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가정방문 개별 작업중심회상치료와 센터기반 개별 작업중심회상치료가 지역사회 경증치매노인 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randomized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를 적용하여 충청지역의 치매안심센터에 등록된 지역사회 거주 경증치매노인 10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5명, 대조군 5명으로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가정방문 개별 작업중심회상치료, 대조군은 센터기반 개별 작업중심회상 치료를 실시하였으며, 각 중재는 총 10회기로 주 1회, 회기당 60분으로 구성되었다. 평가도구는 인지기능 평가를 위한 알렌인지수준판별검사(Allen Cognitive Level Screen, ACLS)와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기 위한 노인일상활동평가-복합(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을 사용하였다. 결과: 집단 내 전후 비교량 비교 시 ACLS는 실험군에서만 점수의 차이가 유의미하였고(p < 0.05), S-IADL은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 0.05). 집단 간 변화량 비교 시 ACLS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였고(p < 0.05), S-IADL에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p > 0.05). 결론: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거주 경증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가정방문 개별 작업중심회상치료를 적용하여 인지기능 향상에 대한 단기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예비연구는 국내에서 앞으로 시행될 가정방문 인지프로 그램의 근거와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임상적인 의미가 있다.
        4,6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집행기능 장애에 대한 메타인지중재 효과를 연구한 무작위 임상대조군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연구를 실시하여 중재 내용을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최신의 근거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검색 엔진으로 PubMed, Excerpta Medica Database(EMBASE), Cumulated Index in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CINAHL), 한국학술지인용색인(Korea Citation Index; KCI),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한국교육학술정보원(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를 사용하여 2015년 1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출판된 국내ㆍ외 문헌 을 검색하였다. PRISMA checklist에 따라 문헌을 선택하여 최종적으로 7편의 문헌을 분석하였고, PICOS 방식을 사용하여 결과를 제시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헌은 PEDro scale을 사용하여 연구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 였다. 결과 : 검색된 611편의 문헌 중 7편(n = 347)이 최종적으로 선정되었고, 연구의 질적 수준은 7편 모두 ‘좋음’ 이었다. 집행기능과 일상생활활동 및 참여 평가에서 중재 이후 그룹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던 중재는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Error-Based Learning이었다. 결론 : 본 연구는 후천적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메타인지중재 연구들 중, 잘 설계된 무작위임상대조 군연구를 선정하고 분석하여 중재에 대한 체계적 문헌연구의 근거수준을 높였다는 점에서 임상적인 의 미가 있다. 그러므로 후천성 뇌손상 환자의 집행기능 장애를 다루기 위한 메타인지중재를 제공하는 과정 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700원
        3.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직업재활 훈련 실무자를 대상으로 훈련생들의 직업 수행을 돕기 위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인지훈련 영역 중 가장 필요한 인지요소를 조사하기 위함이었다. 또한 향후 장애인 직업능력 강화를 위한 인지재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내 장애인 직업훈련 및 지원 사업을 담당하는 전문가들 98명을 대상으로 인지재활 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식과 직업재활에서 집중적으로 훈련이 필요한 인지 요소를 조사하고 인지재활이 필요한 장애유형을 알아보고자 설문 조사지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결과 : 설문응답자의 83.7%가 인지재활을 들어보았고 50.0% 정도가 인지재활을 시도해 보았으며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는 5점 척도 중 평균 3.61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인지 요소 중 훈련생들에게 더 집중적으로 제공해야 할 인지 훈련요소는‘주의집중’‘, 상황인식과상황판단’‘, 문제해결능력’‘, 지시에따라수행하기’순으로조사되었다. 결론 : 국내 직업재활 훈련 현장에서 인지재활에 대한 실제적인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직업재활을 지지하는 인지재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위한 기초자료 조사와 이를 담당하는 작업치료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는데 의의가 있다.
        4,600원
        4.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의 신경생물학적 영향을 신경과학적 연구들을 바탕으로 알아보고 치료적 작업의 효과적인 임상 적용에 대한 신경학적 근거들을 제시하는 것에 있다. 작업은 신경계 작업치료에서 치료적 매개체로 사용되어 신경학적 기능 회복을 촉진하고 대상자들의 작업참여와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특히 자연스러운 환경에서내적 동기에 의해 자발적으로 수행된 작업은 신경가소성을 도와주는 신경화학물질의 발현을 촉진하여 학습과 기억을 향상시킨다. 치료적 작업은 경험-의존 가소성을 통해 신경계의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 적절한 작업적 활동을 말한다. 경험-의존 가소성에 의해 어떠한 작업을 경험했느냐에 따라 신경계의 변화의 특성이 달라지는데 동물 모델 연구와 임상 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신경병변 모델에서 신경학적 호전과 수행기술의 향상이 보고되었다. 치료적 작업을 임상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경험-의존 가소성을 촉진 할 수 있는 요소들을 포함해야한다. 경험-의존 가소성을 촉진할 수 있는 작업은 목적이 명확하고 내적 동기를 유발하는 과제 지향적 활동으로 실제 활동과 매우 유사하여야 하고, 목표로 하는 수행기술에 특성화 되어 있어야하며, 반복과 강도를 고려하여 적용되어야한다.
