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三字經』은 중국의 학동 계몽도서로, 내용은 여러 인물과 史實典籍名物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를 주제별로 보면 가정교육 학식 역사 勤學으로 대별된다. 이 중, 마지막 주제인 ‘勤 學’ 부분에서는 학동들이 훌륭한 동량으로 성장하는데 모범으로 삼을만한 역사적 인물들을 학습의 ‘롤 모델’로 제시하고 있다. 이들 중에는 이미 성현이 되었거나 벼슬아치가 되었으면 서도 배움의 끈을 놓지 않고 열심히 공부했던 인물 이야기도 있고, 가난을 극복한 이야기, 神童 이야기를 비롯하여 조기학습과 만학, 성별을 무시하고 능력을 보여주었던 여성 이야기도 있으며, 열악한 환경에서도 훌륭한 인물로 성공한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도 있다. 본고는 勤學 을 통해 성공한 롤 모델을 여섯 종류의 주제로 나눠 그 특징과 의미를 살피고 있다. 오늘날 아동교육은 날로 발전을 거듭해 가고 있지만, 고전을 통한 인성교육 및 진로지도는 상대적으 로 미미한 현실이다. 이런 현실에서 『三字經』이 소개하고 있는 학습동기 유발을 위한 인물과 고사 유형들을 오늘날에도 적절하게 ‘스토리텔링’하여, 아동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면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데 크게 일조할 것으로 사료된다.
        5,800원
        2.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弟子規』는 기초한자 교육 및 인성교육을 위한 童蒙書다. 그 중에서도 한자 학습보다는 윤 리도덕교육에 더 큰 목적을 둔 책이라 할 수 있다. 책은 “總敍”를 포함하여 총 여덟 항목으 로 구성되어 있지만, 주제는 셋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는 부모에 대한 효도와 長者에 대한 공경, 둘째는 사회생활과 처세의 방법, 셋째는 배움과 실천에 관한 내용이다. 대부분 孔子를 대표로 하는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기본 도리와 처세법을 자세히 설명해 놓고 있다. 내용 중에는 21세기 현실생활과는 다소 부합되지 않는 낡은 사상과 행동지침이 포함되 어 있어 논란이 되기도 하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전통문화 창달과 인성교육에 유익한 교재라고 판단한 중국 교육계에서는 현재 『弟子規』 閱讀과 교육을 활발하게 전개시키고 있다. 중국 의 ‘國學’ 열기와 함께 인성교재의 핵심으로 활용하고 있는 『弟子規』는 개인주의와 황금만능 주의가 팽배한 현대사회의 아동들에게 전통문화를 이해시키고 바람직한 가치관과 인간성을 회복시키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런 현상에 대한 치밀한 분석은 우리나라에 서 『四字小學』 등과 같은 교재로 한자 및 인성교육을 시키는데 있어서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5,100원
        3.
        201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女論語≫是由唐代宋若莘和宋若昭姐妹所纂的一部女性訓誡書籍。宋 若莘根據儒教經典≪論語≫來作了≪女論語≫十章,後來宋若昭注解訂正了 十二章,這就是現存的≪女論語≫。 作者宋氏姐妹是獨身女性。根據≪舊唐書≫卷五二≪后妃傳≫和≪新唐 書≫卷七七≪后妃傳≫,她們是書香門第,從小受到父親良好的教育之後, 爲了揚名顯父,不結婚入宮作為學士先生。她们入宫之前寫成≪女論語≫。 到了明末清初,王相把中国封建社會四種歷代代表性女性教育書(東漢的≪ 女誡≫,唐代的≪女論語≫,明代的≪內訓≫,≪女範捷錄≫)編輯在一 本,起名為≪女四書≫。 ≪女論語≫全书共12章:〈立身〉、〈學作〉、〈學禮〉、〈早起〉、 〈事父母〉、〈事舅姑〉、〈事夫〉、〈訓男女〉、〈管家〉、〈待客〉、〈和 柔〉、〈守節〉,其核心内容主要包括:女性自身的修養,跟家人親戚鄰居 之間的人人際關係和處世,家庭裏的家事和責任。 全書的內容主要通過對比形式來強調著婦女要堅持的態度,這種表現手 法除了第九章和第十二章以外,大部份都適用這種對比方式。還有書的特徵 之一是先提示婦女們該遵守的賢婦的事項,然後告訴我們婦女“莫學”的內 容。特別把懶婦、愚婦、蠢婦、潑婦等的特徵來,提醒著中國古代賢婦女性的 生活態度。 這種女性教導教材的出現,跟中國悠久的封建社會的傳統認識和文化有 密切的關係。其核心有像“乾剛坤柔”、“男陽女陰”的傳統宇宙觀和把女子不 太重視的儒學思想。向後對≪女論語≫的多樣的研究結果,讓我們提醒男女 平等的意義和價值。
        5,800원
        4.
