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40

        121.
        2009.05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uccess of network integration project depends on how well we are able to provide a network implementation fulfilled with customer's requirements within an established budge. As its environment have become enlarged and distributed, the interested parties will be increased and as its customer's technologies have become generalized through a lot of learning opportunities, the requirements will be increased and its qualities will be better. Therefore, it is getting difficult to satisfy their requirements and maintain its qualities. Effectively managing conditions that are able to have effects on resources and schedule at the early requirement analysis stage due to the requirement changes at the end of the project, we are about to offer a service quality and requirement management that can fulfill with customer's requests.
        4,000원
        122.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장의 품질 및 기호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능성 부재료인 딸기 퓌레를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한 후 숙성 기간동안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pH는 숙성초기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다가 숙성 60일부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정산도는 숙성초기 증가하다가 60일 이후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추장의 수분함량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딸기 퓌레의 함량이 높을수록 수분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분활성도는 숙성 60일째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이후 다소 증가하였다. 아미노태 질소의 함량은 숙성기간 중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식염의 함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색지표인 L*, a*, b*값은 일부 b*값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숙성기간 중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효모는 담금 직후부터 숙성 30일까지 1.2-4.9×106 CFU/g에서 1.6-5.1×106 CFU/g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숙성 30일부터 6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여 숙성 90일째 1.1-5.9×107 CFU/g으로 급격히 증가하였다. 처리군별로 살펴보면 마찬가지로 숙성초기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딸기 퓌레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효모수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나 딸기 퓌레의 첨가가 고추장의 숙성 중 물리화학적 품질특성뿐만 아니라 미생물 생육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23.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함초의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이를 기능성 부재료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실험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초를 열풍건조, 진공건조 및 동결건조 등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각 시료의 물리화학적 분말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열풍건조하여 제조한 시료의 수분함량이 3.16%로 가장 낮았으며, 진공건조 분말이 3.42%, 동결건조 분말이 3.80%로 나타났으며 시료의 pH는 6.12-6.27의 범위값을 나타내었다. 동결건조한 시료의 명도는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높았고 적색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미세구조 관찰결과 동결건조된 시료의 입자가 보다 규칙적이고 치밀하게 배열된 것으로 관찰되었으나, 다공성구조는 관측되지 않았다. 또한 동결건조된 시료의 수분 용해도는 다른 시료들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반면 팽윤력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한편 총당 및 환원당의 함량은 동결건조한 시료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4,000원
        124.
        200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딸기 분말의 대체량을 0-6%로 달리하여 쿠키를 제조한 후 물리화학적 품질특성을 측정하고 각 특성사이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딸기 분말 대체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죽의 pH와 쿠키의 경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반죽의 수분함량은 딸기 분말의 대체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평균 수분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딸기 분말의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황색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증가하였다(p<0.05). 퍼짐성 지수 역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한편 상관분석결과 딸기 분말 대체수준은 모든 물리화학적 품질특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반죽의 수분함량과 퍼짐성 지수 사이에 양의 유의적 상관관계가 관측되었다(p<0.05).
        4,000원
        125.
        2009.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갈색여치는 우리나라에서 4월 초·중순에 야산에 출현하여 5월 말경에 성충 이 된다. 야산에서 부화하여 5월 초순경에 인근 과수원으로 내려오기 시작하 여 산란 전까지 약 한 달 동안 과수원에 서식하며 어린잎과 과실에 피해를 준다. 2008년 충북 영동지역을 중심으로 야외 생태를 조사한 결과 갈색여치가 과수원으로 내려오는 시기인 5월 초순에는 주로 3-4령이었고, 과수원내에서는 주로 섭식을 하며, 산란을 위해 다시 인근 야산으로 이동한다. 산란기간은 약 2개월 동안 지속되었고 일생 동안 산란하는 량의 50% 이상을 산란초기인 7월 초순에 하였다. 한편 겨울동안의 지온은 야산이 과수원보다 높고, 토양습도 또한 40% 이상이 유지되어 갈색여치 알이 겨울을 나는데 유리한 조건이 되었 을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4월에 약충이 된 갈색여치는 5월말과 6월초에 성충이 되고 7월부터 9월까지 산란을 하고 죽는다. 갈색여치는 알로 휴면하며 알이 부화하기 위해서는 저온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2007년 산란된 알은 2008년과 2009년에 걸쳐 부화하였고 일부는 초기 휴면단계에 들어가 있어 갈 색여치의 알은 1년 또는 2년 이상 휴면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132.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ehaviors of saturated fatty acid halides (CI4, C16, C18) were measured by LB method when the molecules were stimulated by pressure. The saturated fatty acid halides were deposited on the indium tin oxide(lTO) glass by the LB method. The average organic ultra thin film size and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fatty acid halides thin films were investigated using AFM. It was found that AFM images show small surface roughness (2.5~5.0 nm) and the organic ultra thin film size of 2.5~12 nm. Both aggregations and pin-holes were also seen on the AFM images. However we found that the surface roughness. These effects seem to be reasonable to be related to the increase of the organic ultra thin film size of fatty acid halides.
