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1999.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2.
        1998.08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500원
        3.
        199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먼지응애가 고추의 생장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고추 유모에 암컷을 접종 실험하였다. 차먼지응애 암컷을 각각 1, 2, 5마리/주로 접종한 구에서 10주후의 고추 생장율이 각각 264, 256, 177%로 무처리 337%에 비해 현저한 생육감소를 나타내었다. 총수량은 무처리 1,197.5kg/10a에 비해 1, 2, 5마리/주로 접종한 구에서 각각 443.9, 230.5, 103.4kg/10a로 현저히 낮았다. 고추에서 Dicofol EC, Chinomethionat WP, Pyridaben WP, Pyraclofos WP 등 4개 약제를 대상으로 한 방제시험 결과 4개 약제 모두 처리 17일 후까지 90%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지금까지의 국내에서 고추의 차먼지응애 발생보고를 종합하면 전국적으로 온실에서 10월부터 3월 사이에 주로 피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역에 따라서는 5월 하순에도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000원
        4.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초 록 전국 8개도 림업시험양의 묘포장을 대상으로 묘목기생 선충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119수종에서 2목 11화 20속 35종의 선충이 검출되었으며 이중에 Xiphinema insigne는 우리나라 미기록종으로 Geaeenamus n. sp. 는 신종으로 발견되었다.. 묘포장에서 선충검출율을 보면 남부임시묘포장에서만 Tiiehodorus sp.의 검출율이 71.4%로 Tylenehorhynehus claytoni의 57.1%보다 약간 높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T. claytoni의 검출률이 각 포장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밀도 또한 매우 높았으므로 묘목에 기생하는 선충 중 하?점종임이 밝혀졌다. 각 모포장별 T. claytoni의 검출율은 충남임시묘포장에서는 15종의 묘목에서 전부 검출되어 100 %의 검출율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강원 87.5%, 경북 66.6%, 전북 58.3%, 충북 4 48.1%, 경의 41.3%, 전남 40% 등의 순이었다. 주요 기생선충별 검출율을 보면 전북림시에 서는 Crieonemella morgensis가 검출율이 37.5%이고 밀도가 매우 높았으며, 전남림시에서는 Helicotylenehus digonicus 의 검출율이 35%이고 밀도가 매우 높았고, 충남림시에서는 Pararotylenehus pini 의 검출율이 37%로 밀도가 높았고, 경의림시에서는 Tylenehorhynehus nudus와 Crieonemella infarmis의 검출율이 각각 37.9, 27.5%로 밀도가 높았고, 강원림시에서 는 Meloidogyne sp.의 검출율이 12.5로 밀도가 매우 높았다.
        5,400원
        5.
        198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토양(土壤) 중(中)의 식물기주선충(植物寄株線蟲)을 체법(法)과 깔대기법(法)을 병용(竝用)하여 분리(分離)할 때 사용(使用)되는 선충분리용(線蟲分離用) 여과지(據過紙)를 선발(選拔)키 위(爲)하여 시판(市販)되고 있는 화장지(化粧紙) 중(中)에서 국내(國內) 5개(個) 회사(會社) 10개(個) 제품(製品)과 화란에서 선충분리용(線蟲分離用)으로 제작(製作)된 Cotton-wool Nematode Filter와 비교(比較)하여 분리율(分離率)을 조사(調査)하였고 온도(溫度) 및 시간(時間) 별(別)로 선충분리율(線蟲分離率)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기에 보고(報告)한다. 1. 시판(市販) 화장지(化粧紙)의 선충분리율(線蟲分離率)은 2매(枚) 사용(使用) 시(時)는 Champ Sapphire, Crown Hankie, Scotties Bird 등(等) 3종(種)은 토양(土壤) 200ml당(當) 선충분리수(線蟲分離數)가 453, 419, 312마리로 Nematode Filter의 227마리에 비(比)하여 분리율(分離率)이 월등(越等)히 높았으며 1% 수준(水準)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나 Clarity가 E급(級)으로 흐려서 검경(檢鏡)이 곤란(困難)하였다. 