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0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때죽나무의 발근 향상을 위한 IBA와 붕소의 적정 농도, 침지시간, 그리고 붕소와 IBA의 혼용처리 효과 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때죽나무 반숙지삽수의 발근율과 발근수는 IBA 7,000mg·L-1 순간침지, IBA 100mg·L-1+boron 20mg·L-1 과 IBA 100mg·L-1+boron 60mg·L-1 혼용처리에서 향상되었으며 발근율, 발근수 그리고 생체중은 IBA단 일처리보다 붕소와 IBA의 혼용처리에서 높았다. IBA 단일처리에서 적정 농도는 100mg ·L-1과 200mg·L-1 사이였으며, 적정 침지시간은 3시간 이었다. 이에 저농 도의 IBA와 붕소의 혼용처리는 IBA 7,000mg ·L-1의 고농도처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photosynthetic parameters, chlorophyll content, chlorophyll fluorescence,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Aruncus dioicus var. kamtschaticus seedlings under different shading treatments. Methods and Results: The shading treatment was regulated with the shading level (non-shaded, 35%, 55%, and 75% shading). Photosynthetic activities, such as net photosynthetic rate, stomatal conductance, stomatal transpiration rate, and performance index on absorption basis (PIABS)were the highest under 35% shading (4.36 μ㏖ CO2·m−2·s−1, 54.2 m㏖ H2O·m2·s−1, 0.66 m㏖ H2O·m−2·s−1, and 1.3, respectively), and the lowest under 75% shading. This implies that the decrease in net photosynthetic rate may be due to an inability to regulate water and CO2 exchanged through the stomata. Thechlorophylla, b, and a + b contents were increased with elevating shading level and the chlorophyll a/b ratio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It was found that the dry weight (leaf, shoot, and whole) was the highest (1.14 g, 0.49 g, and 2.31 g, respectively) under 35% shading and the t/R ratio was the highest under 75% shading. Conclusions: It is concluded that 75% shading exhibited a strong reduction of photosynthetic activity, and 35% shading showed the best conditions for the early growth and cultivation of A. dioicus var. kamtschaticus.
        3.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도시녹화 및 정원에 이용되는 조경수목의 효율적인 재배 및 규격묘 생산을 위해서는 토양, 양분, 관수체계 등 각 수목에 적합한 재배 시스템 이 요구된다. 본 시험에서는 시비 처리 4수준(Con., 0.5, 1.0, 2.0g/L)에 따른 낙상홍의 수고 및 근원경 생장량, 묘목의 건전도(H/D율), 엽록 소 함량(SPAD Value) 등 생장 특성을 조사·분석하여 최소 시비량 대비 최대 생장 효과를 나타낸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적정 시비량을 구 명하고자 했다. 낙상홍의 수고 생장량은 시비 처리 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5), 대조구를 제외한 0.5, 1.0, 2.0g/L 시험구 모두 우수한 경향을 보였다. 근원경 생장량은 시비 처리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p>0.05), 0.5g/L와 2.0g/L 처리구가 무처리구 에 비해 3배가량 높게 나타났다. 묘목의 건전도를 판단할 수 있는 H/D율은 처리 수준 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p>0.05), 0.5g/L 처리구의 H/D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높은 H/D율은 바람, 가뭄, 서리 등 노출에 의한 묘목의 손상이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어 (Roller, 1977), H/D율이 낮은 0.5g/L처리구가 상대적으로 건전한 것으로 사료된다. SPAD 값은 초기, 중기, 후기 각 기간 마다 측정되었으 며, 각 기간의 SPAD 값 모두 시비 수준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시비수준과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본 시험 시비 처리구의 SPAD 측정값과 Kang (2003), Kang et al. (2010) 등 이 조사한 SPAD 측정값을 비교하여 살펴보았을 때 무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시비 처리구의 SPAD 값이 높은 범주 안에 있다고 사료된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면 낙상홍의 컨테이너 재배 시, 최소 시비량 대비 최대 생장 효과를 나타낸 처리구는 0.5g/L이며, 이는 환경과 경제 성을 고려하였을 때 적정한 시비량인 것으로 판단된다.
        4.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ccording to survey for development of container to producers who carry out container cultivation, the most important thing is ‘Realization of cultivation techniques (Prune roots, Water saving, Heat conservation)’ as the basis for the design of container and this survey showed that the best one is ‘small and medium-sized container of less than 50L’ as the size of container suitable for cultivation. To investigate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plants according to the type of container, we classified the container into three types and then planted public plants Pinus densiflora, Cornus kousa, Chionanthus retusa in 12types of containers repeatedly three times. After Comparison of the growth of the Root-collar diameter, Rib-type is showed the highest growth of the Root-collar diameter in case of Pot-type. So, active effects of prune roots impact on positive the growth of plants. Grow inside the ground-type is showed the highest in case of Growing Bag-type and Root skirt-type is showed the highest in case of Bag in pot-type. After, In subsequent studies, based on this study, produce development prototype of design container and test them. and then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o the farmhouse.
        5.