        200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400원
        5.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700원
        6.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에는 고대로부터 관잠이 많았다. 이는 지방관이 관할 지역을 잘 다스릴 수 있도록 만들어진 자료를 말한다. 역대 관잠들 중 원대 장양호 의 삼사충고를 가장 대표적인 작품으로 꼽는다. 장양호는 관직생활 을 하면서 경험했던 풍부한 지식과 정보들을 책으로 남겨 후대에 큰 영향을 주었다. 현령으로 있을 때의 경험과 문제점들을 지적한 목민충고, 감찰어사로 있을 때의 경험을 종합한 풍헌충고, 그리고 중서라 는 중앙관리로 있을 때 직면했던 여러 현상과 문제점들을 분석한 묘당 충고가 곧 그것이다. 후대에 와서 이들 세 권을 합본하여 삼사충고라 하고 있다. 세 권의 내용은 각각 후대 ‘지방 관리’와 ‘감찰관’과 ‘중앙관리’들이 지켜야할 장양호의 ‘충고’를 적은 것들이다. 본고에서의 분석 대상은 목민충고로, 이 책의 내용은 크게 충정・인애・청렴・공평・근로 다섯 가지로 요약된다. 첫 번째 충정사상은 애국의 기본 도리와 윗 사람을 섬기는 공직자의 자세를 말한다. 국사에 정성을 다하지 않으면 봉록이 헛되어 하늘에 죄를 짓는 일이라고 언급하고, 아울러 군주 에 대한 충성과 관료사회 속에서의 위계질서 유지 및 소통을 강조하고 있다. 두 번째 인애사상은 백성들이 편안하게 살 수 있도록 사랑을 실천 하는 사상이다. 이는 목민충고 중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 내용으로, 공자나 맹자가 강조했던 민본사상과 맥락을 같이 하고 있다. 장양호의 인애사상 속에는 먼저 백성을 중시하는 기본 이념을 바탕으 로 하되, 가난한 백성을 구휼하고, 백성을 부유하게 만드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세 번째 청렴사상은 자기 단속을 엄격하게 해서 깨끗한 공직자가 되어야 한다는 사상이다. 이는 관리의 가치관이나 인생관이 바르지 못하면 쉽게 부정부패의 유혹에 빠질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장양호는 특별히 관리들의 청렴사상을 중요하게 보았다. 네 번째는 공 평사상으로, 공정하고 올바른 법을 적용하여 백성들이 불이익을 당하 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사상이다. 법의 적용이 공평하지 못하면 민심 이반은 말할 것도 없고, 건강한 사회 기강과 발전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장양호는 부하 관원이든 백성이든 모두에게 공평하 고 무사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근로사상이다. 이는 나라 의 통치자나 관리들이 솔선수범하고 부지런해야 백성들이 부지런히 일하고 행복할 수 있다는 사상이다. 즉, 관리란 백성의 행복을 위해 수고를 아끼지 않아야 한다는 ‘공복’ 개념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내용들은 다양한 수법을 통해 강조되고 있다. 고대 성현 의 가르침이나, 선배들의 충고, 그리고 역대 성군의 치적이나 역사적 인물들이 남긴 교훈, 혹은 주위에서 보고 들은 미담 등등을 자신의 현직 경험과 느낌 등을 종합하여 국가 관리들이 꼭 참고해야 할 정무 지침서가 되도록 하였다. 시대가 변하고 문화와 환경이 달라진 현대에 와서 이상의 내용들은 진부하고 무가치한 ‘화석’처럼 여겨질 수도 있다. 하지만 어느 국가나 사회든 피해갈 수 없는 이치 중의 하나는 청렴한 조직과 공직 기강을 통해 백성들이 행복하도록 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이런 정신은 예나 지금이나 대동소이하기에 목민충고가 오늘 우리에게 강조하는 메시 지는 결코 헛되지 않다.