그리고 Monaliza Finely Soft와 Crown Table Napkin은 선충분리수(線蟲分離數)가 175, 193마리로 Nematode Filter에 비(比)하여 약간 낮았으나 Clarity는 C급(級)으로 나타났고 Kleenex New Softness는 240마리로 분리율(分離率)은 높게 나타났으나 Clarity가 C급(級)이며 강도(强度)가 약(弱)하였다. 4매(枚) 사용(使用) 시(時)는 Champ Sapphire, Crown Hankie, Scotties Bird. Beau Clean Silvia, Kleenex New Softness, Monaliza Finely Soft등(等) 6종(種)이 비교적(比較的) 분리율(分離率)이 높았다. 그 중(中)에서 Champ Sapphire는 219마리로 Nematode Filter와 분리율(分離率)이 비슷하였으나 Clarity가 C급(級)이며 강도(强度)가 약(弱)하여 잘 찢어지므로 사용(使用)이 불편(不便)하였고 Crown Hankie는 198마리로 Nematode Filter에 비(比)하여 분리율(分離率)이 다소(多少) 낮게 나타났으나 Clarity가 B급(級)이며 강도(强度)도 강(强)하게 나타났으므로 국내(國內)에 시판(市販) 중(中)인 화장지(化粧紙) 중(中)에서 선충분리용(線蟲分離用) 여과지(濾過紙)로는 Crown Hankie 4매(枚) 사용(使用)이 가장 적합(適合)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2. 토성(土性)에 따른 선충분리율(線蟲分離率)은 Loamy sand, Sandy loam, Clay loam 공(共)히 Champ Sapphire가 가장 분리율(分離率)이 높았고 Crown Hankie, Beau Clean Silvia 등(等)의 순(順)이었다. 3. 향수(香水) 처리(處理)되지 않은 화장지(化粧紙)는 향수(香水) 처리(處理)된 화장지(化粧紙)에 비(比)하여 Kleenex New Softness는 53% 더 높은 분리율(分離率)을 보였고 Monaliza Finely Soft는 23% 더 높은 분리율을 나타냈으므로 선충분리용(線蟲分離用)으로는 향수처리(香水處理)되지 않은 것이 더 좋은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4. 온도별(溫度別) 선충분리율(線蟲分離率)을 에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전체적(全體的)으로 에서 분리율(分離率)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시간경과(時間經過)에 따른 선충분리율(線蟲分離率)은 12시간(時間) 후(後)가 35.3 %이고 24시간(時間) 후(後)가 40.3%로 가장 높게 나다났다가 36시간(時間) 이후(以後)부터는 분리율(分離率)이 급격(急激)히 감소(減少)되었다. 그러므로 선충분리(線蟲分離) 시간(時間)은 시간(時間)이 가장 적합(適合)한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4,000원
        8.
        199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담배의 생육단계 및 환경조건에 따른 duva-trlenediols와 cis-abienol의 함량을 조사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담배생육 단계별 duvatrlenediols와 cis-abienol의 함량은 이식묘일 때 매우 낮았고 이식후 40일 후부터 많은 양이 생성되었다. 2. 담배생육 환경조건에 따른 duvatrienediols와 cis-abienol의 함량은 30℃ 인공광실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25℃ 인공광실과 자연광실 그리고 18℃ 인공광실은 매우 낮았다. 3. 자연광실에 재배된 연초는 도장에서 담배된 담배보다 duvatrienediols와 cis-abienol의 함량 이 높았다. 4. 개화기 때 엽위별 duvatrienediols와 cis-abienot의 함량은 하위엽이 가장 낮았고 중위엽과 상위엽은 비슷하였다. 5. 강우 전에 채취한 시료는 강우 후 즉시 채취한 시료 보다 duvatrienediols와 cis-abienol의 함양이 현저히 높았다.
        9.
        199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초의 고향품종 육성의 기초결과를 얻기 위하여 향기성분과 관련이 있는 DVTs와 cis-abienol의 유전양상을 조사하였던 바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TLC 방법은 연초 분리집단에서 DVTs와 cis-abienol의 분석 및 이들 성분을 함유한 계통선발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었다. 2. DVTs와 cis-abienol의 유전양상이 단일우성인자에 의하여 지배되었고 서로 독립적으로 유전을 하였다. 3. DVTs오 cis-abienol의 유전양상이 단일우성인자에 의하여 지배됨으로 연초 고향 품종 육성에 있어서 이들 형질의 도입은 쉬울 것으로 생각된다.
        10.