        2016.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media kinds and container forms for urban agriculture on the growth of herbaceous and woody plants that could be used in construction of urban greenery and landscape gardens. The main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st efficient culture soil and container form for four herbaceous and one woody plant species. In this study, five different species were examined on three different media kinds [horticultural substrate (HS), decomposed granite (DG), and horticultural substrate + decomposed granite (HS + DG)] with two different container forms [vinyl pot (Ø7.5 cm) and plug tray (20 cell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H values of media of HS and HS + DG were 5.8 and 5.9, respectively while DG was 6.5. HS had the highest electrical conductivity with 0.90 dS・m -1 while HS + DG and DG had 0.39 and 0.08 dS・m -1 , respectively. Especially, most of the species experimented on HS tended to have the highest growth rate in the plant height, the root length, the number of leaves and fresh biomass weight compared to other soil kinds (P<0.05). The growth rate on HS + DG was much higher than DG. Therefore, our results support that HS + DG could be possible to replace with HS. In addition, there had no differences on growth rates between container forms (P>0.05). The use of plug tray could be more applicable than the use of vinyl pot containers, considering growth rates of plants and convenient of shipment on plant production.
        11.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조경용 식물소재 재배에 관한 매뉴얼 마련을 위해 설 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실제 조경식물을 생산하는 농가의 경영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자료를 조사하고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를 분석 하였다. 본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경식물을 생산하는데 있어서 주로 참고하는 자료는 인 터넷 검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생산자들이 조경식물을 재 배하는데 참고할 수 있는 ‘조경식물 생산기술과 유통 매뉴얼’의 부 재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조경식물 생산기술 참고 자료 중 종자준비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가장 부족한 항목은 발아처 리방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종자준비와 관련된 정보가 부족하 다고 생각하는 이유로는 참고자료에 제시된 내용들이 실제 생산현 장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발아처리방법은 조 경식물별로 특성이 매우 다양하여 종자처리방법을 달리해야 한다. 따라서 조경식물별 종자의 특성에 적합한 실제적인 종자처리방법 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번식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가장 부 족한 항목은 온도·습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번식 관련 정보가 부 족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실제 생산현장에서 적용한 기술과 참고 자료의 기술이 달랐다고 대다수가 응답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재배환경에 맞는 적합한 기술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넷 째, 정식 및 관리에 있어서 기술적으로 가장 부족한 항목은 병충해 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정식 및 관리 관련 정보가 부족하 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정식에 관한 자료 없음이 가장 높게 나타났 다. 재배농가에서 정식과 관리는 수요자에게 유통되기 전 최적의 식물상태를 보여주어야 하는 단계로 많은 생산자들이 세심하게 신 경 쓰는 중요한 과정이다. 따라서 정식에 관한 자료가 부족한 만큼 자세한 정보가 제시된 매뉴얼이 제공되어야 한다. 다섯째, 유통부 문에 대한 가장 부족한 항목은 유통경로가 가장 높았으며, 유통 관 련 정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유통에 관한 자료 없음이 가장 높았다. 특히 조경식물은 판매장 등 유통시설이 부족하고 유 통과 관련된 자료와 문헌이 미흡하여 조경산업의 발전을 더디게 하 는 요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판매장 등 유통시설을 확충하여 유통 체계를 확립하고 유통시기, 포장방식, 포장규격 등에 관한 표준화 된 매뉴얼이 개발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설문조사를 통해 조경식물 재배에 실제 농가들이 참고하는 자료의 이용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향후 설문조 사에서 조경용 소재를 생산하는 농가의 경영자들이 부족한 부분이 라고 지적한 항목들에 대해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실제적인 ‘조경용 식물소재(조경식물) 생산기술과 유통 매뉴얼’이 개발되어야 할 것 이다.