        4,000원
        133.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urvey the occurrence of stink bugs and pecky rice grain caused by the stink bugs in paddy fields in six districts of Gyeonggi-do. In the levee of the paddy fields, 30 species of the stink bug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omius exiguus in Hwaseong and Siheung, and Stenotus rubrovittatus in Pyeongtaek, Icheon and Paju. In the paddy fields, 23 species were collected, and the dominant species were Paromius exiguus in Siheung, and Stenotus rubrovittatus in Pyeongtaek, Icheon and Paju. P. exiguus overwintered and proliferated mainly in the west coastal region, where its host plants, Imperata cylindrica and Calamagrostis epigeois, were abundant, and then moved to paddy fields later in the season, resulting in the peak density in September in paddy area. Stenotus rubrovittatus and Cletus punctiger were abundant in paddy area in August and September, and Eysarcoris aeneus was abundant in June and July. When the stink bugs were inoculated on the rice, the rate of pecky rice caused by E. aeneus and P. exiguus at milk ripe stage was 10.2% and 4.8%, respectively, and the rate by S. rubrovittatus and P. exiguus at dough ripe stage was 4.3% and 2.7%, respectively. The damage shape of pecky rice was distinctive according to the species. The surface of pecky rice by P. exiguus was very smooth but the surface of pecky rice by E. aeneus was rough and caved. In the pecky rice by S. rubrovittatus, the spot occurred at the topside of the grain.
        4,000원
        134.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omius exiguus (Distant) has caused serious damage by pecky grains around Gimpo paddy fields in 2001. We conducted field and laboratory studies to determine the seasonal occurrence and age distribution of P. exiguus on the three major host plants. The overwintering P. exiguus was found mainly on the basal part of gramineae weeds in various localities. After overwintering, in mid-May, the adults aggregated on the grain parts of Imperata cylindrica, laid their eggs and nymphs developed into adults on the same host plants. By the time, the Calamagrostis epigeios colony had newly occupied I. cylindrica areas, the nymphs and adults of first generation had already moved to the second host. The second generation of P. exiguus, after having completed its life cycle on C. epigeios, the newly emerged adults migrated to the rice plants and other gramineae weeds in early August. Afterwards, they complete its third generation cycle where they can move to the overwintering site again. P. exiguus has the five nymphal stages and each nymphal stage could be determined by head or prothoracic width. On the I. cylindrica and O. sativa hosts, the age distribution of P. exiguus showed a simple structure as each stage ratio increased stepwise with time. But in case of C. epigeios, as the newly emerged adults and immature nymphs continuously migrate after a month from the I. cylindrica, the age structure became remarkably complex. The peak nymphal density was observed when the ratio of third and forth instar was the highest in the population. The finding about the specific age structure on each generation of the insect would be very useful in control decision making on the major host plants. It is also important to consider the host"s specificity to pesticide sensitivity in relation to various nymphal stages.
        4,000원
        135.
        2009.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emi-empirical method to estimate the surface tension of molten alloys at different oxygen partialpressures is suggested in this study. The surface tension of molten Ag-Sn and Ag-Cu alloys were calculatedusing the Butler equation with the surface tension value of pure substance at a given oxygen partialpressure. The oxygen partial pressure ranges were 2.86×10-12-1.24×10-9Pa for the Ag-Sn system and2.27×10-11-5.68×10-4 Pa for the Ag-Cu system. In this calculation, the interactions of the adsorbed oxygenwith other metallic constituents were ignored. The calculated results of the Ag-Sn alloys were in reasonableaccordance with the experimental data within a difference of 8%. For the Ag-Cu alloy system at a higheroxygen partial pressure, the surface tension initially decreased but showed a minimum at XAg = 0.05 to increaseas the silver content increased. This behavior appears to be related to the oxygen adsorption and thecorresponding surface segregation of the constituent with a lower surface tension. Nevertheless, the calculatedresults of the Ag-Cu alloys with the present model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data withina difference of 10%.