        199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초 종자생산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임성품종과 웅성불임 품종을 공시하여 격리거리 및 이식시기에 따른 자연교잡율을 조사하였다. 1. 임성품종간의 인접재배시 자연교잡율은 평균 1.6%이었고 0.9~2.5%범위로 나타났다. 2. 임성품종과 웅성불임 게통의 인접재배시 자연교잡율은 29%로 임성품종에 비하여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3. 이식시기따른 자연교잡율은 4월20일 이식한 처리구가 5월 5일 및 5월20일 이식한 처리구보다 현저히 높았다. 4. 격리거리에 따른 자연교잡율은 격리거리가 멀수록 낮았고 300m 격리구에서도 자연교잡이 0.8%로 나타났다.
        11.
        199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담배육종에 있어 유용형질이 담배 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 및 간접효과들을 잡종초기세대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선발육종에 대한 기초정보를 얻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험방법은 유전적 특성이 다양한 8개 품종을 공시하여 이면교잡을 하고 양성된 F1 , F2 각 세대별 28개 조합을 Orient 및 Burley 종 각 재배법에 따라 1986년부터 1988년까지 본 연구소 대구시험장에서 수행하였다. 조사항목은 초장, 엽수, 엽장, 엽폭, 개화일수 및 수량 등 6개 농업형질과 nicotine, total nitrogen, protein nitrogen, total volatile base, pet. ether extract 등 6개의 내용성분들로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각 형질들의 수량에 대한 직접효과는 세대나 재배법에 따라 다소의 차이는 있었지만 대개 엽장, 엽폭, 개화일수 및 엽수의 순으로 높았으나 내용성분은 낮았다. 2. 간접효과는 재배법이나 세대에 관계없이 대개 엽장, 개화일수, 그리고 total nitrogen의 형질들이 타형질에 미치는 영향이 컸었다.
        12.
        198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관행의 수확방법 대비 밀식과 증비수건하에서 하위엽을 수확치 않을 때의 실용성을 검사하고, 향끽미종 본래의 품질 특성을 유지하면서 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과정 수확기간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관행대비 밀식증비구에서 수량 및 kg당 가격이 높았고, 하엽 4수(5수) 제거 또는 방치구 경작면에서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하위엽 폐엽에 따른 건조엽의 내용성분은 관행에 비해 밀식증비구가 본엽에서 환원당이 낮고 전질소 단백태질소 함량이 높을 뿐 큰 차이는 없었으며, 밀식증비한 수확방법간에는 KA102, Xanthi Basma 모두 하엽 8매 (10매) 방치구의 상엽에서만 환원당이 다소 낮고 니코틴 및 전질소 함량이 높았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3. 수확기간을 단축한 조기수확구에서 수량 및 1kg당 가격이 저하되고 질소시용 수준은 3.0kg/10a 구에 비해 6.0kg/10a 시용이 수량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kg당 가격은 거의 대등하였다. 4. 건조엽의 내용성분중 당함량은 수확기간별로 30일 수확구에서 높고, 기간이 길어질수록 니코틴 함량은 증가하며, 전질소, 단백태질소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질소증비구내에서 니코틴 및 전질소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 5. 석유에텔 추출물은 40일구를 제외하고 증비시에 함량이 감소하고 하위엽에서 상위엽으로 갈수록 수확이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하의 결과, 향끽미종 수확 및 건조방법은 최대 생장기에 하위엽 4∼5매를 제거하거나 1회 수확엽을 방치한 후, 개화기경 첫 수확을 시작, 성숙진행에 따라 30∼40일간 5회에 걸쳐 하는 방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3일이었고, 정상점에서의 수량은 439kg/10a으로서 FFD에서의 그것들과 비슷하였다. 나. CCD에 의하면 요인수와 수준수가 많아도 처리조합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고, 실험재료의 절적, 작업시간의 단축 및 작업의 간편화를 가져왔다. 다. CCD(각 요인별 5수준)는 FFD(각 3수준)에 비하여 수준수가 많았지만 결과를 도해화하기에 편리하였다. 라. 양 계획법에 있어서 수량의 정상점이 안부점인 것으로 보아 요인의 설정시 각 요인 상호간의 이질성을 고려해야 하며, 처리요인의 지나친 증가도 억제되어야 할 것이다. 마. CCD는 극한수준(± 2, ± 2, ± 2, ± 2, ± 2)의 처리가 없기 때문에 각 요인의 극한수준의 실험영역에 대해서는 적은 정보를 얻었으나. FFD보다는 많은 유익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따라서, CCD는 획기적으로 처리수를 줄였어도 유익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아, 농사시험연구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계획적으로 확인되었다.적으로 확인되었다.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고 다음 성계(150일영이상)에서 35.3% 및 유추(30 일영미만)에서 17.3%의 순이었다. 이중 세균성 및 기생충성 질병은 육성계에서의 검색률이 가장 높았으나, 바이러스성 질병은 육성계 및 성계에서 거의 같은 비율로 높았으며 곰팡이성 질병은 유추에서 가장 높은 검색률을 나타내었다.17) 사료비절감은 생산비의 60∼70%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공동구인 자가배합을 하여 자기실정에 맞는 경영체질로 운영하고 있었다.