        12.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공동주택 옥외공간에 도입된 이용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옥외공간 이용 활성화를 높일 수 있는 이용프로그램 도입 및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370개소 공동주택 관리소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1.공동주택 옥외공간 이용프로그램은 총 조사대상지역의 16.5%가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 단지규모, 준공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두 옥외공간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 것으로 옥외공간 넓이의 증가, 설계요소의 다양성, 공익적 기능의 강화 등이 옥외공간에서의 이용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2.공동주택 옥외공간에서 현재 실시하고 있는 이용프로그램은 운영이 쉬운 체육강습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민의 선호도가 높은 축제, 장터, 정원관리, 텃밭가꾸기도 높게 나타났다. 운영방식은 외주보다 주민이 자체적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었다. 따라서 향후 프로그램 도입시 운영하기 쉽고 주민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주민과 관리자가 쉽게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매뉴얼을 제작 보급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3.이용프로그램 참여 연령층은 성인과 노인이 대부분으로 모든 연령층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연령별 요구에 맞는 프로그램을 모두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프로그램 진행시 활용되는 옥외공간은 대부분 커뮤니티 공간이었는데 최근 커뮤니티 공간의 계획 및 설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앞으로 이들 공간을 활용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이용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있어 문제점으로는 낮은 참여도가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고 이용프로그램이 도입되지 않는 이유로도 낮은 참여도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용프로그램의 도입과 원활한 진행을 위해서는 주민 참여율이 관건이며, 이를 위해 주민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홍보를 하고 아파트 자생단체와 커뮤니티 전문가 제도들을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5.공동주택 주민이 좋아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용프로그램은 바자회가 가장 많았고 요가, 꽃밭가꾸기, 영화상영, 음악회, 텃밭가꾸기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주민 선호도가 높은 프로그램들은 프로그램 개발시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며 특히 영화상영이나 음악회와 같은 문화예술프로그램은 선호도는 높으나 현재 공동주택 옥외공간에서 실시하고 있는 빈도는 낮아 앞으로 주민 재능 기부 등의 전문인력 도입시 활발한 참여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이상과 같이 공동주택 옥외공간 이용프로그램 도입현황 및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향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주민을 상대로 프로그램 만족도 및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주민의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14.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국가브랜드 이미지 향상을 위해 한국적 색채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 전통색채와 한국인의 색채의식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한국 전통색과 색채의식은 자연환경적 요인에 의한 색채이며 자연에서 색을 얻어 구현되었다. 이에 우리나라의 식물자원을 조사하고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진행되었고, 식물자원 중에서도 오래전부터 우리나라 자연환경에 적응해 자라온 자생화종 446종의 색채에서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자생화종 446종의 색채를 색상, 명도, 채도로 나누어 조사한 결과 10개의 색군집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빨간색은 34종으로 7.6%를, 주황색은 8종으로 1.8%, 노란색은 88종으로 19.6%, 파란색은 22종으로 5.1%, 연보라색은 32종으로 7.3%, 분홍색은 18종으로 4%, 보라색은 28종으로 6.2%, 자주색은 45종으로 14.2%, 흰색은 159종으로 35.5%, 기타 녹색은 11종으로 2.6%로 분류되었다. 조사된 자생화종의 색채를 먼셀분포표를 통해 색채의 분포와 색채이미지스케일을 통해 색채이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빨간색과 주황색은 중·저명도의 중채도에 분포하였으며, 노란색은 고명도 중채도의 분포를 나타냈다. 파란색~자주색의 색군집은 2이상~10미만의 다양한 명도와 채도에 분포되어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색채이미지는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으나 특히 부드러운 이미지 성향의 ‘온화한’ ‘내추럴한’, ‘맑은’, ‘경쾌한’ 이미지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고유의 역사가 담긴 정체성 있는 자연색채로서 조화로운 온화한 한국색채의 특성을 만들고 색채의식적인 면에 영향을 주었으리라 생각한다. 이러한 고유 자생화종에 대한 가치를 높이고, 자연의 정체성을 부각할 수 있는 활용방안에 대한 2차적 연구를 기대한다.
        1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재 공동주택에서 조경 식재 유지관리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190개소 공동주택 관리소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연간관리비용이 500만원미만인 곳이 141개소로 75.4%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관리 비용의 부족으로 인해 조경유지관리회사에 위탁관리를 맡기지 못하거나 일부 관리 공종만 위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대부분 관리사무소에서 직접 유지관리를 실시하고 있어 모든 공종에 대한 충분한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관리비용은 관리의 질에 가장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요인이나, 관리비용을 늘리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다. 그러나 최근 조경에 대한 주민의식 향상에 따라 조경관리비용의 필요성 및 타당성을 알리고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며, 주민들을 대상으로 조경관리에 지불할 수 있는 관리비용을 설문조사 등을 통해 알아보고 적정한 관리비용을 산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74.7%에 해당하는 공동주택이 관리사무소에서 직접 관리를 실시하고 있었으나, 83%에 달하는 대부분이 조경 비전문가로서 전문적인 관리를 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관리사무소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조경 전문 과정을 통해 조경 관리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조경관리 전문가의 양성이 필요하다. 전체 공동주택 중 매뉴얼을 보유하고 있는 곳은 72곳으로 37.9%에 그치고 있었으며, 매뉴얼의 내용부족 및 불명확한 기준과 표현 등으로 만족도 또한 높지 않게 나타났다. 조경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매뉴얼을 통한 유지관리가 가능하도록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는 쉽고 자세한 설명의 매뉴얼 제작 및 보급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상과 같이 공동주택 조경 관리에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앞으로 각 공종별 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18.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에서는 화훼의 색채 이미지를 이용한 화단적용 가이드라인 개발에 관한 자료를 얻고자 화단용 유통화훼 285종의 색채 및 색채이미지스케일에 의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색상은 Red 54종, Yellowred 13종, Yellow 40종, Blue 8종, LightPurple 9종, Pink 31종, Purple 15종, Redpurple 40종, White 65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285종의 화훼 색채를 색채이미지스케일에 대입한 결과 경쾌하고 화려한 이미지를 갖는 것은 130종, 은은한, 온화한, 맑은, 자연적인 이미지에 해당되는 것은 122종, 모던한, 혁신적인 이미지를 갖는 것은 15종, 고상하고 점잖은 이미지를 갖는 것은 18종이었다. 전체 285종의 화훼는 딱딱한 이미지 보다는 부드러운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정적이면서도 동적인 양쪽의 이미지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화훼 종류별에 따라 구명된 색채 이미지는 화단 조성시 표현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맞게 적용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