        4,000원
        138.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반촉성 시설 오이에 발생하는 목화진딧물의 발생 조사 및 예찰모델 개발을 위하여 평택에 위치한 관행 시설오이농가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목화진딧물은 4월 중순부터 본격적으로 발생하여 꾸준히 증가하였고 모든 조사기간 동안 집중분포(TPL b>1)를 보였다. 오이에서 목화진딧물의 효율적인 발생예찰을 위하여 2005~2006년 발생 자료를 이용하여 이항표본조사법 분석을 실시하였다. 목화진딧물의 오이 주내 하위 3, 6 엽당 평균밀도(0.07~80.39/엽)들을 이용하여 경험이항모델식인 ln(m)과ln[-ln(1-PT)] 회귀식으로 발생엽율과 평균밀도와의 함수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결정계수(r2)는 엽당 임계밀도(T)가 증가할수록 높았으며, 잔차인 MSE의 값은 T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PT값이 0.95에서 목화진딧물의 추정 가능한 범위밀도는 T= 1, 3, 5, 7과 9에서 각각 129.0, 196.2, 222.8, 229.6과 223.0으로 T가 7과 9에서 이항표본조사법으로 추정할 수 있는 밀도 범위가 더 넓고 결정계수의 값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본조사 모델의 정확도는 모든 T값에서 해충관리 프로그램에 대한 충족 정밀도 수준인 d = 0.25 수준을 만족하지 않았는데 정밀도가 가장 높은 T= 9에서도 d값이 평균적으로 0.34~0.36 수준을 보였다.
        139.
        200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별늑대거미 암컷 체내 카드뮴양이 알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 본 실험이 수행되었다. 2007년 9월 도심지, 농경지, 폐광, 제련소지역의 7개 지역에서 알집을 달고 있는 별늑대거미 암컷성체를 채집하여, 알집내 알 크기와 암성체내 카드뮴 양을 측정하였다. 2007년 11월 별늑대거미 아성체 및 성체 암수 각각 50마리씩을 동일 장소에서 채집하여 1달간 개체사육을 한 후 교미시켰다. 카드뮴 처리 노랑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와 무처리 노랑초파리의 공급 비율을 달리하여 3일 간격으로 4마리씩 먹이로 제공하였다. 교미 후 생성된 알집 내 알 크기와 암성체내 카드뮴 양을 측정하였다. 체내 카드뮴 양과 알 크기 관계는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야외 개체의 별늑대거미 알 크기는 0.14-0.21mm3를 보였고, 체내 카드뮴양은 4-26mg/kg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체내 카드뮴양이 많을수록 알 크기가 증가하였다 (r2=0.87). 실내실험에서는 실험조건별로 알 크기 및 체내 카드뮴 양에 많은 차이를 보였다. 카드뮴 무처리 초파리를 먹인 별늑대거미 암컷의 체내 카드뮴 양은 4.72-19.52mg/kg 이었으며, 알 크기는 0.38-0.41mm3이었다. 카드뮴 무처리 초파리와 처리 초파리를 1:1의 비율로 먹인 별늑대거미 암컷 체내 카드뮴 양은 104.82-167.41mg/kg이었으며, 알의 크기는 0.46-0.48mm3를 보였다. 카드뮴 처리된 초파리만 먹인 별늑대거미 암컷 체내 카드뮴 양은 165.63-204.57mg/kg이었으며, 알 크기는 0.47-0.50mm3를 보였다. 체내 카드뮴 양이 많을수록 알 크기가 증가하였다 (r2=0.83).
        140.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sent study, impedance characteristics for AgO-Zn cell at various State-of-Charge (SoC) has been studied. The impedance measurements of AgO-Zn cell at various SoC were made over the frequency range from 100kHz to 10mHz with an amplitude 5mV. The impedance parameters have been evaluated by the analysis of the data using an equivalent circuit and a Non-linear least squares (NLLS) fitting method. The total resistances reflects the SoC of the cell. This indicates that the total resistance is important parameter for predicting SoC of AgO-Zn cell.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