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필자가 관심을 갖고 진행하고 있는 한자 자소관련 연구 작업 의 일환으로서, 그 동안 발표해 온 해서체 자소분석 결과와 簡體字 部件 관련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해서체와 간체자 간의 자소대응관계를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해 보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양자간의 대응관계를 비교하기 위한 한자의 字量은 중국 敎育部와 國家語言文字工作委員會가 제정하고, 2013년 國務院이 최종 공포한 통용규범한자표의 8,105字로 하였다. 본고는 이들 8,105들을 대상으로 하여, 우선 아래와 같은 두 가지 작업을 시도하였다. 첫째, 8,105자 가운데 자소대체가 발생한 글자들을 먼저 추려내고, 부분대체 혹은 일괄대체인가를 확인하여, 해서체 자소의 자소별 沿用 및 대체 현황을 정리하였다. 개별 자소들은 전통 해서체 자전에서 사용 한 214部首를 이용하여 나열하였다. 둘째, 첫 번째 작업을 통하여 파악된 해서체와 간체자의 기초적 자소 대응관계를 이용하여, 간체자 자소가 내포하고 해서체 자소들을 정리 하여 나열하였다. 이상의 두 가지 기초 작업을 통하여 추출된 결과들을 대상으로, 대체 방식의 유형들을 정리하고, 아래와 같은 문제들을 분석하여 그 득실을 논하였다. 첫째, 자소대체 과정에서의 일관성 문제 둘째, 자소대체의 적합성과 모호성 문제 셋째, 字素대체와 成字대체 문제 넷째, 同形化 문제 다섯째, 기타
        2.
        200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고는 현행 교육용 기초한자에 대한 字形學的 검토를 위하여, 1800자를 대 상으로 字素分析을 시도한 작업이다. 이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소에 관한 개념과 범위의 설정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판단하고, 「字素의 槪念과 分類」 라는 제목으로 構形分析에 관한 기존의 용어와 개념, 현재 중국 및 우리나라 학 계에서 통용되고 있는 용어와 구분상의 문제점 등을 정리하여 발표한 바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교육용 기초한자들의 자소를 構形素와 機能 素로 나누고, 구형소는 다시 筆劃字素ㆍ基本字素ㆍ特殊字素ㆍ形體字素 등으로 분류하여 나열하였으며, 이들 자소들의 變異形態를 變異字素와 同形字素로 구 분하여 첨부하였다. 機能素는 表意字素와 表音字素로 분류하였다. 구체적 작업 의 내용은, 우선 구형소에 있어서 필획자소를 제외한 기본자소 208개와 특수자 소 73개를 추출하여 나열하였으며, 형체자소는 따로 제시하지 아니하고, 변이 자소와 동형자소에 포함시켜 함께 열거하였다. 기능소로서의 표의자소는 269 개, 표음자소는 모두 513개를 추출하여 열거하였다. 작업결과, 자소의 분석 작업이 교육용 기초한자의 字數 제한으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최소한의 보완책이라는 필자의 소견이 일정 정도는 확인이 되었 고, 아울러 한자학습과정에서 발생하는 字形上의 諸問題를 해결하는데도 도움 이 될 수 있다는 것도 검증이 될 수 있었다. 다만, 용어의 설정이나 기본자소의 선정 등의 문제들은 필자 혼자서 감당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며, 한자교학에 종 사하는 이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문제점이 지적되고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자 소학습의 대중화 역시 같은 전제하에서야 비로소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3.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자의 構形에 관한 분석은 한자연구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필수 불가결한 작업으로서 전통 문자학에서 알찍부터 시도되어 왔고 그에 관한 방대한 영의 著作들이 전해지고 있다. 현대에 이르러서도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연구수요 뿐만이 아니라, 한자개혁 • 한자교학 흑은 한자의 電算化등 다양한 분야의 필요성 에 의해 이에 관한 연구가 계속 진행되고 있다. 필자 역시 몇 해 전부터 현재 우리나라에서 통용되고 있는 擔書字形을 대상으로 그 構形분석에 관심을 갖고 일련의 작업을 수행하고 있는 중이다. 과정에서 필자는 해서의 자형을 전통의 편방 개념에 의거해 단순히 의부와 음부로만 구분하고, 不成文字素나 變異字素등 에 관해서는 따로 분석을 하지 않았다. 그러나 이제 작업을 마무리해야 하는 단계에 이르러, 포괄적으로 의부와 음부로만 나누어서는 명쾌하게 해결될 수 없었던 부분들을 정리해야 하고, 또한 이 과정에서 그 동안 필자가 견지하고 었던 자소의 개념과 용어 역시 알부 수정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였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 서는 학계에서 사용해 온 기존의 개념과 용어 및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개념과 용어 들에 대한 설명과 분석을 통하여 취할 바와 버릴 바를 구하고, 이것으로서 필자의 il3îï던 부분을 보충하여 자소에 대한 개념과 분류에 관한 졸견을 피력해 보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필획에서 시작하여 整字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한자를 구성하는 모 든 요소들을 ‘字素’라 하고, 이들 자소들을 크게 두 부류로 구분하여 ‘構形素’와 ‘機能素’로 칭하였다. 구형소는 자형의 構造形態를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그 층차를 파악하가 위한 구별이고, 기능소는 평면적으로 자소가 담당하는 역할을 분석 하기 위한 구별이다. 양자는 서로 대립하는 관계가 아니고 상호 보완적 관계로서, 모든 기능소는 구형소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며, 모든 구형소는 단독 흑은 두개 이상이 일정한 방법의 조합과정을 거쳐 가능소의 역할을 하게 된다. 구형소는 세분하면 다시 筆劃I字素· 基本字素· 特珠字素• 變異字素· 形體字素등의 네 가지로 구분되며, 필획자소는 구형소 가운데 최하위 단위로서 기본자 소를 비롯한 기타자소를 구성하는 筆形에 관여하는 자소이다. 기본자소는 일련의 독채자와 소수의 합체자가 이에 해당하며, 가능소를 구성하는 根幹역할을 하는 자소이다. 특수자소는 사용범위가 극히 제한되거나 사용빈도가 아주 낮은 자소들을 지칭하는 것이며, 변이자소는 慧變과정에서 자소의 자형을 필사의 편리나 모양을 고려하여 자연스럽게 변화되었거나 의도적으로 변형시킨 경우이고, 그 來源은 대부분 기본자소에서 나온 것이다. 그러나 그 來源을 잘못 파악하여 전혀 다른 형태로 변한 경우도 적지 않다. 형체자소는 특정한 기본자소와 결합했을 때만 일정한 의미를 갖게 되는, 音義가 없이 형체만 존재하는 不成文부호를 지칭하는 것이다. 기능소는 합체자의 분석을 위해 전통적 사용해 온 편방의 개념과 동일하며, 다만 그 명칭을 表意字素(意、符)와 表흡字素(홈符)로 나누었다. 이외에도 자소의 또 다른 분류방법으로 根源字素와 派生字素, 同形字素와 同 義字素, 獨體字素와 合體字素, 成字字素와 非字字素등을 제시하였다.
        4.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e final decision of Educational Basic-Chinese-Characters by changing 44 characters from the existing 1800 characters. There could be a controversy on this subject, however careful they chose, if they put a limitation with the number of character when they made a choice Basie-Chinese-Characters. In this paper, I'd like to tell you we must to select basic graphemes for solving that controversy with choosing Basic-Chinese-Character. For thes work, I analyzed the part of meaning and sound with 1800 characters which already were selected, of letter numbers, could be brought to a settlement through the process that extracted graphemes joined together again. I hope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choosing basic graphemes through working of extracting grap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