속 334종 39변종 4품종 3아종으로 총 380분류군이 출현하였다.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7종이 출현하였으며, 특산식물은 6종이 출현하였고,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종은 Ⅰ등급에는 42종류, Ⅱ등급에는 1종, Ⅲ등급에는 25종류, Ⅳ등급에는 4종류, Ⅴ등급에는 4종류로 총 76종류가 출현하였다.
        4,500원
        112.
        2012.09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particulate matters including PM2.5 which is known for severe adverse health effect than PM10 in public facilities. The total 40 public buildings a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11 sub-groups as follows : child-care centers, medical centers, libraries, museums, bus terminals, ports, airports, railway terminals, subway stations, large-scale stores, and indoor parking lots. The mean concentration of PM10 was 38.6㎍/㎥ and that of PM10 in all studied facilities were lower than the Ministry of Environment's control standard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2.5 was 27.2㎍/㎥ and that of PM2.5 in 18 facilities were exceed the guideline of WHO (24h average value : 25㎍/㎥). The subway stations had the highest indoor level of particulate matters and the waiting area in bus terminals, railway terminals, indoor parking lots had followed in order. When comparing mean value of I/O ratio of PM10, the only I/O ratio of subway stations were greater than one. In the case of PM2.5, however,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PM2.5 in indoors of subway stations, bus terminals, and indoor parking lots were higher than those of PM2.5 in outdoors. The mean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were gradually increased between 6 A.M and 10 A.M and after 6 P.M in most of target buildings with increasing the number of users in thest facilities.
        4,000원
        11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ntration and dilution factor (ratio) using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which is suggested in the Standard Method of Odor Compounds, by measuring dilution factor for 5 types of aldehyde compounds and styrene. For the measurement, 13 panelists were selected by several criteria through panel test. Panelists chosen for their closely similar sensitivities provide more reproducible values. The estimation showed that the correlation of the concentration with dilution factor for the 12 compounds including the sulfur compounds, ammonia, and trimethylamine can be reasonably expressed by the equation log C=Af∙logD+F(Af: material constant, F: consta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ggested to be used as a base data for research on measures to improve the regulation standards for complex odor concentration on site boundary in operation, as well as a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and dilution factor for the designated foul odor substan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4,000원
        115.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ince 2011, proficiency test for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started in Korea for the evaluation of the authorized odor inspection agencies’ analysis skill. For this purpose, sulfur compounds of PTMs (proficiency test materials) were made and investigated for the application to the proficiency test as a complex malodor sample. Time stability and homogeneity between samples were analysed for the PTM which was made with 10 ppm of DMS and 10 ppm of DMDS. As the results, the stability of sample concentration with GC analysis was shown around 6%RSD through the time of 6~48 hr. In addition, dilution number during the same test period appeared almost stable, less than 6%RSD in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The reproducibility results of four laboratories showed very similar results except one lab which was caused by the elder panel characteristics.
        4,000원
        116.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concentration and dilution factor using the Air Dilution Olfactory Method, which is suggested in the Standard Method of Odor Compounds, by measuring dilution factor for 4 types of sulfur compounds, ammonia, and trimethylamine. For the measurement, 13 panelists were selected by several criteria through a panel test. Panelists chosen for their closely similar sensitiviyies provide more reproducible values. The estimation showed that the correlation of the concentration with dilution factor for the 6 compounds can be reasonably expressed by the equation logC=AfㆍlogD+F (Af: material costant, F: constan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ggested to be used as a base data for research on measures to improve the regulation standards for complex odor concentration on site boundary in operation, as well as a correlation between the concentration and dilution factor for the designated foul odor substances, and their characteristics.
        4,000원
        11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400원
        118.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86년 AASHTO 설계법에서 회복탄성계수를 이용한 다짐관리 기법이 제안된 이후, 국내외에서 경험적 설계법에서 역학적-경험적 설계법으로 전환되고 있다. 10여년의 연구결과 노상 다짐관리는 기존의 다짐도와 평판재하시험에서 평판재하시험 및 소형 충격 재하시험, 동적 콘 관입시험으로 전환되어질 예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노상 재료의 물성치와 구조해석을 통해 한국형 도로포장 설계법에서 제시된 회복탄성계수 예측식을 검증하였으며, 실제 평판재하시험, 소형충격재하시험, 동적 콘 관입시험등의 현장시험을 통해 경험적 모델로 추정된 회복탄성계수와 현장 탄성계수 측정값간의 상관관계식들을 개발하였다. 또한 제안된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현장시험을 통한 노상의 다짐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4,000원
        120.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현재의 다문화교육은 이주민들이 가지고 있는 개인적 역량을 자본화시켜 그들을 이 사회의 인적자원으로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 이는 현행 다문화교육정책의 세 가지 문제점(동화주의 다문화교육정책, 결혼이 주민 위주의 다문화교육정책, 치료중심의 다문화교육정책)에 크게 기인한다. 따라서 현재의 다문화교육은 이주민들의 교육활동을 자본화시킬 수 있는 교육 자본화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의 공간, 관계 및 활동의 교육 자본화를 통해, 다문화교육의 교육 자본화가 요구된다. 또한, 다문화교육 정책은 오아시스(OASIS)의 원칙에 따라, 다문화 배움망(Multicultural Erudition Web)의 건설을 통한 이주민들의 배움의 활성화를 위해 역할 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문화 배움망을 통해, 이주민들은 자신들의 생활조직을 배움의 조직으로 발전시킬 수 있으며, 지역민들과 더불어 배울 수 있을 것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