        4,600원
        5.
        2011.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장애인을 대상으로 자가운전에 대한 운전 욕구와 필요성을 알아보고 장애인들의 운전재활 전문가와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여 국내 장애인 운전재활 서비스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재활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인 11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에 적절한 응답을 할 수 있는 인지수준을 가진 사람에 한하여 외래, 입원의 구분 없이 시행되었다. 재활병원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직접 면담 또는 전화로 연구 협조에 대한 요청을 하였고, 이에 대해 동의한 경우에 한하여 우편이나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발송하였다. 설문지는 장애인 자신이 직접 작성할 수 있도록 하였고, 설문지는 일반적인 사항과 자가운전에 대한 욕구, 필요성에 관한 19문항으로 구성되었고 각 문항은 4점 척도로 제시되었다. 결과 : 장애인들은 스스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동시에 안전을 위한 운전 제한도 필요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운전재활 프로그램 및 차량개조에 대한 필요성과 욕구가 높았고, 주요 운전재활요원으로 작업치료사와 운전기능강사를 선택하였다. 결론 : 재활 임상 현장에서 전문가에 의한 운전재활의 시행은 장애인들의 안전운전을 위해 시급한 과제이다. 운전재활 전문요원으로는 환자의 신체적, 인지적 재활 전문가이자 보조 공학 전문가인 작업치료사에 의해 시행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 된다.
        4,000원
        6.
        200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인지재활의 가정환경 프로그램 모델을 소개하고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2005년 6월부터 12월까지 발병 후 6개월 이상 된 뇌졸중 환자로 재활치료 기관에서 정기적인 인지재활치료를 받지 않은 환자 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정환경 인지재활 프로그램은 전반적인 행동지침, 체계적 인지훈련 지침서, 고안된 인지활동, 독립적 일상생활활동 참여의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가정환경 프로그램은 가정에서 선별된 가족 구성원과 협력하여 전문치료사 2명이 체계적인 모니터와 면담을 통해 중재하고 통제하였으며 총 12주간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적용 전후 인지기능 수준과 기본적, 수단적 일상생활동작 수행 수준을 평가하고 비교하기 위해 LOTCA와 MBI, S-IADL을 시행하였다.결과 : 비모수 검증인 윌콕슨 부호순위검증을 통해 프로그램 중재 전후 인지기능 수준과 일상생활 수행력 수준을 비교한 결과 인지기능 수준을 반영하는 LOTCA 점수에서 적용 전 보다 적용 후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05),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력을 반영하는 S-IADL에서 의미 있는 점수의 차이를 보였다(p<.05). 그러나 기본적 일상생활 수행력을 반영하는 MBI 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결론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인지재활의 가정환경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에게 있어서 전반적인 인지기능의 향상과 가정환경 및 지역사회로의 적응도를 높이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7.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기와 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력에 영향을 미치는 신체적 예측요인으로서 상․하지와 체간기능의 유의성을 알아보고, 두집단에서 예측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발병 6개월 미만의 급성기 뇌졸중 환자 30명과 6개월 이상의 후급성기 뇌졸중환자 22명이었다. 상․하지의 기능측정은 브론스트롬 팔․다리 회복단계를, 체간기능의 측정은 Trunk Impairment Scale(TIS)을, 일상생활 측정도구로는 Modified Barthel Index(MBI)를 사용하였다. 각 점수간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고, 신체요인이 MBI점수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급성기군에서는 신체요인과 MBI 점수간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후급성기군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신체요인이 예측인자로서 MBI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급성기군에서 일상생활 수행력에 대한 유의한 예언변인은 TIS로 나타났다. 그러나 후급성기군에서는 유의한 예언변인이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의 신체적 기능이 일상생활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력은 발병 후 시기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체간기능 평가는 일상생활 수행력을 예측할 수 있는 신체적 기능요인으로 초기 평가시 반드시 시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8.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lectrical muscle stimulator (EMS) based human machine interface (HMI) free to mechanical constraint and muscle fatigue problems are proposed for force feedback in a virtual reality. The device was designed to provide force feedback up to 4.8 N and 2.6 N each to the thumb and forefingers. The main objective of the HMI is to make unnecessary mechanical structures to attach on the hand or fingers. It employs custom EMSs and an interface arranged in the forearm. In this work, major muscle groups such as extensor pollicis brevis (EPB), extensor indicis proprius (EIP), flexor pollicis longus (FPL) and flexor digitorum profundus (FDP) are selected for efficient force feedback and controlled individually. For this, a human muscular-skeletal analysis was performed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ulti-channel EMS based HMI was evaluated thorough various experiments with ten human subjects, interacting with a virtual environment.