        7.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하기방은 주로 1930년과 1940년대에 활동하였던 중국 시인이다. 그에게는 『漢園集』(공동창작)과 『預言』 및 『夜歌』 세 권의 시집이 있다. 이 중 『夜歌』는 작가의 이전 시가와는 경향이 다른 변화된 사상과 시가의 성숙된 면모를 잘 보여주고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하기방의 시가는 일반적으로 발동기(1928-1931), 환상기(1931-1932), 고민기(1933-1935), 전변기(1936-1937), 성숙기(1938년 가을 이후)라는 다섯 단계로 요약된다. 본문에서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시집 『夜歌』는 바로 성숙기에 해당되는 것으로, 여기에는 26수가 수록되어 있다. 이 중 한 수 외의 25수는 모두 延安에서 지은 것들이다. 1940년을 전후한 중국의 延安은 정치적인 측면에서 중요한 상징성을 가진다. 혁명의 근거지로, 장래 중국의 희망을 대표하는 곳이었다. 하기방은 이 때 이 혁명의 戰場에서 이전의 자아를 버리고 새로운 사상으로 시를 쓰며 삶을 추구하였던 인물이다. 작가가 이전에 쓴 『預言』에서는 주로 개인·애정·몽상 등을 노래한 것들이 많았다. 이는 작가의 복잡한 심사와 주위 환경 등으로 인한 결과였다. 그러나 점차 사회에 대한 폭넓은 경험과 사상의 변화로, 문예관은 바뀌게 되었고, 이에 과거의 삶과 사상과는 결별을 하고 혁명으로 접근해 갔다. 그 접근의 결과물이 『夜歌』의 창작이다. 작가는 시에서 새로운 생활과 광명을 찬미하고 침략자를 규탄하고 앞으로의 희망을 갈망하였다. 물론 이전의 자아를 완전히 탈피하지 못하여 지식인의 나약한 모습과 방황의 흔적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시가를 가지고 민족 해방전쟁을 위해 봉사하겠다는 의지는 충분히 실천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문예가 현실사회에 아무런 기능도 하지 못한다고 인식했던 작가가 “사람이라면 맹목적으로 살아서도 안 되고, 그렇게 살 수도 없으며, 이기적으로 살아서는 안 된다.”는 인식과 함께, 이를 구체적으로 실천에 옮긴 것이 오늘의 『夜歌』다.
        8.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중국에는 고대로부터 󰡔千字文󰡕이나 󰡔三字經󰡕과 같은 童蒙書들이 많이 편찬 되었다. 이런 교재들은 어린 학동들에게 識字 및 상식교육을 시킬 때 필수적으 로 사용되었던 교재들이다. 중국에서 현존하는 동몽서 중 가장 일찍 나왔던 책 은 󰡔急就篇󰡕이다. 그러나 이 보다 앞서 중국에는 최초의 학생규칙이었던 「弟子 職」이 있었는데, 이는 齊나라 稷下學宮의 학생 관리 규칙이기도 하지만, 훗날 동몽서 편찬에 영향을 주게 되는 ‘동몽서 雛形’이라고도 할 수 있다. 「제자직」은 管仲이 지은 것으로, 제나라 桓公 때 세워진 직하학궁의 학생 생 활수칙이다. 직하학궁은 제나라 정권이 국가발전과 정권을 공고하게 하기 위하 여, 인재를 불러 모아 그들에게 많은 혜택을 주면서 학술연구와 학생교육을 담 당하게 하였던 교육기관이었다. 이 직하학궁 내의 각 학파 賢士들은 백가쟁명 의 구도 속에서 학생들을 지도 관리해야 했고, 이러한 배경에서 「제자직」이 나 오게 되었다. 「제자직」에서는 “尊師” “友愛” 정신과 道德修養, 학습활동과 생활습관 등 학 생들이 반드시 지켜야할 기본적인 준칙 등을 체계적으로 규정해 놓고 있다. 그 내용은 약 열 가지의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형식은 기억하기 쉽도록 거의 전 부가 1구 4언의 운문으로 되어 있다. 「제자직」의 기본 정신은 곧 스승을 존중하고 법도를 중시하는 “尊師重道”사 상이다. 이러한 사상은 내용 중의 “謙恭”과 “虛心”의 태도에서 잘 나타나 있다. 이 사상은 학생이 갖추어야할 훌륭한 학습태도이자 덕성을 길러 훌륭한 인품의 소유자가 되는 과정이기도 하지만, 결국은 “尊師” “重道”의 가치 관념을 체현 하는 방법인 것이다. 