        13.
        198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초의 단ㆍ혼파군낙에서 초종조합별 수량성과 각 초종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경합력을 평가하고 그들의 상호관계를 비교하여 이상적인 혼파초지모형의 기초자료 및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오차드그라스, 토올페스큐, 라디노클로버 및 알팔파의 각 단파와 2초종의 혼파조합으로 이루어진 10개의 대형폿트 군락에서 시험을 실시하였다. 경합관계는 지상부와 지하부를 분리하여 건물중으로 평가하였데 그 방법으로서 는 expected yield, aggressivity, relative yield total (RYT) 및 compensation index (CI)와 general combining ability (GCA) 및 specific combining ability(SCA)를 계산하여 비교ㆍ해석하였다. 목초수량에서는 화본과초종인 오차드그라스, 토올페스큐의 각 단파 및 그들의 혼파가 유리하였고 두과초종인 라디노클로버와 알팔파의 단파 및 혼파의 경우에는 불리하였다. 목초의 수량으로 살피본 지상부경합에서 토올페스큐-라디노클로버 혼파조합만이 RYT가 1.05로 유리하였고 단파의 경우보다 토올페스큐가 우점종이었다. 또한 화본과혼파와 두과혼파는 사본과-두과혼파조합보다 우열정도의 차이가 적었고 화본과초종은 두과초종에 대해 우점종이었으며 그 중 오차드그라스가 가장 우점력이 큰 초종으로 냐타딘고 알팔파는 가장 낮은 초종이었다. 한편 혼파의 경우 조합능력을 나타내는 혼생능력에서는 토올페스큐가 가장 켰으며 그 다음이 오차드그라스였고 라디노클로버는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합별 혼생능력은 동일과간혼파조합이 불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본과와 두과가 혼합된 조합이 불리하게 나타났는데 그 중 토올페스큐와 라디노는 혼생능력이 가장 큰 조합이었다. 지하부 경합에서도 지상부와 마찬가지로 토올페스큐-라디노혼파가 RYT가 가장 크고 혼생능력도 큰조합이었으며, 4초종중 오차드그라스가 우점력이 가장 컸고 근부의 혼생능력에서도 지상부와 달리 오차드그라스가 가장 큰 초종이었다.
        14.
        198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옥수수의 밀도를 소(60cm 40cm), 적(60cm 24cm), 밀식(60cm 16cm)으로 심고 초형처리로서 자연초형(남북이랑), 동서향교정(남북이랑), 동서향교정 및 엽각조정(남북이랑), 남북향교정(동서이랑)을 실시하였다. 초형교정은 엽출현이 완료된 뒤 철사가를 옥수수군락에 설치하고 옥수수잎들은 동서향이 되록 유인하여 고정시키고, 엽각조정은 수평에서 80˚ 가 되도록 직입화시켰다. 옥수수의 자연초형은 남북이랑이든 동서이랑이든 관계없이 모든 방위로 고루 분포하였고 약간의 남북향 경향을 보였으나 현저하지 않았고 엽각은 직입~중간엽형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군락내부에서 광투과는 초형을 동서향으로 교정하거나 엽각을 직립화시킴에 따라 초고의 중간높이에서 일평균 광도가 5~10% 가량 향상되었다. 반면 남북향 초형교정에서는 2~10% 정도 낮아졌다. 황숙기의 건물중집적은 밀식시 동서향초형이 자연초형 보다 6% 증가하였으나 남북향초형은 차이가 없었다. 완숙기의 종실수량에서는 동서향 초형교정은 3~11% 증가하였으나, 엽각조정까지 하였을 때에는 소식에서 10% 감소, 적. 밀식에서는 10%, 3%씩 각각 대조구보다 증가하였다. 반면 남북향초형은 차이가 없거나 감수로 나타난다. 초형을 태양의 방위와 고도를 고려하여 변형한다면 밀식에서도 일사광의 군낙내부로 침투를 용이하게 하며 증수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