「제자직」에서의 “尊師” “重道”의 교육철학은 공허하게 추 상적・관념적인 구호에 그치지 않고 이것이 구체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실천이 되도록 하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 “尊師” 정신은 정상적인 교학활동을 위한 전 제조건이 된다는 점에서, 「제자직」에서는 지극할 정도로 선생님에 대한 “恭敬” 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중국의 “君師父一體”라는 전통적 관념이 그대로 적용 되고 있는 현상이기도 하다. 「弟子職」이 󰡔漢書󰡕 「藝文志」 중에서도 孝經類에 분류되어 있는 그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제자직」 이후에 나온 󰡔千字文󰡕・󰡔百家姓󰡕・󰡔三字經󰡕・󰡔弟子規󰡕 등과 같은 동몽서들이 모두 다 「제자직」처럼 네 글자 형식으로 된 것은 아니지만, 그 격식 과 정신은 모두 「제자직」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제자직」 에서 교육내용을 學規와 통일을 시킨 編寫 원칙은 곧 훗날 동몽서들이 아동의 심리 특징에 맞도록 하고, 지식교육과 도덕 배양을 하나로 융합시켜 이상적인 교육효과를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데 크게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9.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역사적 事實에 기원을 두고 있는 王昭君 故事는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인 들에 의해 수없이 창작 소재가 되어 왔다. 元代 馬致遠의 「漢宮秋」는 장르를 불 문하고 王昭君을 소재로 한 작품들 중에서 가장 經典的인 가치를 가진다. 따라 서 이후 敍事文學 특히 戱曲作品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쳤다. 「漢宮秋」 이후 다양한 재창조가 이루어졌으나, 王昭君 素材는 시대의 변모에 따라 작가의 시대정신에 따라 항상 또 다른 모습으로 변화 발전되어 왔다는 점 이 특징이다. 이 중, 20세기에 와서 郭沫若과 曹禺에 의해 각각 창작된 同名 史 劇 「王昭君」도 이러한 특징을 가진 대표적인 예다. 「漢宮秋」는 元代의 첨예한 민족 모순을 바탕으로 망국의 한과 민족의 절개 등 이 표현된 작품이었다면, 郭沫若의 「王昭君」은 중국의 신문화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던 1920년대를 배경으로 여성해방과 여권의식의 시대성이 반영된 작품 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1970년대 曹禺의 「王昭君」은 그 당시의 정치현실을 반영하여 ‘민족단결’을 강조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는데, 특별히 조우의 작품은 당시 정치 지도자 周恩來의 ‘지시’에 의해 수동적으로 창작되었다는 점에서 다 른 작품과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조우의 작품은 정치적 도구로 활용하기 위한 창작이었다고 할 수 있다. 曹禺는 작품에서 ‘민족 단결’이라는 주제를 강하게 부각시키기 위하여 기존 王昭君 형상 및 故事를 몇 가지 측면에서 變容하여 그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 다. 첫째, 王昭君의 出塞 동기를 자신의 정치 이상에 따라 自願하는 것으로 變 容하였다. 둘째, 元帝와 單于를 明君化하여 긍정적인 모습을 부각시켰다. 셋째, 出塞 후 王昭君의 신분과 생활내용에 변화를 주고, 胡地에서의 생활 내용을 작 품의 절반 이상으로 안배하였다. 넷째, 和親 이후 漢과 匈奴간의 화목함을 구체 화하였다. 작품에 반영된 曹禺의 시대정신은 일면 타인에 의해 강요된 측면이 있기는 하 지만, 어쨌든 기존 작품에서 대부분 눈물 흘리며 가련한 모습을 보였던 王昭君 을 웃음 가득한 여성으로, 떠밀려 出塞하는 비극적 인물이 아닌 자신의 이상을 따라 용감하게 나아가는 여성 영웅으로 변화시켜, 20세기 다민족 국가 중국이 걸어야할 ‘민족단결’의 시대현실을 구체적으로 반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